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상태가.어중간합니다. 검증받은 상태는
자세좋고 업다운 프레스 제대로 할줄아는상태입니다
J턴도 가능합니다 근데.기울기연습을 해본적이없고
속도에맞춰 기울였던것같습니다
J턴자체를 연습할땐 속도에맞춰 기울기가 잘이루어지는데
중급같은곳에선. 힐에서 토우턴으로 넘어갈때
업상태가 너무길어요 빨리할려고해도 잘안됩니다
엣지부분으로 눌러타긴하는데. 기울기가안되서
각이 한정되있어요. 너비스턴과 카빙의.중간. 그렇다고
슬립이 나는것은아닌데. 질문드릴것은
턴진입시에나. 힐에서 토우턴으로 넘어갈때
다른분들보면. Up이 업는것처럼 바로 앵귤너서 들어가던데
힐턴은 잘되는데..토우가 반응도느리고..
턴도중. 턴진입순서가. 업→기울기→다운프레스
결론은 기울기의.타이밍이언제인지. 독학이다보니 햇갈리네요
인가요. 아니면. 업하는동시에 기울기를가지고 가야하나요
지금
말씀하신 순서가 맞는데요.. 턴 진입이 느려지는 이유는 다른데 있지 않을까 싶네요.
요새 카빙 열심히 연습하고 있는 입장에서..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엣지 전환이 잘 안되는 주된 이유는 무게 중심이 뒷발에 걸려 있어서더군요..
토우턴 진입할 때 상체가 앞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뒷발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도
체크해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거기에 추가로 엣지 전환을 시작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다운을 강하게 주고 그 반동으로 업을 하는 느낌을 가지게 되면
엣지 전환이 편해집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상체 기울이는 연습도 필요하실 것 같습니다.
앞발에 체중을 실어서 가속이 더 붙는 상황에서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려면
상체 기울기로 좀 더 엣지를 강하게 박아 넣으실 줄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경험상 손끝이 바닥에 닿을 정도까지 상체를 기울일 수 있어야 엣지가 강하게 박히기 때문에
중급 슬로프에서도 앞발에 체중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더군요
마지막으로 턴 진입 타이밍에 대해서는 아래 김현식님 영상 참고해보세요~
반갑습니다.. ㅎ
1. 속력에 따라서, 엣징과 기울기가 조화를 이루어야합니다
원심력은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속력의 증가에 따라서 원심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속력의 증가에 따라서 엣징의 증가폭보다 기울기(무게중심 - 접설엣지)의 증가폭이 커야합니다
린아웃 자세인 배내밀기 토턴은 엣징과 기울기의 증가폭이 비슷하게 이루어지므로
고속 카빙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입니다
2. 엣지체인지 후에 속력 증가와 엣징으로 인해서 원심력과 프레스가 증가하게 되는데
힐턴에서는 충분히 다운을 하면서 프레스를 흡수하고 계신데
배내밀기 자세의 토턴에서는 다운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고속의 토턴에서는
엣징과 함께
무릎, 고관절도 구부려서
상체를 토사이드쪽으로 숙임으로써
기울기와 다운이 이루어져야할 것입니다
현 상황(중급경사에서의 카빙토턴)에서는
정강이와 설면과의 각도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1. 무릎과 고관절의 구부림.. 즉 다운이 부족하며
2. 린아웃인 배내밀기 보다는
고관절을 구부려서 상체를 설면쪽으로 기울여주는 린위드 또는 린인이 필요해보입니다
/
/
업을 하면
조금 슬맆이 나고 있었다면 슬맆이 없어져서 다음 턴에 들어갈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또 원심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그 원심력에 몸을 맞겨서 기울기를 넘기기가 수월해집니다
턴의 후반에 슬맆이 남아있는 상태에서라면 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고
슬맆이 없는 상태라면 업과 기울기 세우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져도 되고, 아무튼 업이 끝나기 전에 기울기를 세우는 과정이 시작되어야 할 것입니다
무게중심.. 명치 조금 아래라고 합니다
무게중심에서 접설엣지를 향한 방향이 프레스가 작용하는 방향입니다
원심력이 커지면 프레스의 작용선은 더 기울어지게 됩니다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게중심이 설면쪽으로 더 낮아져야 합니다
무릎이 곧 설면을 스치게 되므로 몸 전체의 기울기로는 한계에 다다르게 됩니다
그래서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관절인 고관절을 구부려서 상체를 설면을 향해서 더 기울여야 합니다
고관절만으로 부족하거나..하면 허리를 숙여줄 필요도 있게 되겠구요
무게중심과 보드와의 거리도 조금은 가까워지므로 다운의 일부인 플렉션도 조금은 이루어지는 것이며
골반과 무릎을 더 구부려주면 플렉션이 더 이루어지는 거구요
전 다운턴을 익히고 나서 카빙을 들어가시는게 어떠실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