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가 독학보더라서 몸으로만 느끼고 터득하는편이라서.... 갑자기 좋은 느낌이
와서 헝글에 여쭙니다??? (턴의 5요소------스탠스&발란스---피벗팅--엣징--프레싱--타이밍&코디네이션)
턴의 5요소를 알고는 있었지만,,, 그냥(느낌은 모르고) 막연히 저런거 구나!!! 생각만 하고 있었죠!!!!!
힐턴카빙시 슬립이 난다??? -------------문제는 엣징..프레싱 이전에 타이밍과 코디네이션이 먼저 들어가서
슬립이 난다???----맞나요???
카빙 힐턴에서의 슬맆의 원인
1. 엣지체인지시에 로테이션에 의한 페달링으로 데크가 비틀어져서 테일쪽 엣지각이 작아지고 테일이 슬맆하게 되어
보드가 사이드방향으로 진행하게 될 수 있습니다
> 숏카빙에서는 슬라이딩턴에서의 타이밍과 비슷한 로테이션이 이용되지만
롱카빙으로 갈수록 슬라이딩턴에서와는 다른 타이밍으로 로테이션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2. 엣지체인지 후에 엣지를 바로 세우지 못하면, 또 전경으로 치우쳐 있으면 테일이 빠르게 돌아갑니다
> 슬맆은 그립력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그립력은 엣징, 프레셔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또한 로테이션은 자연스런 페달링으로 데크에 전달되어서 데크에 비틀림을 만들며 노즈쪽 테일쪽 엣징의 차이를 만듭니다
엣징에다가 체중이 실려야 비로소 그립력을 얻게되고 그립력을 충분히 확보하면 슬맆을 없앨 수 있습니다
로테이션은 허리 골반 무릎을 거쳐서 양 발에 페달링으로 전달되어 데크에 비틀림을 만듭니다
한쪽은 엣지각을 크게 하고 다른 한쪽은 엣지각을 상대적으로 작게 만듭니다
슬라이딩턴에서의 로테이션은
엣지체인지 후에 테일쪽 엣지각을 작게만들어 테일을 슬라이드하게 하기위함입니다
그래서 베이직카빙턴에서는 로테이션 없이 기울기와 엣징으로만 턴을 하게합니다
중급 이상의 미들턴 이상의 카빙턴에서는
엣지체인지 후에 테일슬맆을 더 확실하게 방지하려면
역로테이션 상태에서 엣지체인지를 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힐에서 토로 엣지체인지를 할 때는 어깨를 연 상태에서 엣지체인지를 하고 천천히 어깨를 닫아서
어깨를 닫은 상태에서 힐로 엣지체인지를 하는 것입니다
그럴수도 있을 것이고
과한 인클이나 앵귤로 인해 주르륵 내지는 쿵더쿵 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