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스에 대한 개념과 거기에 따른 카빙의 결과에 대한 칼럼을 정독해서 읽어 보았습니다.
그 논리 관점으로 닥라 17번, 19번 라이더에 대한 아쉬운 점과 득표수에 대한 의문점을 이야기 하셨는데요..
더 기본적인 부분에 대해서 논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서 아쉽더라구요
그래서 짧은 지식이지만 제가 아는 선상에서 이야기 해 보려 합니다.
1. 카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카빙은 본인이 낼수 있는 극한의 속도로 내려 가는 것 뿐만이 아니라 속도까지 컨트롤(가속, 감속) 가능한 주법입니다.
비로거님께서 이야기 하시는 카빙으로 장악력이 그 부분인데요 ... 보드에 몸이 실려서 속도가 나는게 아닌
라이더가 프레스와 기울기로 속도를 조절하는 주법이라는거지요
( 기울기가 생기면 카빙에서는 속도가 나고 프레스가 생기면 속도는 줄어드는 성향이 간단 요약이라고 보면 됩니다 )
데크 슬립이 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속도가 나지 않는다라는 부분은 라이더가 속도를 조절했다라는 의미구요.
이 부분에서 17번 라이더의 디지 하단 라이딩은 가속 된 속도를 제어해서 내려왔다라는 점에서 전 더 높은 점수를 주겠습니다.
오히려 토에서 한번 자세가 무너지고 그 부분이 가속으로 연결 되었다고 보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결론 : 가속에 대한 채점 기준이 아쉽습니다.
2. 크로스 오버 , 크로스 언더 , 크로스 쓰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발끝, 머리끝 , 몸의 중심(코어부분 또는 복부)으로 밸런스의 중심점을 이동하는 부분에 대해서 언급을 하지 않으셨는데요
17번 , 19번 모두 사면의 경사도와 설질의 상태를 고려해서 크로스쓰루로 라이딩을 전개 했습니다.
이 부분이 낮은 자세의 이유라고 보여지구요 . 결국 같은 상급 카빙을 전개한 것으로 보입니다.
17번의 경우 숏턴 전개 이전에 몇번 기울기가 들어간 상태에서 턴이 전개 된 부분은 리커버리 동작이므로
감정 요인이기 보다는 턴 크로스오버의 리커버리 동작으로 보여집니다. 그 결과물이 다음턴의 전개가
무리 없이 진해 되었다는 부분인걸로 보이구요
결론 : 레이싱 대회에서도 선수의 리커버리 동작에 관객들이 열광합니다. 이유는 실패 될 상황을 헤쳐나갔기 때문이죠
자세가 항상 깔끔하면 좋겠으나 리커버리 역시 라이더 역량 중 중요한 하나로 보입니다.
3. 근력 프레스의 운용 부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관성 프레스 -> 근력 프레스까지 3가지 프레스를 중첩으로 쓰는 것에 대한 부분은 맞는 이야기지만 근력 프레스의 운용 부위는
허벅지 뿐만이 아닙니다. 크로스 오버 또는 크로스 언더 계열이면 맞는 말이겠지만 ,
크로스 쓰루 계열에서는 복부의 근력으로 프레스를 가압 , 감압 조절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이야기인데요 . 복부의 근력 프레스를 운용 하고 체축 밸런스가 확보 될 경우 양팔은 자유로와 집니다.
( 줄타기 묘기를 하는 사람들이 첨에는 팔을 휘적거리며 밸런스를 잡지만 , 밸런스가 확보 되면 손을 내려도 문제가 없죠 ,, 그리고 밸런싱이 완벽해 지면 오히려 위험해보이는 듯한 동작까지도 가능해지는거랑 같은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
그 관점에서 보면 17번의 팔동작은 의미없이 카빙을 방해하는 동작이 아닌 밸런싱이 확보 된 상태에서 리듬의 확보(오케스트라의 지휘자 지휘봉) 또는 외력의 증가(계속 데크에 프레스를 주어서 설면에서의 Out of Control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동작으로 보입니다.
결론 : 팔동작과 카빙의 급수에 연관 관계는 크로스 쓰루 자세에서는 그닥 의미 없는걸로 보입니다. 차라리 어깨선이 더 중요한 체크 포인트가 아닐까요? 팔동작에 대한 언급은 어떤 기술 선수권 대회에서도 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데크와 턴 라인만 보는것만으로도 바쁠거 같습니다 ^ ^
맺음말
저 역시도 과도한 팔동작 , 로테이션 싫어하고 프레스 위주로 카빙을 운영하면서 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과도한 기울기 자체도 빼버릴려고 노력 중이구요
비로거님 .....라이더의 라이딩을 바라볼때 단점만 본다면 그 사람의 장점을 취할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결과물에는 이유가 있는 것이고 그 이유에 대해서 편협하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이 직시라고 생각합니다.
직시를 할 수 있을때 올바른 발전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비로거님의 이론이 모두 틀린건 아니지만 결국 완벽한 이론에 도달하지는 못한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 사실 저도 완벽한 이론은 없습니다 ㅋㅋ )
네에 ...... 크로스 쓰루가 없었군요 ^ ^
그럼 급사에서 17번 , 19번 라이더분들이 타신 라이딩 주법이 설명이 잘 안 됩니다 ㅠㅠ
설명 좀 부탁 드려도 될까요?
아울러 .. 크로스 쓰루가 무릎으로 한다고 하신다면 높은 중력(G)을 무릎(허벅지 포함)으로만 받아 낼수 있는건지도 문의 드립니다 ^ ^
넵 ~~ 확인 감사합니다 ^ ^
네엡 ~~~ 저의 이야기는 처음부터 모두 크로스쓰루를 써서 라이딩 한 부분이 아니구요
17번 , 19번 모두 크로스 쓰루 영역이 존재 하였다는 부분을 이야기 드렸던 부분입니다.
17번 역시 크로스 쓰루 계열이 아니면 볼수 없는 빠른 턴 전환이 보여서요 ^^
음 .. 작년에 알파인에 입문 했었는데요
그때 가르쳐 주셨던 선생님이 다리를 접지 않은 상태에서 크로스 쓰루로 타는 방법을 알려 주셨습니다.
4번 배우고 불새마루 듀크에 상단에서 카빙이 되더라구염 ....
알파인을 포기 한 이유는 다 좋은데 ... 여자 보더와 접촉할 기회가 너무 없어서...였습니다 ㅠㅠ
저두요 ~ 알고 싶어요 +_+
말씀 하시는 사견이 혹시 "친밀감"과 관련 된 내용이라시면 전혀 신경 안 쓰셔도 되는 부분입니다.
전 ...17번, 19번 분들과는 전~혀 관계가 없으며 그 분들이 속해 있는 그 어떤 커뮤니티와도 관계를 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그냥 기저귀 차고 설사와 싸우면서 라이딩하는 직딩 보더일 뿐입니다. ^ ^
그냥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적인 범위 내에서 비로거님이 놓치신 부분이 있어서 아쉽다고 이야기 드린겁니다.
닥라배틀 전혀 관심 없다가 ... 비로거 님 땜에 한 10번쯤 본거같아요 ( 약 300분 = 6시간 ) ㅋㅋ
보다보니 그 분 말이 틀린 부분이 있어서 첨언 한거니 이 부분은 개인적인 이해 관계를 떠나서
보더로써 아닌 부분에 대한 공유로 봐주셨으면 하네요 ... 글의 내용에 문제가 있다면 저도 수긍 하겠습니다 ^ ^
네엡 ~ 말씀 감사합니다 ^ ^
음... 이 글 지울까요? ^ ^
초보의 어슬플 의견으로는 답은 가까운데 있습니다.
요즘 대세인 신택호님 영상을 한번보시죠!
http://www.hungryboarder.com/index.php?mid=Movie_data&page=7&document_srl=25562251
---------------------------------------------------------------------------------------
저는 이영상 보고 바로 맨붕 이었습니다!!
약간 카시 스타일의 어깨닫는 라이딩을 쭉 해왔던지라.
급사에서 데크 넘길려면 여간 힘든게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신택호 님은 평지에서 숏턴 치듯이 쉽게 넘기고 있습니다.
레인보우 급사 할것없이 아주 편안하게 타는 모습을 볼 수 있죠!.
왜 그럴까요?
정답은 바로 크로스스루에 있습니다.
힐턴을 예로 들어 봅시다.
크로스언더와 오버를 따로따로 보면
크로스언더(밴딩)로 넘기려면 데크를 당겼다 다리를 앞으로 뻣어야 겠죠!
크로스오버(스트레치)로 넘기려면 뒤쪽으로 인클을 준후 다운 자세룰 취해야 겠죠!
턴을 하고자 할때 배꼽부분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자신이 데크를 넘기려는 시점을 잘 이용하면
가속도에 의해 보드는 진행하는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기 때문에 이때 살짝 다운 자세를 취하면
데크는 이미 배꼽 부분을 지나 다리를 뻗은 상태이므로 크로스 언더를 취한 상태이고
상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다운자세 또한 취하고 있는중이므로 커로스오브를 취하고 있는 중이죠
이렇게 동시에 코로스 언더, 오버가 진행 되는 것 입니다.!!
이영상을 보고 느낀점은 크로스스루는 절대 인위적으로 해서는 안된다 입니다.
미천한 제 눈으로는 리키 님의 상단에서의 턴은
크로스스루로 가고자 의도 하였으나
위에 언급한 내용대로 부드럽게 되지 않는 것입니다.
죄송하지만...
크로스 스루는 없었습니다...
크로스 스루 시에는 엣지 체인지 때에 무릎이 팍팍 구부려지는, 이른바 최대한 다운 상태가 됩니다...
이유는... 높은 경사의 강설에서 살아남을려구요... ㅠ.ㅜ
엣지 체인지 끝나자마자 엣징 최대한 빨리 그리고 높게 팍팍 주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엣지 체인지 때에 최대한 다운이 되는 것이지요... 업할 시간 없습니다...
왜 엣징을 최대한 빨리 그리고 높게 주려냐 하면요...
그 방법이 카빙시 감속이 가장 잘되거든요...
저도 팔동작은 개인적으로 자제하는 편입니다만 (제 턴은 양반턴...),
그렇다고 다른 사람의 팔동작을 가지고 "이건 아님" 하진 않죠...
어디까지나 개인취향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