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헝글 이용자 여러분
오늘은 Day one에서 언급되는 CASI의 새로운 레벨1 스탠다드를 가지고 칼럼을 쓸려고 합니다.
한 시즌전에 CASI에서 라이딩 하는 방법을 크게 바꾸었습니다. CASI는 Lv.2 코스에서 지원자들에게 새롭게 바뀐 과정을 다시 소개를 하고 이에 맞게 지원자들이 새로운 커리큘럼을 이해하고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이 되는지를 평가를 합니다.
우선 새롭게 바뀐 레벨 1 스탠다드를 소개 하기 앞서 그 전에 우리가 알고 있던 레벨1 스탠다드를(***5가지 스킬) 잠깐 살펴보고 가겠습니다.
CASI 에서는 5가지 스킬로 보드를 가르칩니다.
개정 전 5가지 스킬은 아래와 같습니다.
1.Stance &Balance
2. Pivot/Steering
3. Edging
4.Pressure Contorol
5.Timing &Cordination
그리고 약 1년전에(***2013년) 위의 5가지 스킬이 개정이 되었는데 개정된 스킬은 아래와 같습니다.
1.Positon&Balance
2.Pivot
3.Edging
4.Pressure
5.Timing &Cordination.
5가지 스킬을 개정 전 vs 개정 후 이런식으로 비교를 해보면 단순히 용어만 바뀐듯 한 느낌이지만 그 속을 들여다 보면 엄청난 변화가 있습니다. 특히, 2번 항목인 Piviot(피봇)에서 그 변화가 매우 큽니다.
주로 비기너 턴에서의 변화 입니다. 저희가 비기너 턴을 하기 위해서는 상체 로테이션을 이용하여 보드가 따라오게끔 유도를 하여 턴을 완성을 합니다. 하지만 새롭게 바뀐 카시 레벨1 스탠다드에서는 상체로테이션이라는 용어와 개념이 사라진 턴을 구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즉, 하체의 움직임인 lower body roration을 이용하여 비기너 턴을 구사를 합니다.
(***하체의 리드로 인한 비기너 턴이 새롭게 바뀐 카시 레벨1 스탠다드 입니다)
이러한 교과과정의 변화를 감독관은 CASI Lv2 지원자들에게 설명을 해주고 다시 데몬을 보여 줍니다. 또한 오전에 충분한 연습을 시키고 과감히 상체 로테이션을 이용한 턴을 잊으라고 이야기를 해줍니다.
아래 링크는새롭게 바뀐 카시 레벨1 스탠다드 이며 30초에 제가 오늘의 칼럼에서 중점적으로 말한 하체로 리드하는 턴이 나옵니다. (***http://youtu.be/CsnP40mN9DY)
Day one의 핵심은 Lv2 지원자들에게 새롭게 바뀐 커리큘럼을 이해시키고 이에 맞도록 강습을 하는 능력을 요구를 하는게 첫 번째 날의 핵심입니다.
다음 칼럼은 레벨1 티칭 방법과 레벨 2 티칭 방법의 차이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Lv1 teaching method vs Lv2 teaching method)
허접한 칼럼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년전에 이주제로 토론했던 링크입니다 칼럼쓰실때 기울기에대한 저의 궁금함도 같이 좀 풀어주세요
http://.hungryboarder.com/index.php?document_srl=20615651&mid=Deb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