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순수 이론적인 질문입니다.

프레스를 준다는게 생각해보면 하중을 준다는건데
누를때랑 들때를 제외하면 항상 똑같은하중이 실리는거 아닌가요? 관성의법칙이요

누르고 유지하는 상태면 데크를 누르는 힘은 그냥 서있을때와 똑같아지는것 같은데...

갑자기 에프는 엠에이가 생각나서 문의드립니다.
엮인글 :

01030431438

2014.01.27 21:24:07
*.226.208.78

어렵네요 ㅎㅎ
어째튼 리바운딩 느끼면서
프레스가 들어가긴 했구나하고 생각함

고수가부러워

2014.01.27 21:28:36
*.36.142.250

다들 느끼시는거보면(물론 전 제외) 뭔가 있는거같긴한데...제 수준은 딱 에프는엠에이ㅋㅋㅋ

funkyhsc

2014.01.27 21:45:36
*.241.164.66

저도 이걸 무진장 생각하고 여기저기 찾아봤습니다....

보드 이론을 보면, 뭔가 애매한 것들이 참 많더라구요~~

업에 관한 내용이나 다운에 관한 것들이 특히 그렇죠

요즘은 머리가 너무 복잡해서, 몸으로 해보려 합니다...

잘못된 이론들은 잘 타는 순간 몸에서 사라지고, 머리에서도 사라지겠죠.

 

제가 생각하는 프레스를 생각나는 데로 조금만 말해볼께요~

제가 잘 타고 그런건 아니고, 저두 그런 생각을 많이 해봤기 때문에 조금 털어놔보려구요.

 

몸무게 70일때 어떻게 해도 내 몸무게 70 인데

내가 몸을 내리는 동작중에 몸무게는 약간 줄고, 다 내린 순간 몸무게는 잠깐 조금 늘어나요

몸을 올리면 올리는 동작중에 몸무게는 약간 늘고, 다 올린 순간 잠깐 줄죠

 

생각해보면 어떻게 점프하듯이 뛰면, 몸무게가 늘어나느 순간 없이도 줄일 수도 있을거 같은데..

 

사람의 몸이 그냥 고체로 생각하고 물리적으로 생각하기엔 좀 애매한 거 같기도 하구,,

 

 

어쨋든 님이 질문하신 부분을 저도 생각해봤는데,

그 부분은 이런거 같아요..

우리가 보드위에 그냥 서있으면 보드 전체가 내 몸무게를 나눠서 받지만,

내가 한쪽엣지에 다운하면서 있으면 그 엣지에만 내 몸무게가 집중되자나요

그래서 다운은 낙차의 힘으로 무게를 내가 싣고 싶은 타이밍에 주는 것과,

다운으로 내가 앵귤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만들어서 주고 싶은 부위에 프레스를 준다고 생각합니다.

고수가부러워

2014.01.27 21:55:06
*.36.142.250

아 저와같은 의문을 가진분이 저말고도 계셧군요~
한쪽에 다운하면서 그엣지만 체중을 싣는다고 생각하면 어느정도 이해는되네요.
그리고 플러스효과로 무릎이 내려가는건 설면에 따른 댐핑작용 정도로 보면되는건가요??

그나저나 이론을 실제 몸으로 실천해보고 잘못된 이론는 거를수잇는 그실력이 미천하다고하시면 이니되옵니다ㅋ

funkyhsc

2014.01.27 22:04:25
*.241.164.66

댐핑??? 쇼바 같은 말씀인가요??

저는 다운하는 걸 그래서 몇가지 정도로 생각해서 봐요~

생각나는 데로 적어보면

낙차의 다운 관성힘

내가 원하는 부위에 무게를 싣기 위한 효과적인 자세

원심력을 버티기 위한 효과적인 자세

속도에 의한 안정적인 자세

앵귤레이션

그리고 님이 말씀하시는 댐핑?? 쇼바?? 그런 효과도 생각해서 봅니다

 

그런데 내가 다운으로 프레스를 의도적으로 줄시에는 무릎 (하체) 를 약간 강하게 고정해요.

쇼바의 느낌으로 하려면 프레스가 안먹히는 거 같아서요~

뭐 이것도 그때그때 좀 다르게 하긴 해요~

 

그말이 그말인거도 같은데 암튼 그래요 ㅎㅎ

 

누칼이고 까페 블로그 카시 고 뭐고 다 뒤져도

속 시원~~~ 해지지 않는건 내가 멍청한 건지 몬가 이론에 문제가 있는건지...

 

복잡할 때, 개인적으로 하는 게 몇 가지 가 있어요.

타다가 복잡해지면 더 잘 안타지던데, 나만 그런가 ㅎㅎ

ㅎㅎㅎㅎ 참고만 하세요~

 

1. 진짜 잘타시는 분 동영상을 보고 눈으로 익힌 거에 집중한다. 데크의 움직이라던가 등등

2.그냥 스탠스 앤 발란스, 피버팅, 엣지, 프레스, 타이밍 앤 컨트롤 그냥 요렇게만 생각한다.

3. 데크의 형태, 뒤틀림, 휨 이걸 내몸으로 활용해서 설질 설면 등과 조화되어 탄다

4. 그냥 재밌게 탄다 ㅎㅎ

고수가부러워

2014.01.27 23:04:25
*.36.142.250

1.2.3번을 다양하게 시도해보다 이론도 한번볼까생각해서 첫 든 의문이 이거네요ㅋㅋ
4번이 답인가봅니다ㅋ

nbg157

2014.01.27 22:05:38
*.34.146.70

힐턴시 느낀것인데 그냥 스쿼트 하듯이 다운하는것과 다운하면서 엣지로 설면을 강하게 파고들며 눌러준다고 생각하는것과 느낌도 효과도 다르더군요 동문서답같네요 ㅠ

funkyhsc

2014.01.27 22:08:53
*.241.164.66

ㅇㅇ 그러거보면 낙차의 힘 플러스 근력의 힘을 사용하는건가... 아~~~

불꽃싸닥션

2014.01.27 22:09:18
*.206.49.111

글쓴분께서 생각하시는 f=ma를 적용하시는게 아니고 w=fs를 적용하셔야 합니다.

중학교 1학년 물리시간에 나오는 일의 개념이지요

f=ma는 힘과 질량과 가속도의 관계에요~

w=fs는 일과 힘과 거리의 관계지요~

고수가부러워

2014.01.27 23:02:40
*.36.142.250

프레스를 준다는건 데크를 누르는 F가작용한다고 생각햇는데 아닌가요???
일이라함은 힘을주고 변형을 발생시키는건데 F가 일정한데 변형이 발생하는게 이해가 잘안됩니다.

파쓰

2014.01.27 23:12:10
*.35.115.27

직선적인 움직임에서의 이론이구여 실제 보드의 프레스는 원심력을 버티는 체중+근력이라고 보시면 쉬우실듯요

Akapoet

2014.01.27 23:12:48
*.2.42.19

다운을 멈추는 순간 관성에 의한 압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업을 하면서 다리로 밀어내는 것도 역시 가압행위입니다.

그래서 프레스 엔 프레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턴을 하기에 원심력이 작용합니다.

원심력은 질량x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됨으로 체중이 일정해도 더 빠른 속도로 턴을 하면 

더 많은 압력을 가할수 있습니다.  


저도 많이 궁금했던 내용이라 찾아본 것이지만 

왜 다운을 하면 가압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한가지 답입니다.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관성 (혹은 관성 질량) 모멘트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물체를 각 부위로 나누고 각 부위의 질량이 가지는 각각의 모멘트는 일종의 질량으로 작용하며

회전축에서 멀어질수록 이 관성 모멘트는 증가합니다. 

간단히 말해 더 많이 주저 앉을 수록 더 큰 질량으로 작용합니다. 


그 외에 다른 요인들이 작용하는지 찾아보고 있습니다. ^^;

고수가부러워

2014.01.27 23:29:42
*.146.161.130

아 말씀하신걸 보니 확실히 이해가 되었습니다.
실제 턴을 구성하는 원에서 원의 중심에서 보더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를 고려햇을때 보드에 프레스를 줌으로 인해서 무게중심을 낮추고 그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원심력이 커지는군요??
확실히 f=ma라는 정역학보다는 동역학이 필요한시점이군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백만송이장미

2014.01.27 23:36:55
*.206.115.78

1. 경사면에서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체중 만큼의 프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2. 직활강하고 있을 때에는 중력에서 설면에 평행한 분력은 이미 보드(라이더)를 가속하는 데 쓰이고 있어서

실제 프레스는 설면에 수직인 분력뿐입니다 실제 체중보다 작지요

경사가 클수록 더 작아집니다

 

3. 진행하고 있는 보드에 엣지를 세우면 베이스가 향한 방향으로는 그립력이 생겨서 속력이 줄어들고 이 속력이 0이 되면 카빙턴이 됩니다

보딩에서는 이러한 그립력을 이용해서 방향과 속력을 컨트롤하게 되는데

그로인해서 중력 이외의 또다른 힘을 받게 됩니다

사이드슬리핑에서 정지할 때라든가 보드가 곡선을 그리면서 진행할 때 생기는 관성력(원심력)이 그것인데

이제는 중력과 관성력의 합력만큼의 하중을 라이더는 받게 됩니다

라이더의 무게중심은 이 합력의 작용선상에 위치해야 하는 거구요

별빛향수

2014.01.29 09:41:13
*.120.201.165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6674
95251 웰리힐리 젤리 에어매트 항상 설치되어 있나요? 요금은? [4] 조용한세상으로 2014-01-27 534
95250 일본 원정 추천좀여~~ ^^ [3] 여우07 2014-01-27 441
95249 레이즈비 데님 바지 어떤가요?? [4] 차두리아노 2014-01-27 971
95248 스키장가면은요 ㅎㅎ [3] 티모짱 2014-01-27 416
95247 보드세트 궁합 좀 봐주세요... [2] 환이왕 2014-01-27 387
95246 대전에서 휘닉스/용평/하이원 다니시는분~~ 시즌버스가 리무진인가요?? [5] 추_남 2014-01-27 1240
95245 부산촌놈 강촌엘리시안 가요!! [4] 와우!! 2014-01-27 393
95244 보드복 튜닝 문의.. file [2] 니냐니뇨 2014-01-27 422
95243 슬로프 매너 문의드립니다! [8] ADD+ 2014-01-27 387
95242 어반어스 vs 엑시트 [2] 아드리아주 2014-01-27 623
95241 10/11 살로몬 펄스 데크 질문합니다. [1] 하이원돌이 2014-01-27 1177
95240 머리가 터질거 같아여.. 고글 좀 골라 주thㅔ여.. [15] lanuit 2014-01-27 572
95239 나이트로 블랙라이트 길이질문입니다. [5] 용용이. 2014-01-27 459
95238 토턴시 슬립이 자꾸나요 ㅠ [8] nbg157 2014-01-27 393
95237 데크상처난 곳 에폭시로 작업하면 괜찮을까요?? file [4] sky난다 2014-01-27 1567
95236 롬 앤썸 데크 질문합니다. [1] 하이원돌이 2014-01-27 420
» 기초적인 프레스 문의드립니다. [15] 고수가부러워 2014-01-27 391
95234 알파인보드 스키와 같이 딘수치 넘는 과도한 힘 전달시 탈착 되나요? [4] 알리알리짱 2014-01-27 524
95233 데크 사려고 하는데요...조언 좀..ㅠㅠ [6] sejar2k 2014-01-27 339
95232 초보 보더의 몇가지 질문 [3] 낙옆신동 2014-01-27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