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글쓴이 글과 댓글과 약간 괴리도 있기도 하고..글쓴이 말만 보면 또 맞기도 하고..저도 고속 라이딩을 좋아하는데.. 문제는 그게 직선이 아니라 궤적과 호를 크게 그리는... 걸로요. 여튼 라이딩.. 왜 이 댓글을 다냐면.. 오늘 폭설 오는 중에 타보니... 아.. 집에 가고 싶더군요. 속도가 느리니 자세는 또 기가막히게 잡히긴 한데 이게... 이게 아닌데.. ㅎ 근데 댓글 보면.. 댓글도 맞고.. ㅋㅋㅋ
바른자세 잘못된자세 올바른자세 나쁜자세 과연 누가 정한것일까요? 예를 들어봅시다 니뽄스타일 히로유키 토턴에서 후경을 주며 고관절을 접어 상체를 숙여 밸런스를 유지합니다 어깨는 열려있습니다 카시스타일을 볼까요? 중경을 유지하며 어깨를 닫습니다 어느게 틀린자세 나쁜자세라 말할 수 있을까요? 그렇다고 글쓴이의 글이 전적으로 옳다는 것도 아니지만 어느정도 공감은 갑니다 좀더 빠른... 좀더 익스트림한.. 빠른게 싫고 강한 외력을 느끼기 싫다면 평생 초보슬로프에서 자세만 신경써서 타면 되겠죠 그리고 무조건 반원을 그려야 이쁜턴이고 잘타는것일까요? 호박이든 메주던 타원이든 반원이든 상황에 맞게 마음대로 호를 그릴줄 아는게 잘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턴이 터지지 않고 깔끔하게 안정적이게 타면 그게 멋지고 좋은 자세라 생각합니다 보드는 프리스타일입니다 고정된 관념을 던져버립시다
어제 영상하나를 보고 잠이 들었습니다.
업다운에 대한 내용이었는데,,,구체적인 내용은 동영상 게시판에 있으니 확인하시면 될것 같구요.
업다운에 대해 초보에게 필요한 이유와 중상급자에게 필요한 이유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초보에게 필요한 이유는 턴을 좀더 원활히 하기위해 데크의 접설면적을 줄이는 업 행위가 중점이 되고 중상급자에게는 좀 더 강한 프레스를 주기위해 다운이 중점이 된다는 내용이었지요.
자세라는 부분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좀 더 안정적인 자세 올바른 자세 즉 일정한 턴을 만들기 위해 효율적인 자세는 있다는 것이지요. 좀 더 담백한 자세를 위해 불필요한 습관들을 만들지 않도록 노력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효율적인 자세라는 것에대해 초보자에게 강조하는 부분이 어느정도 실력을 쌓은 중상급자 들에게는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상당한 라이딩 실력을 갖추신 분들도 초보시절이 있었고 본인들의 효율적인 자세를 만들기 위해 수없이 반복되는 연습의 결과물로 현재의 자세를 가지는것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그러한 단계의 라이더들에게 효율적인 자세라는 것은 라이더의 신체스펙이나 라이더의 근육 활용부위와 근력량 등에 따라 다양한 자세들이 나올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러한 라이더 들에게 한가지 잣대를 가지고 자세가 나쁘다 좋다라고 하는것이 의미가 없을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이미 효율적인 자세를 만들기 위해 초보자들에게는 불필요한 습관이 될 수 있다고 자제시키는 행동을 본인들의 효율적인 자세를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효율적인 자세를 위해 기본자세에 첨가하여 변화시키고 진화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일본 동영상을 보더라도 각 라이더들이 주장하는 기본이론은 일맥상통하나 자세는 조금씩 다릅니다. 하지만 누구하나 모자람 없이 고경사에서 멋진궤적을 그리며 카빙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더라 이겁니다.
예전에 헝글을 들어와서 자세관련 질문과 댓글들을 보면 어느정도 까지는 우리가 아는 기본적인 자세로 타기위해 노력하고 그 이후에는 본인만의 멋진자세를 만들라는 조언들이 많았습니다. 요즘은 정답은 하나라는 기준으로 말씀하시는 분이 많은것 같아서 안타까운 마음이 좀 있습니다.
장황하게 댓글을 써놓고 어떻게 마무리 해야할지 못르겠네요. 다들 안전보딩하시고 남은 시즌 즐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