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 배우게 되는 업언웨이티드의 경우 프레스를 위해서? 다운을 합니다.
다운의 최고조점에 가상의 원심력을 가장 크게 느끼며 턴을 마무리 할 때쯤 업을 시작하며 엣지를 체인지 합니다.
턴을 할 때 많이들 프레스가 중요하다 합니다.
근데 제가 어느정도 타고 다운언웨이티드 턴을 할 줄 알게되니 프레스의 중요함보단 엣지각의 중요함을 느끼게됩니다.
물론 둘 다 중요하지만 '카빙에 있어서는' 엣지각이 먼저 확보가 되어야 그에 맞춰 프레스?를 얹어줄 수? 있다는겁니다'
이야기가 조금 샜는데
다시 다운언웨티드 턴 이야기를 하자면 프레스 즉 다운을 하며 프레스를 건다라고 하는 표현이 얼마나 잘못되었는가를 느끼는데
다운언웨티드 롱턴의 경우 다운하면서 엣지체인지를 시작하여 업의 최고조점에 가상의 원심력이 가장 크게 느껴집니다.
이때 버티는 프레스는 엣지각의 영향이 크죠.
제가 느낀바로는 프레스는 그냥 가상의 힘이고
업다운은 라이딩을 안정적으로 가져가고 엣지체인지에 중점을 주는 것이 아닌가...
막말로 최고의 원심력을 느낄 때 업을 하건 다운을 하건 똑같이 버틸수가 있다는겁니다
알파인 익스트림카빙의 경우에도 아예 드러누워버릴때 엣지각으로 인해 자동으로 프레스가 발생?하죠
결국 턴에서 제대로된 엣지각으로 나아가면 자동으로 발생하는데 그 힘을 버티고 무게중심만 잘 잡아줄 필요만 있을뿐
(업언웨이티드턴일 경우는 다운 다운언웨이티드턴일 경우는 업으로)
프레스를 더 주고 덜 주고는 없는 것 아닐까요? 프레스는 가상의 힘일 뿐이고 맞춰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프레스 프레스 말만 들었지 제대로된 정의가 궁금해집니다
말 그대로 압력입니다. 엣지만 제대로 세워서 진입을 해준다면 데크가 눈을 파고 들어갈 것이고 데크가 말리면서 확 휘겠지요. 데크를 더 세울수록 더 많이 말릴것이구요. 여기에 인위적인 힘을 추가적으로 행사한다면 더 휠것이고... 문제는 얼마나 엣지 이용을 잘 하는냐 그리고 적절한 방법으로 인위적인 힘을 가할수 있느냐라고 생각해요. 아... 목표하는 스타일의 라이딩 정복은 너무 멀고도 험하네요 강사할것도 아니고 대회나갈것도 아닌데 이 추운날 이시간까지 눈밭에서 뒹굴고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