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카빙연습하려는 보더입니다.
현재 친구의 조언에 따라 카빙연습을 하는데요.
S자 처음 연습하던것 처럼 반대방향보고 쭈욱가다 뒤돌아서 제가 그어온 라인 보는 정도로 계속 하고있습니다.
정말 쉽지가 않더군요..
회원여러분의 카빙턴 연습 노하우좀 알려주세요^^
카빙턴은 베이직 턴에서 업다운을 하시는거 잘 배우셨으면
그후 잊고 있었던 시선만 다시 신경 쓰지면 바로 느낌 오실거에요
현재 하는 턴에서 시작으로 폴라인 쪽으로 처음 s자 배울때 처럼
그럼 몸이 그때 보다 스피드도 붙어 있고 무릎도 쓸줄 알기에 자연스럽게 날이 섭니다.
단,... 엄청 넘어 지실거에요 그러면 j 턴을 하고 연습 하시면 금방 적응 되실겁니다.
체로테이션 신경쓰지 마시고요 (베이직 카빙 입문단계에서 과도한 상체로테이션은 슬립을 유발시켜요 흔히 말하는
몸전체 깁스 했다는 느낌으로 그렇다고 경직되면 안되구요)
다소 사활강으로 어느정도 속도를 붙이신후 (그래야 기울기를 줄수 있고 회전시 원심력을 만들수 있어요 또 원심력이
클수록 더 강한 프레스 기울기를 주기도 쉽구요)
엣지를 세운다는 느낌말고 중경으로 충분히 양발 전체로 데크를 밟는다는 느낌 원심력을 버틴다는 느낌으로 해보세요
데크가 회전시 날이 박혔다는 느낌이 아니라 밟혔다 하는 순간 프레스가 들어간 느낌이 오고 엣지가 박혀서 턴이 사이드컷
따라 말려 올라간다 이런 느낌이 오실거에여 이런 경우는 뒤를 돌아볼 필요도 없이 카빙이다 ㅎㅎㅎ 하실거
저도 초보지만 친구들 카빙입문시 하는 조언이니 이런 느낌도 있구나 하고 참고만 하세요
한마디만 더하자면 친구들 보면 카빙 입문시 엣지날을 세우는데 신경쓰느라 몸이 쓸데없이 경직되고
밸런스 무너지고 엣지각은 더 안살고 이래서 제가 해주는 말이 동영상에 괴물같은 사람처럼 엣지 안세워도 살짝만
세워도 카빙되니 너무 세우는 거에만 신경쓰지마라 최소한의속도 기울기 원심력에 대항에 데크 밟기 이게 중요하다 가르쳐
주고있는데 저도 전문강사도 아니고 독학보더라 참고만 ㅎㅎㅎ 그럼 올해 꼭 멋진 첫 카빙의 추억 간직 하시길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