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딩은 완만한 곳이면 레귤러 구피 다됩니다.
데크가 고물이고, 노즈가 안들릴정도로 단단한 높은 캠버 정켐이구요...
할줄알는 그트라곤 깔짝알리뿐입니다.
스위치 전환할때 폴짝 뛰어서 방향바꾸는 사람 있던데... 따라헐려니 후덜덜...
제가 시도하면 무조건 자빠링 할까요?
어
떻
게
합
니
까
정말 쉬운 방법을 동영상으로 봤어요... 처음엔 장난스러운 동영상인지 알았는데... 아니더군요.
어느 에지로 팝을 뛰어서 어느 에지로 떨어져야 하는지... 쉽게 몸으로 익힐 수 있는 방법이더라구요.
그리고 말로 또는 몸으로 가르쳐 주기도 쉬워요.
레귤러를 기준으로...
'bs 180' 은 '토에지' 상태에서.... 백사이드 즉, 오른쪽 방향으로 뛰어서 '토에지' 상태로 착지 ...구피가 진행방향이 되어야 합니다.
착지할때 고개가 먼저 돌아가면 몸도 돌아가기 때문에 안정적 랜딩에 방해가 되기때문에... 착지 후에 데크가 안정적으로 진행될때 고개를 진행방향으로 돌려줍니다.
이걸 대놓고 빠른 속도로 활강하면서 뛰면 자빠질 확률 높으니...더 안전하고 몸으로 이해하기 쉬운 방법이...아까 말한 동영상이었는데요..
레귤러를 기준으로...
1. 매우 느린 속도로 오른쪽으로 사활강을 합니다. 느릿 느릿...
2. 기본적으로 턴은 에스자를 그리기 때문에... 오른쪽으로 사활강 후에는 반드시 왼쪽으로 턴을 해야합니다.
3.즉, 오른쪽 사활강에서 턴 체인지 시점에서의 'bs 180' 이란것은... 오른쪽으로 살짝 팝을 10cm만 뛰어서 레귤러 상태로만 만들면...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시 말씀드리자면...
오른쪽 사활강 상태에서 'bs180'을 뛰려면... 토에지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팝을 쳐주면서 레귤러 상태에서 토에지로 착지합니다.
이걸 조금 얍삽하게 이용해서...
매우 느린 사활강 상태에서... 그저 살짝 1cm 팝을 쳐주면서... 몸을 오른쪽으로 10cm만 돌리면서 토에지로 랜딩해주면...
이게 'bs 180'이 됩니다.
이걸 머리와 몸으로 이해한 후에... 점점 빠른 속도와 더 많은 각으로 더 높게 뛰면...간지가 나기 시작하겠죠.
(동영상 찾아볼게요...)
그라운드 트릭은 보통
1.어프로치와 랜딩자세 숙지 - 2.이미지 트레이닝 - 3.평지연습 - 4.저속연습 - 5.고속연습 순으로 하는 편이 좋습니다.
레귤러와 구피가 어느정도 익숙하시다면 원에리는 크게 어려움 없이 배우실수 있습니다.
원에리는 스핀기술이라기보다, 점프를 통한 스위치로 이해하시고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가장 배우기 쉬운 B/S 180의 경우 토턴에 진입하면서 무게중심을 낮춘 다음, 점프를 한 이후 데크를 돌려 랜딩하시면 됩니다.
시선은 어프로치에서 뒷바인딩쪽을 바라보시다가 점프와 함께 진행방향의 뒤쪽을 쳐다보시고, 랜딩 이후 천천히 시선을 앞으로 돌리시면 됩니다.
역엣지의 확율을 줄이려면 토엣지로 뛰어서 토엣지로 착지하는 편이 좋고, 처음에는 토턴으로 45도정도 진입하여 90도만 뛰는 것부터 연습하시면 보다 수월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그트 연습하면서 자빠링 안하고 성공하는 사람이 한명이라도 있었을까요..
그트라는게 눈도 좀 집어먹고 해야 느는것 같은데...
원에리정도는 이미 영상자료실에 수많은 분들이 강좌를 올려주셨으니 보시면서 따라해보세요~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