|
안녕하세요 착한사기꾼입니다...
언젠가부터 슬라이딩턴 때문에...고생하고 있는데요...
슬립이 금기시(ㅡㅡ?) 되던 시절에 보드를 접해서...
슬라이딩턴이란 걸 처음 접했을때는 참 난감하더군요...
데크를 미끄러뜨리지 못하고...날만 계속 서는 느낌이라...
늘 중도포기를 일삼았는데요...
올시즌은 꼭 극복해보려고 합니다...
어쨌든...
시즌이 오픈하고 맹연습을 하던중에...(그래봐야 2일뿐이지만...)
문득 궁금증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초중경사에서는 어느정도 되는것 같은데...(물론 제 기분입니다만...ㅡㅡ)
급사에서는...
뭐랄까...사악~~데크가 돌아온다는 느낌이 안들더군요...
그래서 뒷발에 힘을 조금 더 줘봤습니다...
이거 어떻게 설명을 드려야 할지...
느낌상으로는...
체중이 앞발에 많이 있으니...
앞발이 기준이 되어서...
뒷발이 의도적인 슬립을 만들면서...삭~ 따라간다는 생각은 드는데요...
문득 이게 뭔가 뒷발차기는 아닌지...라는 생각이 들어서말입니다...
영상 한방이면...이 모든게 해결이 될텐데...
답답하기 이를 때 없습니다...
강습동영상을 보면...
뒷발은 왠지 앞발을 따라서...털래털래..좌우로 따라다니는 모양새라서...
슬라이딩턴시 뒷발의 역할이 궁금해졌습니다...
회사에서 몰래 쓰느거라...
문맥이 두서도 없고 죄송합니다...
그냥 기본이론으로 설명드리자면, 뒷발은 앞발을 따라가는게 맞습니다.
그러나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슬라이딩턴에서 슬라이딩을 만들어내는 원리에서 뒷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카빙은 무게중심 이동을 통해서 엣지로 균형을 잡으며 라이딩을 한다면,
슬라이딩턴은 앞발과 뒷발의 기울기 차이를 이용해서(토션을 준다고 하죠) 뒷발을 슬라이딩 시킵니다.
즉 앞발이 만들어내는 데크 기울기보다 뒷발이 만들어내는 데크기울기가 더 적어야 슬라이딩이 일어나죠.
하체스티어링시 데크를 비튼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때문에 영상을 엇필 보면 뒷발이 턴할때 의도적으로 슬라이딩을 만드는것처럼(미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뒷발차기와의 차이점이라면 뒷발차기는 뒷발이 브레이크를 거는 것이고,
하체 스티어링은 뒷발이 데크를 슬라이딩 시킴으로서 속도의 손실이 적게 턴을 연결시켜준다는 것입니다.
저도 이론적인 부분을 논리 정연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몸으로 익히고 있는 상태라,,,^^; 좀더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부분은 다음분이 잘 설명해 주실테니,,,뒷발이 털래털래 따라다니는건 아니고 슬립을 내는 방법이 뒷발의 프레스를 가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상급에서나 모글이 심한곳에서 털래털래 따라올 정도로 프레스를 가하지 못하면 카빙도 아닌것이 슬라이딩도 아닌것이 참 어설픈 턴이 될겁니다. 그리고 상급에서는 턴 체인지 시점을 빨리 가져가야 하더라구요. 그래야 속도의 증가없이 일정게 유지하며 내려 올수 있는것 같구요. 지난주 웰팍 상급코스에서 다리에 힘이 있을때 뒷발의 프레스를 가하며 턴 체인지(상체 로테이션)를 조금 빨리가져가니 일정한 속도로 내려와 지던데,,,몇번 타고나서 다리에 힘이 빠지니 뒷발에 프레스가 적절히 가해지지 않고 원하는 형태의 슬립이 아닌 쭉 미끄러져 내려갔습니다. 그러다 보니 턴 체인지 시점도 제대로 가져가지 못하고 속도 또한 빨라지더라구요. 슬라이딩턴 하고 나면 진행방향의 뒷쪽 다리가 엄청나게 아파옵니다. ^^; 결론은 슬립을 내기위해 프레스를 가하는 행위를 하는것이 뒷발의 역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