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베이스 : 하이원 시즌권 3년차(이지만 주말보더라 눈밥은 그닥)

주 이용 슬로프 : 아폴로4, 헤라2, 빅톨1

신체사이즈 : 172/80 (최근에 살이 급 불어남ㅠㅠ)

장비 : 12/13 오피셜 데크 155, 11/12 치프 바인딩

바인딩 각도 : 레귤러 21-9 덕 스탠스

(초기에 어깨를 다소 열고 타는 버릇이 들었는데

그러다 보니 왼쪽발 각도가 커지게 됐습니다. 그게 편해서...)




1.


문제점... 질문 입니다.


경사가 낮은 슬로프에서는 슬라이딩, 카빙(깔끔한 선은 못 그림) 무리가 없습니다만

경사가 다소 급해지기만 하면 힐턴이 탈탈탈 털립니다.


그림에서의 1번방향으로 진행돼야 할 데크가

2번방향으로 자꾸 그대로 내려갈려고 합니다.

당연히 슬로프의 울퉁불퉁한 요철을 그대로 받아드리게 되고

데크 또한 탈탈탈 거립니다.



2.

짐작되는 요인은...


경사에 대한 두려움에 데크를 너무 일찍 과다하게 꺾어버리는 것 같기도 하고

왼발의 반딩각도 또는 왼어깨가 너무 오픈돼 있어서 데크가 과다하게 꺾이는 것 같기도 하고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 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20131214_234215_01.jpg


파양파

2013.12.15 00:35:29
*.200.18.85

생각하시는게 맞습니다..


좀더 힐턴 들어가기전에 직활강을 먼저하고 들어간다는 느낌으로 해야하는데


중요한건, 전경으로 턴이 들어가야한다는거죠...


그럴려면,


속도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내야한는데, 이게 슬로프에 사람이 많으면 정말 힘든겁니다..

malang~*

2013.12.15 00:40:21
*.24.104.104

전경으로 턴이 들어가야한다는 걸 유념해야겠네요...


오늘도 가만 생각해보니... 무서워서 몸 중심이 자꾸 뒤로 뒤로 갔었던 것 같습니다ㅜㅜ


감사합니다.

A.I

2013.12.15 00:42:53
*.252.154.193

빅토리아에서 카빙하실정도면 이런 조언이 의미없으실수도 있는데~ 기본적으로 탈탈 털리는건 프레스 부족일때 생기거든여ㅎ 엣징각만 충분히 확보되면 카빙은 상체열림보단 골반이 중요하다구 생각되기에 힐턴시 상체열림은 문제가 아닐거라 생각되구~ 낮은 경사에선 엣징만으로도 카빙라인이 나오지만 급사에선 가장 중요한건 프레스조절이라 생각해요ㅎ 본인이 턴하는중에 고관절로 충분히 눌러준다는 느낌이 있는지 그리고 턴 후반부 그니깐 턴 마무리 시점에 테일부분까지 확실한 프레스를 가져가고 있는지 부터 체크해봐야 하지 않을까요ㅎ 급사 카빙에서 힐턴시 충분한 엣징과 프레스조절이란게 말처럼 쉬운게 아니라서ㅜ

malang~*

2013.12.15 00:58:07
*.24.104.104

아... 제가 위에 좀 헷갈리게 적은 것 같은데...


당연히 경사가 높은 곳에서의 카빙은 엄두도 못 내는 실력입니다.


높은 경사에서의 슬라이딩 턴의 문제점을 적은 것입니다.

돌둘

2013.12.15 01:07:26
*.210.49.189

프레스에 한표....동영상 하나 찍으셔서 올리시면 댓글 불줄 달릴겁니다^^

malang~*

2013.12.15 01:36:01
*.24.104.104

저도 첨엔 프레스가 약한가 해서 신경을 많이 썼는데

무작정 프레스만 준다고 해서 해결이 되는 건 아니더라구요.

뭔가 제 자세의 부적절함에서 오는 메커니즘의 문제인 것 같아요.


어렵네요... ㅠㅠ


댓글 감사합니다.

01030431438

2013.12.15 01:39:14
*.33.186.87

전경에 한표 던집니다
전경을 주어 가고자하는 방향으로 턴 하신다음
중경으로 옮겨가며 압력과 기울기를 주어
날을 세우시며 원을그리고 후경을 주어 보드를 빼낸다음 다시 전경부터 시작.....
급사에서 자꾸 탈탈 털리길레 제가 연습하는 방법입니다

malang~*

2013.12.15 02:26:21
*.62.179.72

연습해봐야겠엉오.. 어렵네요ㅎㅎ

폴로

2013.12.15 01:48:20
*.221.172.226

부하가 폴라인쪽으로 과도하게 몰리기 때문인데요

누구나칼럼 참조

malang~*

2013.12.15 18:02:53
*.62.179.72

힐턴에서 주저앉는 것에 대한 글 말씀이죠?
그거랑은 약간 다른 문제인데...
암튼 감사합니다.

백만송이장미

2013.12.15 17:40:00
*.206.115.78

1. 우선은 체중에 비해 데크의 길이가 많이 짧네요

그립력.. 원심력.. 원심력과 중력의 합력인 프레스.. 프레스에서 그립력에 영향을 미치는 분력.. 그립력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분력.. 그립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등을 이해하신다면 답이 나오지만

그러한 내용의 칼럼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글을 자삭해 버려서...

 

1) 프레스의 분력 중에서 그립력을 만드는 분력은 설면에 수직인 분력으로서, 중력의 설면에 수직인 분력이며

이 분력의 크기는 <중력 * cos a> 로 슬로프의 경사가 급할수록 작고, 경사가 완만할수록 크게 됩니다

또한 슬로프의 경사가 일정하다면 턴의 모든 순간에 일정합니다

 

2) 또한 프레스의 분력 중에서 그립력을 방해하는 분력은 설면에 평행한 분력으로, 턴호의 바깥방향을 향하는 원심력 개념인데

 

턴 초반에 폴라인과 평행을 이루기 전까지는

턴호의 반경과 속력에 따른 원심력에서

중력의 설면에 평행한 분력 중에서 또다시 원심력에 대해 반대방향인 분력만큼 상쇄된 나머지 원심력이고

 

폴라인과 평행한 때에는

원심력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없으므로 원심력 자체이고

 

폴라인과 평행을 이룬 이후에는

원심력에다가

중력의 설면에 평행한 분력 중에서 또다시 원심력 방향과 같은 방향의 분력만큼 추가된 원심력입니다

 

3) 정리를 해보면

그립력을 만드는 힘은 일정한 경사에서는 턴의 매순간 일정하고, 경사가 급할수록 작으며

그립력을 방해하는 힘은 12시에 제일 작고, 점점 증가하여 6시에 최대가 됩니다

(레귤러 기준, 힐턴의 궤적을 동그란 아날로그 시계의 숫자 12 11 10 9 8 7 6 그리고 토턴을 12 1 2 3 4 5 6 으로 봤을 때)

그래서 턴호의 크기와 속력에 따른 원심력이 같더라도(그립력을 방해하는 힘은 같더라도)

경사가 더 급한 경우에는 경사가 더 완만한 경우보다

폴라인과 평행을 이룬 이후에는 그립력이 작으므로

속력이 같더라도 급사에서는 턴이 터지거나 슬맆이 나게 될 수 있습니다

 

더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자면

중경사 이상의 라이딩에서는 턴 후반에 데크가 폴라인과 직각에 가까울수록

완경사에서와 속력이 같더라도 더 큰 그립력을 필요로하게 되는데

체중에 비해서 길이가 짧은 데크로는 충분한 그립력을 얻을 수가 없게 됩니다

 

2. 힐턴 시작시에 토턴에 비해서

로테이션이 크거나, 엣지체인지 직후 바로 엣지를 세우지 못하거나, 엣지체인지 후에 테일쪽 발에 체중배분이 부족하면

힐엣지로 체인지하자마자 테일쪽에 그립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스핀에 가까운 슬라이딩이 일어나게 됩니다

malang~*

2013.12.15 18:01:28
*.62.179.72

친절하게도 다시 이렇게 올려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누리곰탱이

2013.12.16 10:47:14
*.94.41.89

감사합니다, 항상 글 잘 보고 있습니다. 방금 글 관련해서 한가지 여쭤봐도 될까요? 기본적으로 저도 위에 글 쓰신 분이랑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그 이유가 말씀하신 것 중에 엣지체인지 직후 바로 엣지를 세우지 못해서 인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엣지각을 더 세우기 위해서 프레스를 더 줘봤는데 엣지가 박히지 않습니다. 그래서 프레스 보다는 기울기를 뒤로 더 줘 버리면 엣지가 살짝 박히는 느낌이 들면서 뒤로 넘어지게 됩니다. 프레스와 기울기의 접점을 찾아야 하는 것일까요?,, 에고 엉덩이가 계속 고생이네요 ㅠ

백만송이장미

2013.12.16 12:03:04
*.206.115.78

// 엣지각을 더 세우기 위해서 프레스를 더 줘봤는데 엣지가 박히지 않습니다. //

 

아마도 프레스를 더 주기 위해서 다운을 하셨나 봅니다

다운(플렉션)은 프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감소시킵니다

 

// 기울기를 뒤로 더 줘 버리면 엣지가 살짝 박히는 느낌이 들면서 뒤로 넘어지게 됩니다. 프레스와 기울기의 접점을 찾아야 하는 것일까요?,, //

 

프레스는 중력과 원심력의 합력입니다

중력은 일정하므로 원심력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됩니다

원심력은 엣지를 세워서 데크가 그립력을 발휘할 때 생겨나며

턴호의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넘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중력과 원심력의 합력인 프레스의 작용선상에 무게중심이 위치해야합니다

원심력이 클수록 프레스의 작용 방향은

원심력이 없는 설면에 수직방향으로부터 점점 설면을 향해 기울어지게 됩니다, 턴호의 안쪽으로

그래서 엣징과 기울기는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원심력은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고 턴반경에 반비례합니다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속력의 영향이 매우 큽니다

속력이 작을 때는 엣지를 아무리 세워도 원심력이 조금밖에 생기지 않습니다

기울기도 아주 조금밖에 기울수가 없게 됩니다

 

턴 마무리, 엣지체인지 시에 충분히 속력이 있다면

엣지체인지 후 바로 원심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 만큼 엣징과 기울기가 가능하지만

 

아마도 토턴 마무리 시에 속력을 너무 줄이고서 힐턴에 진입하시는가 봅니다

누리곰탱이

2013.12.19 12:57:47
*.94.41.89

정말 감사합니다~ 안개가 조금씩 걷히지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8960
89090 무주 초보 슬로프 문의드립니다 [1] 초보곱등 2013-12-15 466
89089 686데님 팬츠 입고계신분 사이즈 공유좀 해주세요~ [7] 오케바리용 2013-12-15 490
89088 서울 휘팍행 대중교통편 질문이여ㅠ [1] 럽수 2013-12-15 369
89087 식하지만,,급사 카빙+한방 트릭 타보신데크 문의 드립니다. [8] 김대현_992266 2013-12-15 758
89086 살로몬 말라뮤트랑 궁합 잘맞는 바인딩 추천 해주세요. [8] 복실리 2013-12-15 474
89085 nitro 데크 문의!! [2] 요르몽몽 2013-12-15 424
89084 곤지암 주차 게이트? [2] 생긴거하곤 2013-12-15 436
89083 앤디가 뭐에여??andy [4] 루카스마쿵 2013-12-15 586
89082 하이원 파크 열었나요? [1] 파크 2013-12-15 406
89081 이거 너비스턴 맞나요? [6] deep 2013-12-15 491
89080 그라운드트릭 널리360?540//andy360?540질문잇습니다~~ [4] 봉팔2 2013-12-15 643
89079 진짜 스키장 입문 보드입문 강습 [4] 투어너어 2013-12-15 389
89078 웰팍 셔틀 패널티 [4] 레드현 2013-12-15 581
89077 혼자셔틀타시는여성분들계시던데 [11] 틴틴탱탱 2013-12-15 389
89076 클리닉합격하셨던분들 혹시.. 전략이 있나요..... [2] 비보이굿잡 2013-12-15 403
89075 오크벨리 슬로프상황 어떤가요? [2] NYBRO 2013-12-15 392
89074 부츠바인딩 궁합좀봐주세요 관광보더 2013-12-15 363
89073 데크 노즈 앞 까임 수리해야 할까요?? file [4] 강동먹깨비 2013-12-15 557
89072 데크 구매 고민.. (트릭용 역캠) / 내년초 캐나다 출국 벅구 2013-12-15 347
89071 13/14인도어 vs 13/14 롬 아티팩트 락커 [3] 앤드 2013-12-15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