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언웨티드 턴에서요~
엣지 체인지 의 수월함을 위해라는 건 알고 실제도 그렇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정확하게 업의 의도와 의미를 알려주실 고수님 계신가요~
업을 하는중에는 분명 체중이 보드에 더 올라갈거구 업의 끝 부분에 체중이 빠질거구
이런 생각에서 부터
업을 할때 엣지부분에 체중을 실으며 업을 하는 건지
엣지에서 베이스 전체 위로 몸을 띄우듯 해야하는지
특히 요점은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됬냐면요
중급 슬라이딩 카빙 에서는 그냥 몸으로 이해하고 하고는 있는데
오히려 예전에 하던 너비스턴을 떠올리거나 초보 친구 가르치다 보면
너비스턴에서 업의 동작이 과연 보드에 체중을 빼고 보드가 더 잘돌아가게 한다던 그 강의 내용들이 맞는가 의아해서요
동영상 보면 중급상급 동작과는 다르게 너비스턴에서 업은 너무도 천천히 진행되는데 그것이 의아해요
언젠가 부터 업에 대해서 생각하면
업의 의미가 다양한 것두 같고 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질문글이 너무 이상하네요 ... 술마신거 아닙니당 ㅎㅎ
우선 다운언웨이트턴에서 이용하는 업은
설면으로부터 무게중심의 높이는 낮게 유지한 채로 무게중심으로부터 보드를 멀어지게 합니다
속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엣징 증가, 기울기 증가, 원심력 증가 에 따른 프레스의 작용선상에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합니다
다른 표현을 쓰자면
원심력의 증가에 따라서 원심력 방향으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설면이 잡아당기는 힘의 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그 모멘트 팔의 길이를 길게해주는 것입니다
업언웨이트턴에서도 기울기에 비해서 프레스가 부족한 턴의 시작부분에서 또는 슬맆 등으로 프레스가 감소할 때 이처럼 익스텐션을 이용해서 프레스를 보충합니다
업언웨이트턴에서는 대개 기울기를 세우면서 업을 합니다
기울기를 세우는 자체로 보드는 직선에 가까운 운동을 하게되고 원심력은 없어지므로 프레스는 감소하지만
1. 이처럼 감소하는 원심력을 증가시켜서(원심력의 모멘트 팔의 길이를 증가시켜서) 상체를 보드 너머로 넘기는 크로스오버를 수월하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며
2. 슬맆하고 있는 보드에다가 설면에 직각방향으로의 하중을 증가시켜서 그립력을 더 크게하여
역엣지가 걸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엣지체인지할 수 있도록 슬맆을 없애주는 일도 합니다
이러한 업을 짧은 시간에 강하게 하면 에어턴이 됩니다
알리처럼 업을 하면 돌핀턴이 되겠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