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잇장처럼 구겨진 체육관 (경주=연합뉴스) 김선형 기자 = 115명의 사상자를 낸 경주 마우나오션 리조트 붕괴사고 발생 나흘 째인 20일 오전 무너져 내린 체육관 천장이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은 현재 체육관 내부 모습.
↑ 아수라장된 경주 마우나오션 리조트 체육관 (경주=연합뉴스) 김선형 기자 = 20일 오전 경주 마우나오션 리조트 체육관 내부 모습. 무너진 천장 아래로 무대장치가 쓰러져 있다.
경주시 문화관광과 관광개발계 김경화 주무관은 "폭설로 비상이 걸려 리조트 측에 전화로 '눈이 많이 오니 치워달라.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요구했다"며 "관련 공문은 보내지 않았다"고 밝혔다.
관광개발계는 마우나관광단지 개발·관리 등을 담당하는 부서다.
그러나 리조트 측은 경찰조사에서 "체육관 지붕 등의 눈을 치우지 못했다"고 진술해 경주시의 요청을 무시했다.
경주시는 지난 13일 지역에 9.5~75㎝의 폭설이 내리자 각종 건축물과 노후 주택, 축사 등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달라는 연락을 했다.
특히 지난 10∼12일 경주·울산에서 마우나오션 리조트 체육관과 똑같이 철골구조물 설계공법(PEB공법)으로 지어진 건물이 잇따라 붕괴한 터라 시는 더욱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 것이다.
경주시는 지난 10일에도 6~33㎝의 폭설이 내려 붕괴위험 건축물의 소유자들에게 제설을 요청했으나 연락 명부에 마우나오션리조트를 누락했다.
붕괴사고가 난 지난 17일 경주지역에는 50~70㎝의 폭설이 내렸다.
사고현장에 출동한 소방 관계자 등은 "건물 구조상 하중에 취약한 체육관이 지붕에 쌓인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주저앉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경찰은 리조트, 이벤트업체, 시공업체, 경주시 등의 관계자 40여명을 상대로 업무상과실 및 부실시공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특히 시설안전관리 등을 담당하는 리조트 직원이 현장에 단 1명도 없었던 이유를 캐묻고 있다.
리조트 레저사업소의 직원 10명은 기계·전기통신·시설안전관리 등을 맡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확보한 자료 분석 및 관련자 조사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고원인을 밝혀내겠다"고 설명했다.
suho@yna.co.kr, sunhyung@yna.co.kr
(끝)
역시 노예근성이 있는건가...
앞으로도 계속 일어날 일이라 보네요.
지진이라도 나면 무너질 건물들 태반일 듯.. ㅋㅋ
여긴 일본이 아니라고 안일하게 건물들 8282정신을 가지고 짓죠. 원자재도 가격 후려쳐서 싸구려 쓰는게 인지상정일테고.... ㅎㅎ
일본처럼 한 번 대지진 일어나봐야 정신차릴 민족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