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00 만원의 용도가 무엇인지 궁금하긴 합니다.
언제 사용 목적을 가지고 계신건지 (결혼자금..?) 이라고 생각은 되나.
짧게.. 기간을 유지 하실계획이면 그냥 예금 (은행에 거치식으로 넣는것) 기간을 최소화 할수 있음.. 대신 이자가 작습니다.
기간이 어느정도. (3년이내) 되시면 예금과 금융상품과 적정하게 섞으셔도 되겠네요
따로 은행에 가셔서 상담을 받으시면 되시겠지만.
펀드, esl 등 설명 해주실꺼요.. 안정성을 원하시면 지수 관련 종목으로 하시면 그래도. 등락이 작아서 안정적으로
수익이 나실꺼라 생각됩니다.
물론, 결정은 본인이... 하시는거니까요.. 은행가서 상담 받아보세요.~~^^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여기시는 것으로 보여 적금을 추천드립니다.
단기 저축 상품 (6~12개월) 알아보시구요.
예금자보호는 이자 포함 각 은행당 5000까지 되니 지금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한도, 기간 알아보시고 단기 넣으시면 될 것 같아요.
주 거래 은행의 경우 소소하지만 이자율 추가 혜택도 챙기실 수 있을 듯 보입니다.
저축은행은 이자율이 좀 더 높습니다. 1년 4%대도 있어서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5000까지 보장하며 여기다 넣으셔도 됩니다.
다만 저축은행이 영업정지와 같은 문제가 생기는 경우 모두 돌려받는데 6개월 정도 걸려 자금이 묶이실 수 있습니다.
이경우 가지급금(원금 내에서 빨리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최대 2000까지 가능합니다.
따라서 대출을 받지 않은 저축 은행에 1인 명의로 max 2천 저축을 하시면 되며
같은 저축은행에 가족을 동원하여 여러 계좌를 트거나 1인 명의로 2천만원 이내 여러 저축은행을 이용하시면
최악의 경우에도 3천 자금의 융통은 가능하십니다.
high risk, high return과 동일하게 low risk, low return입니다.
안정성을 원하신다면 기대치를 낮춰보세요.
근데 전 귀찮아서 걍 주 거래은행에 다 때려박는게 함정...
그것마저 모두 사라진게 더더욱 큰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