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7살이고 스키 3~4번 정도 탔습니다....만

맆트를 타지는 않은듯 합니다

올해 시즌권을 구입할까 하는데...

겁납니다...

 

아들 가르치다 홧병 생길까봐....

진심 겁나고 문제는 제가 잘 못가르칩니다

언어변환해서 알아들을수 있게 말하는 기술이 장애자 수준입니다

 

선배님들 내공 부탁드릴게요

시즌권 구입후 걍 강습 시켜불까요???

 

엮인글 :

뽀더용가리

2014.08.29 09:28:16
*.219.67.57

탁님... 용푱사실꺼죠???

 

크 저랑 어케 잘 해보심... 저도 살 예정........

 

애기 보드 완전 귀여워요!!!!! 저희 애 보드에요. ^^

babyboard.JPG

첨부

탁탁탁탁

2014.08.29 09:37:56
*.243.13.69

엇 선배님...

용평은 좀 무리수가...아들 첫 시즌이라 자차로 가까운곳 평일 생각중입니다

보드복과 고글은 있는데 장비도 알아봐야지요..

부츠도 그렇고 첩첩 산중입니다....

아드님 강습 붙이셨어요??

아님 직접???

 

뽀더용가리

2014.08.29 09:42:15
*.219.67.57

선배님이라뇻..... 전 한살어린 6살짜리를 처음가르치고자..........장비부터 지른...........

 

완전우주최강초보... ㅠㅠ

 

그냥 둘이면..... 어케.. 의지가 될듯하여... ㅎㅎ

 

저 어떻게하죠???

뽀더용가리

2014.08.29 09:42:44
*.219.67.57

근데 아들 보드만 보고있어도 행복해요... ^^

탁탁탁탁

2014.08.29 09:46:00
*.243.13.69

저부터 어떻게 좀...

근데 용평으로 가신다니 강단있으십니다

앞으로도 많은 정보 부탁드릴게요...

 

뽀더용가리

2014.08.29 10:10:16
*.219.67.57

어렸을 때부터 빡시게.. 시즌권+시즌버스+락커로 헝그리하게........ 자가용으로 데려다주면.... 집에 가겠다고 징징거릴까봐..

 

버스는 타는 시간이 정해져있다. 그때까진 무조건 눈에서 굴러야한다.. 머 이런... ^^

휴~

2014.08.29 10:17:19
*.196.250.112

전문강사에게 맞기세요

비용은 들더라도 기초는 강사에게 배우는게 서로에게 좋습니다

그리고 또래들과 배우면 재미있고 흥미가져요...


지산리프트타고 올라가면서 본

 슬로프에서 욕하고 열받아 소리 고래고래지르는 아버지와 풀죽어있는 꼬마를 본 이후로 지인들에게 무조건 전문강사 추천합니다.


기본턴되면 그때부터 탁*4님이 원포인트레슨식으로 조언정도만 해주시는게 좋아보입니다.


다른방법으로 서로 서로 다른집 애들을 가르키는방법도...

탁탁탁탁

2014.08.29 11:00:17
*.243.13.69

아 휴~님 댓글 감사합니다

딱 한번 아들에게 욕해본적 있어요

순간 욱해서 쌍놈의 시끼 라고... 제얼굴에 침뱃었죠...

전문 강사에 대한 믿음이 별로 없어서 고래고래 소리 지르진 않겠지만.......어찌됐든 두렵네요

용평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해보긴 할겁니다..

 

 

가루군

2014.08.29 10:48:30
*.10.243.243

딸아이 6~7살 시즌부터 리프트 태우고 보드 가르쳤는데요.


어른 가르치는 식으로 하면 안좋다고 말씀을 많이 들었습니다. 저는 잘 몰라서 그냥 낙옆부터 시작해서.. 어른 가르치는 식으로 가르쳤는데.. 힐은 힘들지만 가르칠만하고 토우는 넘어지면 많이 아파해서 힘들었네요.

넘어지면 아프니.. 헬멧, 고글, 엉덩이보호대, 무릅보호대는 필수입니다. 


경험상 데크가 짧을 수록 빨리 배우는 것 같아요.

낙옆을 가르치기 힘들면 아이 허리에 줄을 묶고 활강부터 가르치는 방법도 있다고 합니다만 저는 안해봤구요.

낙옆이 익숙해지면 턴은 알아서 .. 합니다. 


처음 가르칠때 제 데크는 들고 잡아주면서 내려오는 방식이여서 많이 힘들었구요. 아이가 말을 안들어서 화도 좀 내었는데..

편안한 마음가짐이 중요한것 같아요.. 


팁중에 하나는 스케이팅을 리프트 태우기전에 충분하게 가르치면 나중에 좋습니다. 

보통 아빠, 엄마 한테 배울때 부모가 데크두장을 들고 리프트 타기 힘드니 스케이팅을 할 수 밖에 없는데 아이가 보고 따라할려고 애를 쓰더라구요. 여튼.. 스케이티이 되면 부모도 편합니다.


가르치는 방법은 뭐 정석이 있나요. 저는 가르치면서 아이랑 많이 친해졌어요. 

좋은 아빠가 되시기를...

탁탁탁탁

2014.08.29 11:02:14
*.243.13.69

마지막 줄에 용기를 얻습니다

아이랑 친해진다...

스케이팅은 제가 일단 되니 제가 아들꺼 들면되겠네요...

짧은 데크 보호장구 ...감사합니다

가루군임 언제 소주 한잔 하시지요... 

은경남편

2014.08.29 12:40:05
*.129.174.12

저도 두아이(5학년, 3학년)를 가르치고 지금은 같이 라이딩하면서 온가족이 보드를 타고 있습니다.

둘다 초등학교 1학년 겨울부터 가르쳤습니다.

첫째를 가르칠 때 성인들 강습마냥 가르쳤는데 발전이 별로 없어서

매우 힘들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한가지 터득한게 아직 아이들은 무게중심, 자세, 타이밍 이런 말들을

이해를 못하더군요 말을 이해를 못하니 어쩔 줄 몰라하고

그래서 제 덱은 보관서에 두고 슬로프를 전 걸어내려 오면서 그때그때 잡아주고

몸으로 익히겠끔 했습니다.

진도가 엄청 빠르게 진행되더군요. 그래서 첫째는 10번(주간타임)정도만에 베이직 슬라이딩 턴이 됐던 반면

둘째는 5번만에 지산 실버를 한번도 안넘어지고 턴으로만 내려왔죠

절대 화내면 안됩니다. 항상 용기를 주시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게끔 하세요.

욕먹으면서 이게 배울일인가하고 아이들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아이와 둘만의 시간을 하루종일 보내는게

아이에게도 아빠의 존재감을 더 느끼게 해줄 수도 있고요.

 

조금 두서없이 적었습니다.

 

힘내세요.

아빠님들.

 

 

탁탁탁탁

2014.08.29 12:53:59
*.243.13.69

감사합니다 진정 힘이 되는 글이네요....

틀림없이 제가 가르치고 말겠습니다

 

카빙한번도모태범

2014.08.29 12:49:28
*.33.186.16

이제 세살인데 언제같이 타러기나 ㅋㅋ

탁탁탁탁

2014.08.29 12:54:59
*.243.13.69

보드가 성장발육에 좋지 못하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망설여지긴 합니다

1

2014.08.29 12:50:56
*.36.213.169

아빠데크 스텐스를 최대로 넓히고

그 사이에 아이 바인딩장착(같은방향)

브루스보딩으로 태워줘도 되요

강습에 큰 도움은 안되지만

재미있게 느끼고 감을 익힐수있어요

탁탁탁탁

2014.08.29 12:56:01
*.243.13.69

ㅎㅎㅎ 위험할듯요...

일단 안전장구부터 사라고 와이프에게 지령을 내렸습니다

노출광

2014.08.29 12:53:02
*.156.234.201

'자동차 운전'과 '보드'는  '전문 강사'에게 맡기시길 권할게요...

저도 제 성질이...그렇게 더러운지 몰랐습니다;;;; 


그럼에도 굳이 가르치시려 한다면...

넘어지는 기본에 충실해서 데미지 더 적게받는 방법 반복학습 해주시고...

혼자 몸으로 넘어지면서 익히게 하는것보다... '은경남편'님의 말씀처럼  잡아주고 또 일어설때 발로 데크 받혀주고 하면서..

조금씩 밸런스를 익힐 수 있게하면 진도가 좀 빨랐던거 같아요.


더 중요한건...  칭찬과 용기를 북돋아주시고...

지치기 전에... 맛나는거 많이 주시고... 대화도 많이 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시간 날때마다 이론을 항상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 주시구요...또 서로 토론도 하구요...)


그리고 눈 짬밥이 쌓이면...뭐...

탈 사람은 타는것이고...  안 탈 사람은 안타는거죠 뭐;;;;  

탁탁탁탁

2014.08.29 13:01:01
*.243.13.69

승질 더러우시군요...ㅎㅎ

아들과 친해지기 이 댓글에서

제가 해야겠단 결심이 서내요...

노출광님 언제 소주나 한잔...

구르는꿀떡곰

2014.08.29 13:10:44
*.253.82.243

전 4살인데 올해부터 주말게 가끔데리고가서.. 끌어주려고 장비 보호장구 옷 다구매했네요...

 

아들넘이... 이번겨울엔 아빠처럼 보드타러 가야된다고 하도 그래서....

 

전 그냥 가르치기보다.. 내가 루돌프다 생각하고 끌어주려고 합니다...

 

그냥 주중에 야간타고 주말은 포기하려고....ㅠ.ㅜ

탁탁탁탁

2014.08.29 13:13:48
*.243.13.69

루둘프는 항상 음주운전이라던데 ...코가 빨간건 술마셔서 그렇데요...

여튼 어디로 가시는데요??

시즌권 알아보는중이라...

구르는꿀떡곰

2014.08.29 16:54:45
*.253.82.243

저희는 베어스네요.. 사는곳에서 자주 들어갈수있는곳이 베어스밖에 없는지라...ㅠ.ㅜ

파양파

2014.08.29 13:19:27
*.247.149.100

끈으로 묶에서....

탁탁탁탁

2014.08.29 13:25:07
*.243.13.69

파양파님

.

.

.

실망입니다...

그린데몽

2014.08.29 13:33:53
*.90.7.137

스키라면 제가 좀 도움을..ㅎㅎ

 

관광스키 만년 초급이긴 하지만 애들 둘 다 다리사이에 끼고, 하네스로  묶고, 뒤로 타면서 가르쳐서 그럭저럭 초급은 면했네요...

 

메가그린에서 안고 내려온적도 있고, 렌보 파라다이스에서 패트롤에 실려내려온 적도 있고....지 혼자 직활강 속도 제어 안돼서 제가 다이빙캐치한 적도 있지만 지나고 나니 다 추억이 됩니다..ㅎㅎ

탁탁탁탁

2014.08.29 13:44:34
*.243.13.69

전 이제야 그린데몽님 추억을 만드려고...ㅎㅎ

껌파리

2014.08.29 22:50:47
*.194.87.250

첫째는 같이 버벅이면서 ....
둘째땐 좀 좋아져요~~

clous

2014.08.29 23:10:53
*.102.19.212

헝그리 보더는 무조건 자급자족! 다만....

헬멧은 필수입니다. 언제 주먹이 머리통으로 날아갈지 모르므로..... ㄷㄷㄷ

관리자

2014.08.31 00:22:54
*.223.22.239

처음 한번은 강사에게 맡기시고
그 다음 부터 같이 타면서 가르치세요

처음부터 직접 가르치는것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강사는 스키장에서 운영하는 강사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68801
30113 달리기할때 발바닥착지법 알고 계신분 있나요?? [11] 아침이슬@ 2014-08-31 1773
30112 썬팅 비용이 궁금합니다. [5] 서퍼스파라... 2014-08-31 590
30111 혹시 고양 일산 덕양 쪽에 농구 동호회 소개 해주실 분 좀 있나요..ㅠ 아를 2014-08-31 1919
30110 블랙베리라는 핸드폰 그렇게 안 좋은지요...?; [12] ...? 2014-08-31 880
30109 교통사고 후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5] 또또토토 2014-08-30 532
30108 위닝온라인 2014 하시는분?? 22아리코 2014-08-30 450
30107 아이패드미니레티나 구입전 미니 2014-08-30 373
30106 강남cgv 근처 맛집 추천해주세요~ [2] 표돌v 2014-08-30 949
30105 내일 시간이 많아서~~ [1] Rogy 2014-08-29 453
30104 뉴에라 와 스냅백 은 다른건가요? [8] 나이키고무신 2014-08-29 1161
30103 얼굴은 하얀데 팔이 까만 여자 [17] 야미야미 2014-08-29 1886
30102 한의사 계세요?진맥하는거 정확한가요? [8] 바람의 라이... 2014-08-29 960
30101 레고 미니피규어 수집.. [3] 레고지름귀 2014-08-29 764
» 아들 보드 갈치기... [28] 탁탁탁탁 2014-08-29 617
30099 자동차 led 튜닝이 불법인가요? [6] k7 2014-08-29 1039
30098 지마켓 웰팍 시즌권 재구매 하신분 있으신지요? [4] 빠악끝 2014-08-29 459
30097 스키장별 슬로프내 인구밀도 [22] 아이스나인 2014-08-29 1142
30096 중국 대련시내 [3] 신탁 2014-08-29 643
30095 ppt에 대해 초심자가 배우기 쉬운 책이나 강의가 있을지요...?; [4] nexon 2014-08-29 805
30094 조선소 많이 힘들까요? [11] 다시창업하자 2014-08-28 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