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제가 학교다니면서 공부한게 있습니다. 상식이죠...


공급이 많고 수요가 적으면 가격이 떨어지고


공급이 적은데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올라간다고.. 


우리나라 집값은 어떻게 보십니까?


인구구조는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고 50대 이후로는 집을 내놓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반해,  


실 수요자인 2~30대 층은 빈곤하지 않습니까? 이 빈곤이라함은 입에 풀칠하는 빈곤이 아닌 대출이자로 허덕이는것을 의미합니다.


십년전부터 집값 떨어진다는 이야기는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고 실제로 집값이 응당 떨어져야 맞는 상식적인 일인데


왜 집값을 떨어지지 않는것일까요? 


은행대출을 통한 구매권유가 주요원인이 될까요? 핵심 지역 외에는 이미 집값하락이 진행이 되고 있는걸까요?


정부와 정부의 개가되어버린 언론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고 있는건가요?


생각해놓은 여러 목표가 있어서 해외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타지에서 힘들게번 돈 한국복귀하고 아파트 샀다가


가치가 급락하는거는 아닌지 생각해 볼일인것 같습니다.  그럼 아파트를 사지않으면 월세를 내야하는데 그 비용이나 하락비용이나


도찐개찐인가요.. 집값에 얽힌 복잡한 이해관계는 잘 모르지만 상식선에서 설명해주실분 계시나요?


엮인글 :

부자가될꺼야

2014.05.24 08:08:52
*.214.192.107

집값이 그렇게 바로바로 반영되지는 않는다고 하더군요

 

그게 무슨 사회현상중에 하나인데.... 집같이 소유적인것이 강할수록 가격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는건데.... 생각이 안나네요

 

근데 집값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노무현정부때부터.....

 

하지만 스키장 슬로프처럼 걍 쭉 떨어지는게 아니고

 

산처럼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지만 크게 보면 점차 내려가고 있는거죠

 

집값에 대해서 회의적인 전문가의 말을 따르면 집값이 지금 어깨정도 내려왔다고 하더군요

 

바닥은 발이겠죠

 

집값에 대해서 회의적인 전문가니 참고하세요;;ㅋㅋ

알리알리짱

2014.05.24 08:56:00
*.146.40.159

아파트 값은 떨어질 겁니다. 특히 큰평수의 경우 수요가 없지요.

아들 며느리 손주 손녀와  오손도손 살려구 큰평수를 선호했던 베비붐세대(요즘 누가 같이 삽니까 ㅋ)는 낭패를 보았습니다.

현재 큰평수 전세가가 더 싼곳도 있습니다.

하지만 작은평수의(100제곱이터대이하) 경우

제3국의 이민자,통일후 북한주민(앞으로)등등 수요가 꾸준하리라 봅니다.

이렇게 되면 월세 받는 재미가 쏠솔할 겁니다.

 

베비붐세대의 자식들은

집을 구입할 돈이 없고 베비붐세대는 노인이되어 집은가지고 있되 먹고 살게 없고,

당연히 집값은 일정기간 올라갈 기미는 없다는 것이지요.

 

금리를 올려야 하는데 올려야할 시기를 이미 놓쳣다고 합니다.

금리를 올리면 집값이 큰폭으로 하락하게(사회불안 경제혼란) 되는 것을 막기위함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소비가 활성화 되어야 하는데 소비도 안좋습니다.

디플레이션 상태가 되었습니다.

걍 들은 애기 입니다. ^^

 

 

다주상가

2014.05.24 08:57:20
*.236.170.252

직접 사서 보지는 않았으나, 선대인 "미친 부동산을 말하다" 이 책 한번 사서 보세요.

공급은 이미 포화상태이고 아직도 공급은 계속되고 있고, 수요는 확연히 줄어들고 있고.

그런 상황에서 가격이 가시적으로 안떨어지는 이유는 부에 대한 기득권의 표심을 놓치기 싫은 정권이 정책을 통해 가격을 떠받치고 있는 것과 서서히 떨어져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에 천천히 연착륙하도록 유지하려는 힘으로 인해서 억지로 버티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집값으로 부를 늘릴 목적이 아닌 실거주를 위한 집장만이라면, 그리고 그 위치가 거품이 그나마 덜낀 경기도권의 합리적 가격(거품 꺼져도 가격하락이 적은...)이라면 어느때건 장만해도 후회 없으리라 봅니다.

오목교 초식남

2014.05.24 10:29:23
*.70.231.83

저도 집값에 관심이 많아서..한번 읽어봤는데..명쾌하게 현재 상황이 다 이해가 되더군요..추천합니다~

mr.kim_

2014.05.24 14:13:02
*.101.98.99

저도 읽어봐야겠군요 관심있었는데,


투자의 목적으로 집을 여러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집값이 떨어져서 나도 더 손해보기 전에 어서 처분해야겠다 하는 사람보다

손해보면서 팔필요 있냐, 그냥 가지고서 전월세로 돌리지뭐 하는

여유있는 사람들이 많을테니, 그리고 자기가 생각하는 적정선으로 올려놓고

팔리면 파는거고 아니면 마는 그런 가진자가 많다보니..

평균집값이 떨어지는게 더디고

다만 당장 이 집이 안팔리면 생계의 위협을 받는 사람들만

빠른 거래를 위해 가격내려 급매로 처분하니

이런 사람들만 더 가난해지고..


또 다시 집을 사려면

가진자들이 형셩해놓은 가격대 맞추려

대출받아 사서 이자에 허덕이는


악순환... 이 아닐런지..

그린데몽

2014.05.24 16:26:00
*.62.202.52

수요와 공급..
강남의 아파트 가격(for example)은 요지부동일겁니다..
뉴욕 맨해튼, 일본 동경과 마찬가지로요..

여타 주거지역은 서서히 안정화되어간다에 한표(금융위기가 오지 않는 이상 폭락은 글쎄요...)

70~80년대 가족계획 생각해보세요..
그때는 둘셋 낳으면 삼천리가 초만원일걸로 생각했지만..아니잖아요

지금은 애 많이 낳으라고 난리 부르스치고 있으니 30-40년후 역삼각형이 될지 종형이 될지...

나를막만졌잖아..

2014.05.24 16:27:51
*.207.140.236

관련일을 하는데요...............


제 생각에는 집갑은 더 이상은 안떨어질거 같네요.


땅값이 떨어지지 않는한 집값떨어질 일은 없다고 봅니다. 


그나마 어느정도 합리?적인 가격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서울권빼고는..........


뭐 이런거 이외에도 정치적인게 가장크죠...........



노출광

2014.05.24 22:57:53
*.156.234.201

김광수 연구소의 팟방송을 들었는데...

실 구요자들은 사라... 그러나 빚을 내면서까지의 투기 목적으로는 위험하다가 결론이더군요... 

아싸아조쿠나

2014.05.25 15:26:41
*.46.237.149

답변들 감사합니다. 돈벌요량으로 사는건 정말 위험한것 같습니다. 참고하겠습니다.

뜨거운수박

2014.05.26 10:16:03
*.192.10.37

강남 제외한 서울만 놓고 보면, 2008년 말 ~ 2009년 초에 대부분의 아파트 가격은 꼭지를 찍었습니다.

지금은 당시 대비 10~15%씩 하락한 상태이구요.

동부 이촌동 같은 곳은 20% 하락한 아파트들도 있습니다.

그 때 가격이 비정상적이기도 했구요.

향후 20년 동안 연간 0.5~1% 정도의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냥 제 생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7566
29415 캠핑용 중고차량 투산vs 렛스턴 어떤게 좋을까요 ? [7] 고라니 2014-05-25 1173
29414 악성 광고프로그램 삭제 방법 [4] 드르륵 2014-05-24 1545
» 집값 전망에 대해서 [10] 아싸아조쿠나 2014-05-24 907
29412 제주도 렌터카 문의드립니다. [9] poorie™♨ 2014-05-23 1029
29411 통 넓은 추리닝바지 파는데 아시는분. [4] 바지 2014-05-23 2688
29410 친구랑 홍대 구경 좀 가려고 하는데요 길 좀...ㅜㅜ [3] 앙앙 2014-05-23 1641
29409 포토샾의 ㅍ도 모르는데요... [5] ++++ 2014-05-23 777
29408 소형 전동드라이버 추천좀~ [3] 리프레시k 2014-05-23 1662
29407 화장 안하시는게 더 예쁘신거 같아요. [14] -DC- 2014-05-23 519
29406 계란주 맛있게(?)먹는법.. [15] 에메넴 2014-05-23 1488
29405 극장 조조 질문 [12] 탁탁탁탁 2014-05-23 506
29404 이...여자 [14] 소심... 2014-05-22 496
29403 SK텔레콤 선물 찾으신분 있나요? [2] SKT 2014-05-22 419
29402 빠른 외국 노래 가사 익히는 좋은 방법 없을까요 [5] 영어ㅜㅜ 2014-05-22 857
29401 중국 인도 증시 장기 전망 어떻게 보세요? [5] 그린데몽 2014-05-22 1743
29400 여름휴가지 걱정이네요..(미국서부vs유럽) [6] 환타킴 2014-05-22 998
29399 선처라는게.. 힘든건가요..? [30] 날쭈 2014-05-22 611
29398 병문안 때문에 반차쓴거 사유는 뭘로 쓰나요 [4] 선수아님 2014-05-22 960
29397 새로운 게임 리워드 앱 께미(Gami)에서 이벤트 참여해요~ file 스르륵_1012842 2014-05-22 759
29396 제주도 차 운전할때 LF 소나타 , 뉴K7 어떤게 운전 재미가 조금이라도 좋을... [11] 지팍 2014-05-22 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