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너비스턴을 연습중인 초보인데요
턴은 연속해서 잘돌아가는데
턴하는중에 제 보드를보면 엣지가 많이 안서있어요..
다른분들은 보면 나비스턴하는데도 다운할때엤지가 꾀나 서있는거같은데..
전 보니까 슬로프에서 살짝 떠있다정도..?느낌이더라구요..
엣지세워보려고 다운할때 몸을 많이 기울이니 꽈당을 자주하고..
나비스턴할때 엣지 잘세우는 노하우같은건 없을까요..?
너비스턴은 턴의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을 마친 후에(비기너턴) 프레스의 조절원리를 배우는 과정입니다. 업다운이죠. 다른분들의 어떤 라이딩 장면을 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너비스턴은 업다운과 피벗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으로 충분히 목적을 달성한 것입니다. 엣지를 세우는 것은 그 다음, 나중에 고민 하셔도 됩니다. 말씀하신 몸의 기울기는 인클리네이션을 활용하는 것인데 너비스턴이 아니고 비기너카빙을 시작할 때 배우는 개념이고요. 그런 이유로 너비스턴의 로테이션과 인클리네이션이 지금 시기에 섞이게 되면 꽈당하게 되는거겠죠 ^^ 물론 이렇게 칼같이 과정을 나누는게 어불성설인만큼 보드란게 굉장히 복합적인 역학을 가진 운동이긴 하지만 차근차근 하시면서 과정대로 하시는게 가장 좋은거 같아요~ 물론 저도 잘타는 축에는 못끼는 편이긴 하지만 제가 설명해드릴 수 있는 부분인거 같아 댓글로 남겨봅니다~ 아참! 그리고 턴하시는 동안에는 보드를 쳐다보시면 안되요~ 무조건 진행방향! ^^
속력, 엣지세우기, 기울기(무게중심과 데크를 잇는 선의 기울기) 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엣징과 기울기는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 엄밀히 말하면 속력에 따라서 기울기가 먼저 이루어집니다만
속력이 느리면 엣징과 기울기를 조금밖에 줄 수가 없고
속력이 빠르면 엣징과 기울기를 줄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집니다
" 엣지세워보려고 다운할때 몸을 많이 기울이니 꽈당을 자주하고.. "
엣지를 세운 정도는 그대로인데 기울기만을 추가해서입니다
하체는 그대로인데 상체만을 더 기울이셨을 겁니다
엣징은 정강이와 설면과의 각도에 의해서 만들어집니다
토턴 다운은
무릎과 고관절을 구부리면서 턴호의 안쪽으로 넘어지듯이 몸 전체를 기울입니다
속력에 따른
무릎의 구부린 정도, 고관절의 구부린 정도, 몸 전체의 기울기.. 를 경험을 통해 찾아가는 것입니다
너비스턴에서는 무릎의 구부린 정도보다 고관절의 구부린 정도가 작은 외경(린아웃)을 많이 이용합니다
힐턴에서는 오금과 설면과의 거리에 의해서 엣징이 만들어집니다
엉덩이를 설면에 가까워지도록 앉으면서 보드를 밀어내면
오금과 설면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엣징이 커집니다
엉덩이와 설면과의 거리, 무릎의 구부린 정도.. 여기에다가 상체를 수직으로 하느냐, 뒤로 조금 눕느냐, 앞으로 조금 숙이느냐에 따라서 기울기도 변화하게 되는데
힐턴에서의 속력에 따른 엣징과 기울기.. 또한 경험을 통해서 찾아가는 것입니다
너비스턴은 엣지가 아닌 베이스 면으로 타는게 맞습니다...말씀하신 경우는 카빙턴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