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즌 중반쯤 되니 넘어지지 않고 어설프게나마 턴이 되네요. ㅎㅎ
그런데, 몇가지 안되는게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스탠스는 구피입니다.
참고로 항상 글은 정독하고 있으며 이론을 섭렵하고 이미지 트레이닝은 하고 있습니다. ㅎㅎ
1. 프레스? 프레스를 준다는 것은 기울기와 무릎, 고관절 각도를 이용해서 엣지를 박는거 맞나요? 근데 이걸 도대체 왜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이 프레스란걸 거니까 그냥 속도가 확 줄어버립니다. 특히 토턴할때 심한데요, 상체 피보팅을 함과 동시에 시선주기와 업을 같이 합니다. 그리고는 대충 느낌 올때 엣지 체인지를 하고요, 그담에 다운을 하면서 엣지를 걸면 속도가 확 주네요. ㅠㅠ 속도를 줄이지 않고 프레스를 하는 법 없을까요? 프레스를 주는 정확한 목적이 먼가요?
중급자 슬로프 기준입니다.
2. 슬라이딩 턴을 할때 보면 반원을 그리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토턴을 할때 턴이 끝나고 토로 설때 폴라인 기준으로 수평으로 이동을 해야 제대로 턴이 되는건가요? 수평으로 이동하고자 최대한 엣지를 걸면 마찬가지로 속도가 확 줍니다. ㅠㅠ 어떻게 하면 속도가 줄지 않고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한가요? 힐턴은 대충 느낌 알겠는데, 토턴은 수평으로의 이동을 하려면 속도가 너무 많이 줄어요. 이건 상급자 슬로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부족하지만 답변을 좀 드리자면...
1. 프레스는 속도를 내는 것이 목적이죠.
꾹! 이 아니라 꾸~우~우~욱~!! 누르는 느낌이 나야 제대로 프레스가 들어간 겁니다.
너비스턴을 연습 중이라고 하니까 정석(일본식 말고 CASI)의 너비스턴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비기너턴이나 너비스까지는 엣지를 세우기 보다는(몸의 기울기는 최대한 자제) 베이스로 활주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물론 경사가 있으면 엣지가 조금 세워지겠죠. 어쨌든 베이스 위주로 타면서
다운을 꾸~우~욱~! 주면 속도가 줄어들기 보다는 오히려 더 붙게 됩니다.
글 올리신 분이 엣지를 주면서 다운(프레스) 줄 때 속도가 줄어드는 이유는 추측컨데 몸의
기울기가 과도하게 들어가면서 턴할 때 엣지+몸의 기울기로 인해 빠르게 데크가 돌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너비스턴은 경사도가 있는 구간에서는 몸의 기울기를 줄이고 이쁘게 슬립을 내면서 상체로테이션만으로
돌리는 연습을 해 보세요. 그러면 로테이션을 통해서 데크가 폴라인과 수직으로 돌아오는 시점에 프레스를 주면
데크의 속도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쭉~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거라 봅니다.
2번의 질문 역시 1번과 동일한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거라 생각됩니다. 턴이 부드럽게 되기 보다는
급하게 데크가 돌아가니까 속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추측되네요. 저도 이런 적이 있었는데 실력이
안 느는 것 같아 답답하더라구요.
이 때는 강습이나 원포인트를 받으면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1~2시간 정도면 교정이 됩니다.
원포인트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더 자세한 답변은 고수님들께서^^
프레스는 턴을 하기위한 하나의 요소입니다....기울기(엣징) 로테이션과 함께...
이것들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카빙이되고 슬턴이되구요...
같은구피라서 답글달아봅니다.
1. 카빙을 하세요. 슬라이딩으로 프레스를 주니까 ..속도가 줄어듭니다. 카빙으로도 프레스가 많이들어가면 속도가 줄어들긴하지만 확줄어들진 않으니가. 그경우는 아닐거같네요. 당연한이야기지만 프레스를 주는 이유는 s를 그리기 위한것. 방향전환을 하기위한것입니다. 직활강할때는 프레스줄 이유가 없지요. 바꿔말하면 반원을 그리기때문에 프레스가 생기는겁니다.
2. 슬라이딩을 좀 줄이면서 수평으로 가는 속도를 이끌어내세요.(로테이션을 줄인다던지) 카빙연습도 좀해보시면 감이 오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