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 생명에 몇 상품에 가입하여 유지중인데
VIP 고객이라며 팀장이 전화해서는
새 상품 설명을 하는데 일단 말해주는 조건은 괜찮아보이는데
어떤지 좀 봐주실 수 있는지요?
복리 이율 : 3.9% (금리 하락시 최저 3.75% 보장) + 1% 추가 적립 + 장기우대 3%
장기 우대 - 주계약 가입금액 3천이상 : 0.5%, 5천 이상 : 1%, 1억 이상 : 2%
납입회차 3년초과 : 1%, 6년 초과 : 2%, 9년 초과 : 3%
2년째부터 납입금 증감액 및 중도 인출 가능
비과세 - 이자 소득세 15.4% 전액 비과세
연금전환가능
월납입액이 아주 큰 금액은 아니고 여유가 되기는 하는데..
과연 메리트가 있는 상품인지요?
가입금액에 따라 할인율이 있는걸보니 보장성 유니버셜 보험이라 추정되구여..
보장성 보험은 워낙 위험보험료 구성비가 높아서 환급률이 좋지 않습니다.
보장을 원하면 싸구려 정기보험에 특약을 가입하시는게 좋구요.
목돈 및 노후 설계를 원하면 그냥 기본적인 금리연동형 연금보험 가입하시는게 현명하신겁니다.
또한 연금보험은 은행에서 가입하세여// 그나마 판매 수당이 제일 적습니다.
그리고 생보사 종신연금형을 선택하시는게 가장 유리합니다.
이거하나 장기 플랜으로 잡으시고 노후설계 시작 하시면 될듯합니다.
저한테 20만원씩 20년납에 대한 선택하라면 그냥 순수 정기보험(55세 만기) 5만원 정도 투자
15만원은 그냥 순수 연동형 연금보험 종신연금형에 투자를 하여 보장 및 노후 설계 두마리 토끼를 잡겠습니다.
같은 업종이라..
음..제가 생각하기엔 저축보험을 가장한 유니버셜종신보험으로 보입니다
지금 vip 라고해서 1%2% 이런식으로 추가로 금리를 주는것이 아니라
주계약 (사망보험금)5천이상 1%추가적립/1억이상2% 추가적립 이런식인듯 합니다
일반 비과세저축보사 수익률이나 환급률이 낮습니다 사망보장이 들어가니까요
요즘 저축보험 또는 유니버셜보험은 연금전환기능이 다 있습니다 허나.
유니저축은 가입당시 경험생명표가 아닌 전환당시 경험생명표로 지급을 해주니 연금으로 생각하기엔..
나이가 어찌 되시는지 모르겠지만 사망보장이 필요한분들도 있기에 잘 판단하셔서^^
2년 후 납입중지, 연금전환 등
윗분 말씀처럼 변액유니버셜종신보험을 저축으로 오인케 하여 판매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 상품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닌데, 보장성 상품입니다.
나중에 연금으로 전환은 가능하지만, 저축상품은 아니라는 이야기지요.
처음엔 보장성으로 시작해서 나중에 저축상품으로 전환한다는 얘기는 없이
그냥 비과세 보험이니 어쩌니 하는건 욕먹을 만한 짓인것 같습니다.
이미 몇가지 가입이 되어 있다고 하셨는데, 그 중에 연금 상품이 있다면
연금상품에 추가납입을 하세요.
보통 연금 상품에 10% 내외의 사업비가 있습니다만, 추가납입 사업비는 거의 없다시피(1~3%정도) 하니까
다른 어떤 상품을 가입하시는 것보다 유리할 겁니다.
사실..이번에 연락한 팀장에게도 얘기한 내용인데..
뭣도 모르던 시절..
연락이 올때마다 거절을 못하고 '더 좋은 거' 니 가입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라는 말에 속아서
그리고 신규 가입이 아니라 이미 납입하고 있던 이전 상품을 연동 변환시킬 수 있다 라는 거짓말에 속아서 (이제와서 이 거짓말을 증명할 수는 없겠지요..)
불필요한(?) '몇가지' 상품에 가입중이었던 터라
더는 속고싶지 않았습니다 ;;
사실 비슷한 상품에 이미 가입해있는 것이 맞습니다
팀장 말은 이전 상품 납입액을 반으로 줄여도 혜택이 그대로니까 반으로 줄이고 남는 반을 이 상품에 납입하라
이전 상품보다 이율이 훨씬 좋은 것이니 납입액은 이전과 같으면서도 수령액은 늘어난다
며 유혹하더군요
그래도 이제는 철이 들었는지..
일단 가입 신청해서 심사 결과 기다리면서 상품 설명서 다시 한번 읽어보라는 말을 물리치고
설명서만 보내라고 했습니다
역시 더 이상의 상품은 가입하지 않는게 좋겠네요..
아.. 금리는 괜찮네요.. 하지만 생각하셔야할것이
저축보험은요.. 고객이 낸돈의 많아봐야 약 90% 수준만 저 금리로 부리하는거구요..
또한 중도에 해약하게되면, 판매인에게 지급한 수당 중 아직까지 미차감한 금액을
적립금에서 차감하여 드리는겁니다.
저축 보험은 해약하면 손해인걸 대부분 알고 가입하기 때문에 '납입을 유지하면서 장기적 목적의
목돈 마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효용성이 떨어질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