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NADAE's Snowboard의 NADAE 나효준입니다 ^^

이제 시즌 까지는 약 5달도 안남았는데요 남은기간 몸관리와 이미지 트레이닝 확실히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저번 시간에는 CASI 시험중에서도 Riding 세션에 관한 나름 저만의 깨알Tip을 전해 드렸는데요

이번시간에는 CASI 시험을 볼때, 그중에서 Teaching 세션의 깨알 Tip을 전해드리겠습니다~

 

CASI 시험을 치룰때 Teaching 세션은 3일(Level1)혹은 4일(Level2) 중에 첫날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동안 진행이 되는데요.

Riding 세션과는 다르게 한명씩 한명씩 그 Part에 맞는 과목을 나머지 인원 앞에서 그 인원이 강습생이라는 전제하에 Teaching을 하고 그 과정을 감독관을 평가를 하게 됩니다.

 

Teaching 세션에 관한 정의는 이정도로 마무리 하고 이제부터 깨알Ti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깨알Tip 첫번째.

CASI 레벨러라 함은 자신의 라이딩 스킬업을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큰 목적은 자신이 다른 강습생을 올바르게 강습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고 할수 있는데요.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것이 중요할까요? 바로 정학하고 올바른 Demostration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론적인 설명도 중요하겠지만 그에 맞는 올바른 동작이 병행 되어야지만 강습생에게 더욱 더 확실하고 올바른 강습을 할수 있고 이것이 CASI 시험을 치룰때에는 감독관에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깨알Tip 두번째.

​CASI에서 중요시 여기는 부분중에 또 하나는 바로 Safety 즉, 안전 입니다!

제가 위에서 언급했듯이 Teaching 세션을 시험 볼때에는 내가 강사 됐다는 전제하에, 나머지 인원은 강습생이 됐다고 생각하고 시험을 보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나머지 인원에게 이론 및 데모를 보여줄때에는 슬로프의 중앙이 아닌 사이드에서 안전하게 진행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스키어,보더를 방해하지 않고 안전사고가 나지 않게 항상 주의깊게 진행이 되어야 하는데요.

이 항목또한 Teaching 시험을 볼때에 점수에 반영되는 부분으로 항상 신경쓰셔야 합니다.

​여기서 연계되는 부분이 바로 Leadership 입니다.

내가 리더쉽을 가지고 강습생을 통제해야 안전 이라는 부분도 책임을 질수 있는 것이고 더욱 더 강습생은 수업이라는 부분, 그리고 다른 부분에서도 집중을 할수 있기 때문에 리더쉽을 보여줘야 하는 것입니다!

깨알Tip 세번째.

​CASI는 모든 과정이 영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영어에 대한 울렁증,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상당히 많으신데요. 저또한 이러한 부분에서 겁을 먹은것이 사실입니다.

저는 Level2 시험을 볼때에 영어를 사용하지 않은지 하도 오래되고 까먹은 부분도 너무 많았기 때문에 첫날에 진행되는 Level1에 대한 복습 부분(Teaching)에서 거의 한마디도 못할 정도로 너무 긴장을 했는데요.

그러나 마지막 날 결국에는 시험을 Pass 할수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과연 무엇 일까요?

바로 하루를 망쳤다고 해서 포기하는 것이 아닌 나머지 기간동안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인데요. 그리고 첫날 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날로 갈수록 시험의 비중은 점점 커집니다. 첫날이 10% 둘쨋날의 중요도는 20% .... 이런식으로 비중이 증가하는데 그에 따라서 실수한 부분이 있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발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저는 또한 다음날의 실수를 최대한 줄이고 긴장을 덜 하기 위해서 저는 다음 날 이루어질 Teaching 세션에 대해서 저만의 "시나리오"를 준비 했는데요​.

​이것이 시험을 보는데에 있어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오늘은 Teaching 세션에 대해 큰 틀로 살펴보면서 저만의 깨알Tip을 드렸는데요

사실 CASI 시험 같은 경우는 몸으로 직접 부딪혀 보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되고, 시험을 보기전에도 시험을 치뤘던 유경험자에게 경험담이나 조언을 직접 듣는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그것이 실제로도 정말 많은 도움이 되구요.


엮인글 :

금빛보더

2014.08.25 13:46:49
*.3.132.76

좋은 글 감사합니다.

casi글 다 보고있는데 최근에 글이 많이 없어 도움이 정말 많이 됩니다.

바일라르

2014.10.13 22:48:58
*.140.60.70

정말 좋은 글 입니다ㅋㅋㅋ 굿굿굿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02
2812 일반 Basic to Basic "너비스 턴" [9] NADAE 2014-10-16 12 7164
2811 일반 2014/15 skill up #1 file [3] 문박사 2014-10-15 6 14742
2810 일반 캐나다 스노우보드 직업 전문학교 테리에파우더 2014-10-04 1 3934
2809 기술(테크닉) 스키딩 [3] 문박사 2014-09-19 10 4969
2808 기타 1314시즌 주요스키장 슬로프면적 및 이용객 ... file [4] 삼촌1호 2014-09-11 5 9772
2807 기타 1415시즌 주요스키장 슬로프경사도 비교표[... file [10] 삼촌1호 2014-09-10 4 10373
2806 장비 튜닝 (DIY)_나만의 블링블링 LED 리쉬코드 제작기 file [1] Mr.Bong 2014-08-20   6163
2805 일반 스노우보드 데크 브랜드 창업 가이드 [1] 테리에파우더 2014-07-20 3 6328
2804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토션 [14] 문박사 2014-07-03 9 7821
» CASI CASI레벨러를 꿈꾸는 분들에게 전하는 깨알T... [2] NADAE 2014-06-27 6 4208
2802 CASI CASI 레벨러를 꿈꾸는 분들에게 드리는 깨알... [4] NADAE 2014-06-23 7 4808
2801 기술(테크닉) 동전은 몰래 주워야 제맛!^^ [4] guycool 2014-06-16 2 4665
2800 장비 관련 장비선택에 대해 고민하는 보더들을 위한 팁... [1] NADAE 2014-05-23 8 5475
2799 기술(테크닉) 계급장 띤? 스놉 턴의 분석 ( basic analysi... [2] guycool 2014-05-15 3 2763
2798 장비 관련 네버써머 VARIO GRIP / 캐피타 Death Grip /... file [7] Reborn14 2014-03-25 1 2941
2797 CASI the critical link!! [8] 파랭™ 2014-03-14 8 2594
2796 초보를 위한 강좌 로테이션이 데크를 회전 시키는 원리 file [4] JimmyKOO 2014-03-13 5 5844
2795 기술(테크닉) 다운은 가압인가...앵귤레이션인가... [10] JhonDoe 2014-03-07 4 4824
2794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프레스)의 변화에 따른 카빙턴의 크... file [26] 드래곤라이더1 2014-03-05 6 10338
2793 CASI 부족함을 보완하여 재도전한 CASI Lv.2 - 외... [5] 해일로 2014-03-01 5 3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