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살이고 스키 3~4번 정도 탔습니다....만
맆트를 타지는 않은듯 합니다
올해 시즌권을 구입할까 하는데...
겁납니다...
아들 가르치다 홧병 생길까봐....
진심 겁나고 문제는 제가 잘 못가르칩니다
언어변환해서 알아들을수 있게 말하는 기술이 장애자 수준입니다
선배님들 내공 부탁드릴게요
시즌권 구입후 걍 강습 시켜불까요???
딸아이 6~7살 시즌부터 리프트 태우고 보드 가르쳤는데요.
어른 가르치는 식으로 하면 안좋다고 말씀을 많이 들었습니다. 저는 잘 몰라서 그냥 낙옆부터 시작해서.. 어른 가르치는 식으로 가르쳤는데.. 힐은 힘들지만 가르칠만하고 토우는 넘어지면 많이 아파해서 힘들었네요.
넘어지면 아프니.. 헬멧, 고글, 엉덩이보호대, 무릅보호대는 필수입니다.
경험상 데크가 짧을 수록 빨리 배우는 것 같아요.
낙옆을 가르치기 힘들면 아이 허리에 줄을 묶고 활강부터 가르치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만 저는 안해봤구요.
낙옆이 익숙해지면 턴은 알아서 .. 합니다.
처음 가르칠때 제 데크는 들고 잡아주면서 내려오는 방식이여서 많이 힘들었구요. 아이가 말을 안들어서 화도 좀 내었는데..
편안한 마음가짐이 중요한것 같아요..
팁중에 하나는 스케이팅을 리프트 태우기전에 충분하게 가르치면 나중에 좋습니다.
보통 아빠, 엄마 한테 배울때 부모가 데크두장을 들고 리프트 타기 힘드니 스케이팅을 할 수 밖에 없는데 아이가 보고 따라할려고 애를 쓰더라구요. 여튼.. 스케이티이 되면 부모도 편합니다.
가르치는 방법은 뭐 정석이 있나요. 저는 가르치면서 아이랑 많이 친해졌어요.
좋은 아빠가 되시기를...
저도 두아이(5학년, 3학년)를 가르치고 지금은 같이 라이딩하면서 온가족이 보드를 타고 있습니다.
둘다 초등학교 1학년 겨울부터 가르쳤습니다.
첫째를 가르칠 때 성인들 강습마냥 가르쳤는데 발전이 별로 없어서
매우 힘들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한가지 터득한게 아직 아이들은 무게중심, 자세, 타이밍 이런 말들을
이해를 못하더군요 말을 이해를 못하니 어쩔 줄 몰라하고
그래서 제 덱은 보관서에 두고 슬로프를 전 걸어내려 오면서 그때그때 잡아주고
몸으로 익히겠끔 했습니다.
진도가 엄청 빠르게 진행되더군요. 그래서 첫째는 10번(주간타임)정도만에 베이직 슬라이딩 턴이 됐던 반면
둘째는 5번만에 지산 실버를 한번도 안넘어지고 턴으로만 내려왔죠
절대 화내면 안됩니다. 항상 용기를 주시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게끔 하세요.
욕먹으면서 이게 배울일인가하고 아이들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아이와 둘만의 시간을 하루종일 보내는게
아이에게도 아빠의 존재감을 더 느끼게 해줄 수도 있고요.
조금 두서없이 적었습니다.
힘내세요.
아빠님들.
'자동차 운전'과 '보드'는 '전문 강사'에게 맡기시길 권할게요...
저도 제 성질이...그렇게 더러운지 몰랐습니다;;;;
그럼에도 굳이 가르치시려 한다면...
넘어지는 기본에 충실해서 데미지 더 적게받는 방법 반복학습 해주시고...
혼자 몸으로 넘어지면서 익히게 하는것보다... '은경남편'님의 말씀처럼 잡아주고 또 일어설때 발로 데크 받혀주고 하면서..
조금씩 밸런스를 익힐 수 있게하면 진도가 좀 빨랐던거 같아요.
더 중요한건... 칭찬과 용기를 북돋아주시고...
지치기 전에... 맛나는거 많이 주시고... 대화도 많이 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시간 날때마다 이론을 항상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 주시구요...또 서로 토론도 하구요...)
그리고 눈 짬밥이 쌓이면...뭐...
탈 사람은 타는것이고... 안 탈 사람은 안타는거죠 뭐;;;;
탁님... 용푱사실꺼죠???
크 저랑 어케 잘 해보심... 저도 살 예정........
애기 보드 완전 귀여워요!!!!! 저희 애 보드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