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
강사에게 강습을 받았는데요
한분은 업을 한 후 상체로테이션을 하고 엣지체인지 다운하면서 엣지건다..
한분은 상체는 중립이고 업하고 엣지체인지 다운으로 가는거다.
어떤게 맞죠? ㅜㅜ
2014.02.13 00:12:54 *.62.178.6
2014.02.13 00:28:07 *.141.192.81
첫번째처럼 카운터 로테이션은 슬라이딩되면서 슬립납니다.
2014.02.13 01:02:06 *.226.208.35
저도 이게 고민중인데.......제가 내린 결론은 상급자로 갈수록 상체 로테이션 사용해야된다 입니다. 근데...어렵더라구요..테일쪽 슬립이 ...자꾸.....ㅠ.ㅠ
2014.02.13 01:03:57 *.132.122.238
2014.02.13 01:39:34 *.99.229.108
과도하지 않게 그리고 리딩이 아니라서 그렇죠.
로테이션 합니다. 보드 움직임과 함께 간다고 생각하면 편해요
간혹 카빙=로테이션x라는 분들 있던데 이해불가;
2014.02.13 02:05:30 *.226.208.35
정답인거 같습니다. 보드 움직임과 함께.....
2014.02.13 08:39:36 *.22.73.65
2014.02.13 09:46:34 *.92.9.246
제느낌적으로는
로테이션이 선행하며 그 것으로 데크를 잡아돌리는것 (슬라이딩턴)
엣징이 선행하여 그 사이드컷으로 라인잡아 가는것 (카빙)
으로 됩니다.
카빙시에 로테이션처럼 보이는 팔과 어께의 동작은 동작 자체는 비슷하지만
로테이션을 목적으로 하는 동작이 아니라 엣지체인지와 조금의 프레스쪽에 좀더 목적이 있다고 봅니다.
(동작이 비슷하지만 선행과 후행이라는 차이점이 있고 목적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2014.02.13 10:34:51 *.108.196.61
이래서 보드는 한명에게 배워야 해요 ㅎ
2014.02.13 10:47:04 *.33.186.6
2014.02.13 11:04:58 *.7.49.83
2014.02.14 00:59:01 *.62.178.6
2014.02.13 11:06:33 *.34.172.36
저도 많이 고민하는 부분인대.... 저는 롱카빙이나 좀 큰 미들 카빙시에는 상체 로테이션을 쓰지 않아도 된다 였습니다.
강습도 받아 보고 했는대 다들 한결같이 상체는 고정하고 어께가 선생하는 방향으로 그냥 놔 두라고 하더라구요..
하지만 숏카빙은.. 이야기 가 달라지네요......
2014.02.13 12:29:24 *.36.152.113
대답은 다 달라도 몸으로 경험하신 분들이라면 무슨 말인지 공감하실것같네요~
상체 로테이션이 없는건 아닙니다
다만 엣지를 체인지 시켜 턴을 시작하는게
카빙이며 엣지체인지후에 상체 로테이션
살짝 들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