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뭐 제 기준이겠습니다만.
미들턴, 롱턴은 제외 하고
저는
라이더의 양쪽 "어깨 위치" 와 "폴라인" 그리고" 머리 위치"를 유심히 봅니다.
팔동작 .. 이건 보지 않습니다. 워낙 개인차가 심해서..
이는 스키에서도 나오는 이론인데
스키에서 숏턴 구사시 상체를 폴라인으로 블록킹 해라.. 라는 말이 나옵니다.
이유는 인터넷에 나오는 수많은 글들이 있으니 각자 알아서 한번 읽어 보시고
물수건을 예가 많이 나오니 한번 찿아보세요..
보드로 넘어와서
왼쪽 어께와 오른쪽 어께를 일정 각도로 폴라인으로 고정하는 이유또한 스키 이론과 별반 다르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실제 이론도 동일하구요..
숏턴 구사시 흔들리지 않는 어깨라인과 폴라인의 일치는.
빠르고 안정된 숏턴을 구사하고 있다라고 .. 저는 생각합니다.
보기에도 안정적으로 보이기도 하구요.. 타는 사람도 안정적이라고 느껴 집니다. ^^
이글을 읽으신 여러분들은 숏턴을 볼때 어느 부분을 가장 중점적으로 보시나요?
순간 강한 프레스 그후 리바운딩 다시 강한 프레스의 연속이기에
프레스로 데크를 구부리고 하체 로테이션을 통한 짧은 원호 그려주기가 가미되면 금상첨화죠.
실제 최상급레벨인 시니어 인스트럭터를 선발할때
상급슬로프에 폭 6미터의 라인을 그린후 그 6미터에서 턴을 완성시키는 시험을 보았습니다.
턴중 라인을 침범하면 무조건 실격. 실격 안당한 강사중에서 점수를 메겨 선발을 했죠.
스키강사 선발도 6미터의 corridor 는 마찬가지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