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것은 흔히들 말하는 너비스 턴이죠. 사실 이 너비스턴을 정확하게만 마스터한다면 구지 알려주지 않아도 카빙의 느낌을 잡을것이며 슬라이딩턴의 느낌도 잡을거에요. 어드벤스드니 뭐니 다 여기서 테크닉만 좀 추가된거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제발 자세가 좋지 않은데 다른걸 연습하려 하지
마세요. 너비스가 잘 되지 않는데 카빙을 마구마구 파기 시작한다면 곱등이 되기 딱좋습니다. 나쁜습관들면 고치는건 두배로 어렵습니다.

실제로 너비스턴만 진짜 잘하다보면 어느센가 자신도 모르게 카빙턴을 한턴 두턴 느끼게 될태고 그 느낌을 바탕으로 자신맘대로 카빙턴을 할수 있게 될거에요.

자 인제 너비스턴을 마스터 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드릴게요. 일단 bbp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항상 몸의 코어가 터레인에 수직으로 설수 있어야 합니다 그상태에서 팔은 자연스럽게 약간만 벌려주시며 시선은 갈곳을 향해 바라봐 주세요.
그후에 업다운을 연습할탠대요. 곱등이가 되지 않기 위해선 다운이라는게 허리를 굽히지 않는 자세란걸 아셔야 합니다. 여자가 마치 큰절을 하듯이 자세를 낮추어 주셔야합니다. 팔은 보드와 평행!! 즉 어깨라인 힙라인 무릎라인이 보드와 평행이 되는상태로 다운이 이루어 져야만 합니다!! 힐턴이던 토우턴이던. 토우턴 할때 연습하기 매우 어려울태지만 고운자태로 여자가 하는 큰절한다는 기분으로 내려가세요. 최대한 몸의 관절을 접어주세요. 몸의 주축. 즉 코어가 항상 보드 베이스의 수직선에 있어야 합이다. 이걸 연습하기 위해서는 경사가 많으면 힘들어요. 토턴을 제가 언급한 자세로 연습할수가 없기때문이에요.
이게 몸에 익으시면. 약간 경사가 있는 슬로프로 옮겨주세요. 지금까지 연습한 다운은 보드 베이스 or terrain에 직각으로 앉는법이에요. 속도와 턴이 가미된다면 이렇게 앉을경우 몸의 기울기만을 이용해서 턴을 하게 될거에요.
경사가 있는 슬로프에서 약간의 스피드가 필요합니다. 우린 인제 엥귤레이션을 연습할거니까요. 엥귤레이션이란 몸의 관절을 이용하여 에지의 각도를 조절하는걸 뜻해요. 혹은 몸의 각도를 조절한다 생각하셔도 다를바는 없습니다. 경사가 없다면 여지까지 연습한대러 턴을 하면서 업다운을 하더라도 몸의 코어는 거의 슬로프와 직각일거에요. 하지만 경사가 점점 심해짐에 따라 이와같은방법은 몸의 벨런스가 보드 바깥쪽에 노이므로 좀더 고급스러운 라이딩을 하기 힘들어집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 몸의 관절들을 이용하여 몸이 슬로프와 직각이 되게 만드는거에요. 크로스 언더 포지션이라 하면 이해가 좀더 빠르려나요? 토턴일경우 몸을 부츠쪽으로 눌러주면서 엉덩이를 집어넣어 줌으로써 허리를 슬로프와 수직이 되도록 해 주며 힐턴일경우는 쭉 눌러앉아주시되 그냥 상체만 슬로프와 수직이 되도록앉아주시면 됩니다. 속도가 빠를수록 경사가 가파를 수록 더 깊게 앉아주세요.

쓸대없이 슬로프와 속도도 안맞는데 깊게 앉아주고 하지 마세요. 오히려 벨런스가 맞지않아 더 보기 흉물스러워 집니다. 과도 하게 연습하는거는 처음에 느낌을 잡기 위해서 하는것이지 평상시에 그렇게 타버릇하면 오히려 좋지 않은 습관이 되어 버립니다.

또다른 팁 하나. 많이들 상체가 먼저냐 하체가 먼저냐 이런 고민을 하십니다. 상체는 강한 로테이션을 발생시키나 힘의 전달이 늦어 하체가 돌아가기 힘듭니다. 반대로 하체만 사용할경우 반응을 빠르나 강한 로테이션이 되지 않습니다.

너비스턴의 경우 처음에는 상체중심으로 하겠지만 차츰 차츰 이것이 익숙해질경우 상체만으로 하지마시고 하체 까지 같이 사용해주세요. 하체가 상체를 리딩하는것이아니며 또한 상체가 하체를 리딩할 필요또한 없습니다. 상체와 하체가 동시에 같이 움직이도록 신경써주세요. 이경우 하체에 좀더 신경쓰고 상첼 하체가 잘 역할을 할수있을만큼만 돌린다고 생각하시면 굉장히 벨런스가 좋은 너비스턴을 하실수가 있어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 일단 토대가 카시입니다. 사실 카시교본에서도 어드벤스 슬라이딩이나 카빙같은경우 정해진 방법이 없습니다. 다만 사람마다 부족한 스킬을 고쳐주므로써 어드벤스 라이딩에 가깝도록합니다. 프레셔 컨트롤의 경우도 전혀 언급이 없습니다. 다운언웨이티드를 사용해야하는지 업언웨이티드를 사용해야하는지. 다만 이 모든것은 상황에 맞게끔 라이더가 선택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PS 어드벤스드 라이딩을 구분하는 기준또한 턴의 간격이 아닌 언제 엣지체인지가 되는지 턴이 어떤호를 그리는지가 턴의 난이도를 나누는 기준으로 되어있습니다.
엮인글 :

차만멋진오빠

2014.01.16 15:30:59
*.90.66.99

다 맞는 말씀 입니다

하지만 주말 보더입장에서 주위에 자세 BBP 유지, 정확학 호 그리기 만 하다가 지쳐서 보드 접은 사람 많아요

정석만을 파기엔 주말이 너무 짧아요

즐길려고 하다보니 살짝 곱등이라도 카빙맛도 느끼고 어설퍼도 상급가서 어드벤스 슬라이딩 턴도 해보고 재미를 느끼면

나의 부족한점도 느끼고 다시 수정해 나가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호암

2014.01.16 15:48:54
*.36.149.42

전 파랭님 의견에 동감합니다
제 주위에. . .
질리지 않도록 재미위주로 타던 사람들 대부분 어설픈 중급카빙에서 접었습니다
보드는 한계가 있다나요?
한달에 한두번다닌다는 주말 직딩보더는 다섯시즌이
넘도록 너비스턴 마스터 중입니다만
10 년쯤 탓다는 사람도 그친구 앞어서는 잘난척 못합니다
그친구는 너비스턴이라 합니다만 제가 보기엔 어드밴스도 넘어 카빙인지 슬턴인지 경계도 모호하게 상급슬롭을 가르고 내려갑니다

파랭이최고다

2014.01.16 18:07:57
*.6.117.72

멋진오빠님 말에 많은부분 동감하내요. 솔직한이야기로 앞에서 끌어주는 사람이 없다면 독학으로는 정말 업다운 제대로 하기까지 많은시간이 걸리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제대러 밟고 넘어간다면 오히려 보드라는 취미에 더욱 더 깊이 빠질수 있으실거에요. 혼자 어설프게 하는건 오히려 독이 될 확률이 더 큽니다. 그리고 너비스턴이 재대로만 연습한다면 굉장히 재밌습니다... 하하 제가 변태인가요...? ㅋㅋ 전 너비스턴으로 큰절하듯이 사뿐사뿐 내려올때가 가장 제 보드인생에서 즐거웠던거 같습니다 ㅎㅎㅎㅎ

차만멋진오빠

2014.01.16 20:11:51
*.90.66.99

제가 말씀 드린건 주말 보더 입장에서 극초반 배우는 입장에서 말씀드린거요

제대로 배우고 싶다면 정석대로 너비스턴을 완전 마스터하고 가는게 맞는 말씀인거 같습니다.

상급에서 어느정도 타고 내려오지만 아직도 너비스턴 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 저를 볼때 마다 파랭이 님 말씀이 뼈속 깊이 박히네요 ㅜ.ㅜ

OolOBBA

2014.01.16 19:01:37
*.7.52.94

누군가 그랬죠.
너비스턴안에 모든게 있다고ㄷㄷㄷ

초보때 너비스턴과 조금 많이타고난후의 너비스턴은 다르더라구요.

진짜 너비스턴이 진리입니당.

칼럼처럼 원리를 이해하고 더욱 올바른 너비스턴을 하려는 노력이 실력을 향상시켜주더라구요.

고미파파

2014.01.16 20:53:58
*.139.58.71

파랭이님 칼럼은 항상 주의 깊게 정독하고 있습니다... 


페달링 칼럼 쓰신거 참조하면서, 슬라이딩턴 다시 연습중인데요!!!

저는 정말 토우턴이 너무 안되더라구요!

(말씀하신 발목 컨트롤 신경 쓰면서, 전/중/후 넣으면, 보드가  팽팽 돌고 살짝씩 뜨긴 하는데.. 토우턴때 왜이리 반경이 짧고 빠르게 돌기만 하는지, 특히 진입시에 강설 만나면 정말 쥐약이네요 ㅠㅠ - 좋은 연습 방법이 위에 연습방법 말고 따로 있으면 염치없지만 부탁 드릴께요)


윗글 머릿속에 넣고 너비스턴부터 다시 연습해 봐야 겠네요... 


적절한 시기에 좋은 칼럼 감사드려요!!!

파랭이님 쵝오!

파랭이최고다

2014.01.17 00:11:12
*.6.117.72

아무래도 사람 관절 생긴모양이 힐턴보다는 토우턴이 유리해요. 그래서 나중에
많이들 고민하는게 힐턴의 실력 향상
혹은 토우턴을 죽이는거죠. 이경우 카운팅을 해서 힐턴 도는 시간과 토우턴 도는 시간을 비슷하게 맞춰야 해요.

혹은 턴이 자연스레 돌게끔 한다는 입장에서 봤을때. 이게 중요한데요. 턴을 억지로 스티어링으로 돌리려고만 할때 힐보다 토우가 더 많이 꺽여요. 몸의 체중이동에 대해 신경써보세요. Let your board slide!! 라는 느낌으로 너무 억지로 꺽을필요 없어요. 보드가 가는길에 약간의 컨트롤을 더해준다는 느낌으로 해보세요. 혹은 지금 너무 기울기에 턴을 의지하면서 스티어링을 넣지 읺으시는지? 엥귤레이션 스킬이 부족할수도 있고요.

혹은 너무 과도한 피보팅이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상체 스티어링은 굉장히 강한 힘의 흐름을 발생시킵니다. 토우턴시 상체를 너무 사용해버리시믄 힐턴이 죽는경우가 발생해요. 너비스턴 이야기했을때 언급한 상체가 리딩하지도 하체가 리딩하지도 않아야 한가고 언급한
부분이 있는데요. 어드벤스드 레벨의 라이딩을 연습하는데 있어서 어느 한부분만의 과한 로테이션은 독입니당.

지금 페달링을 생각하신다는건 턴을 아주 깊게 말기 위한거에요. 그러기 위해선 bbp, press, edging, pivoting, timing and cordination 이 모든 스킬이 매우 잘되어야 하는부분인데요. 여기서 부족한 부분을 찾아야 되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고미파파

2014.01.17 09:28:45
*.139.58.71

많은 도움이 된거 같습니다... 감사드려요!! ^^

벅벅

2014.01.20 08:58:24
*.111.1.140

제 문제점이 이 칼럼에있어 하루에도 몇번씩 다시보고 곱씹고 머리속에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일이바빠 이번달 하루도 못쉬고 일하고있지만ㅠ
설 연휴때 파랭이님 말씀처럼 다시 연습해야겟습니다 감사합니다

파랭이최고다

2014.01.21 04:26:49
*.151.231.202

한번에 여러개 할려하지 마시고 하나만 붙잡고 고치려 해보세요. 여러부분 생각하믄 복잡해서. 한번에 하나만 고친다는 생각으로!!! 여러개 잡을라면 같이타는 고수가 꼭 필요해요. 자세를 봐주면서 바로 피드백을 받는게 중요하거등요. 그럼 안보하세욥.

뚱모

2014.01.29 14:13:06
*.210.186.126

제대로된 너비스턴으로 진화된 어드밴스드 슬턴을 구현해보자구요 ~!

즈타

2014.02.09 17:52:12
*.140.182.159

아아 어렵다 ㅠ.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의학,부상,사고 카빙 보다 허벅지의 굵기가 중요합니다. [7]

초보를 위한 강좌 슬라이딩턴 어렵게 연습하지 말자~ [11]

  • 재퐈니
  • 2014-02-01
  • 추천 수 8
  • 조회 수 10317

CASI "The Carve by RICKY 입니다~!!"를 보고 CA... file [22]

  • TKLee
  • 2014-02-01
  • 추천 수 21
  • 조회 수 7344

기술(테크닉) 팔을 흔드는 이유 file [35]

  • Lunatrix
  • 2014-01-30
  • 추천 수 47
  • 조회 수 15097

기술(테크닉) 스노우 보드 역학 - 턴하는 동안 보드에 가... [12]

  • Akapoet
  • 2014-01-28
  • 추천 수 5
  • 조회 수 6044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3. 자세 file [21]

  • Lunatrix
  • 2014-01-23
  • 추천 수 33
  • 조회 수 10991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2. 행동 file [9]

  • Lunatrix
  • 2014-01-22
  • 추천 수 18
  • 조회 수 9224

기술(테크닉) 라이딩에서 전경, 중경, 후경? file [3]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1. 전경후경과... file [32]

  • Lunatrix
  • 2014-01-21
  • 추천 수 46
  • 조회 수 13608

기술(테크닉) 라이딩 이론에 대해서.... [42]

  • leeho730
  • 2014-01-19
  • 추천 수 12
  • 조회 수 3311

기술(테크닉) 돌핀턴을 보고 싶어요 [21]

기타 동영상 자료실의 링크없이 동영상 올리기.. file [11]

일반 제가 생각하는 올바른 자세의 중요성!! 부제... [12]

일반 아빠 라이딩 수칙 [8]

  • APPA
  • 2014-01-15
  • 추천 수 10
  • 조회 수 2390

초보를 위한 강좌 크로스오버 언더 쓰루 [21]

  • 야수파
  • 2014-01-15
  • 추천 수 10
  • 조회 수 7600

기술(테크닉) 비로거님이 이야기하신 부분에서 아쉬운 점 [26]

  • temptation
  • 2014-01-14
  • 추천 수 13
  • 조회 수 3493

초보를 위한 강좌 2일차 자세교정 [2]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3. 1/4턴부터 시작해서 턴을 완성하자... [4]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2. 사이드 스텝 - 부제 : 적극적으로 넘... [1]

기술(테크닉) 닥라 참가자 몇몇에 대한 평과 아쉬운점 [220]

  • 비로거.
  • 2014-01-10
  • 추천 수 162
  • 조회 수 12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