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
선배님들
카빙 속도 조절 어떻게 하는지요 .... )물론 저는 막보더 입니다. (
j턴외에 다른 방법은 없는지요? j턴두 데크가 조큼길어서 인지 강제로 하면 슬립이 나네요 . (162타유.. 전 75)
다른분들 보면 ... 숏 미들 하면서 잘 내려가시더라구욤. 물론 속도 조절을 하면서 ......... 따라하면 전 초고속 컥...
궁금해유 .....
2013.12.21 03:27:20 *.206.115.78
데크가 길면 (유효엣지가 길면) 슬맆이 적어집니다
카빙턴에서 속력을 줄이려면
1. 슬로프를 거슬러 올라가는 업힐턴을 하거나
2. 보드의 진행방향이 폴라인과 평행에 가까울 때는 중력에 의한 가속을 크게 받습니다
폴라인과 직각에 가까운 진행시간이 많은 롱카빙이 숏카빙보다는 감속을 더 얻게 됩니다
3. 프레스를 더 크게 만들면 됩니다
속력에 따라서 카빙라인을 만드는 엣징과 기울기는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엣징과 기울기를 더 크게하면 데크가 더 휘게되고 턴반경이 더 짧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원심력이 증가하고 프레스가 증가하게 됩니다
프레스가 증가할수록
설면과 보드와의 압력을 수직항력으로하는 마찰력 또한 증가하게되어
감속되는 정도도 크게됩니다
2013.12.21 03:32:42 *.73.118.167
감사합니다. . ^^. 연구해봐야겠습니다.
2013.12.21 06:04:31 *.199.149.162
턴의 처음 부터 끝까지 완벽한 카빙은 워낙 항상 가능하지 않고요.
아무리 고수라도 맘대로 되는 것이 아니랍니다.( 미국 선수의 고백 입니다)
약간식 슬라이딩 시키면서 부분부분 설면을 긁듯이 하면 속도를 줄일수 있습니다. 궤적을 자세히 보기전에는 알아채기 어렵죠.
2013.12.21 06:20:01 *.152.2.85
2013.12.21 16:05:10 *.99.229.252
일단 다 떠나서 반원을 그리는 턴을 하면 속도는 조절됩니다.
참외턴을 해도 속도에 따라서 프레스 즉 가상의 원심력이 같게 느껴집니다.
본인의 턴이 정말 반원을 그리는지 아니면 아래로 늘어지는 턴을 하는지 제대로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데크가 길면 (유효엣지가 길면) 슬맆이 적어집니다
카빙턴에서 속력을 줄이려면
1. 슬로프를 거슬러 올라가는 업힐턴을 하거나
2. 보드의 진행방향이 폴라인과 평행에 가까울 때는 중력에 의한 가속을 크게 받습니다
폴라인과 직각에 가까운 진행시간이 많은 롱카빙이 숏카빙보다는 감속을 더 얻게 됩니다
3. 프레스를 더 크게 만들면 됩니다
속력에 따라서 카빙라인을 만드는 엣징과 기울기는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엣징과 기울기를 더 크게하면 데크가 더 휘게되고 턴반경이 더 짧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원심력이 증가하고 프레스가 증가하게 됩니다
프레스가 증가할수록
설면과 보드와의 압력을 수직항력으로하는 마찰력 또한 증가하게되어
감속되는 정도도 크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