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저희 회사가 독일지멘스 전기렌지 3구짜리 직수입해서 판매할 예정입니다.


시장 반응을 좀 알아보라고 하는데..


일단 타브랜드보다 성능은 더 좋아서 일반 가스렌지 못지 않은 화력이라고 하는데요 (직접 체험한건 아니고..)


정식수입 제품이 AS 되고 , 약 180정도에 판매중입니다.


저희가 직수입을 약 60에 해서 80정도에 판매를 하려고 합니다.


구매하시는분들 입장에선 대행으로 하니 편리하고 해외배송중 파손되는걸 피할 수 있겠죠


AS는 공식적으로는 안된다고 하지만, 되는 방향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방법이 있다고 해서)


전 만약에 새집으로 이사간다면 저 가격에 전기렌지(인덕션) 로 바꿔볼까도 생각중인데


여러분들 반응이 궁금하네요^^


엮인글 :

우짤라고

2014.09.24 10:19:35
*.212.233.11

시즌방에서 인덕션 사용해봤는데


백숙이나, 사골 끓일때 최대온도 올라가면 자동으로 꺼지던데 불편하던데요

이펭귄

2014.09.24 10:23:12
*.154.163.204

인덕션렌지는 냄비나 팬을 전용으로만 써야해서 기존에 갖고있는 일반 냄비들을 못쓰는게 좀 아쉽더라구요

밋러버

2014.09.24 10:24:09
*.36.146.96

아직 우리나라 정서로는 가스 대신 사용하긴 힘들거같아요..
원룸이나 콘도같은 집주인과 사용자가 다른데는 쓰기도 할거같지만..

우리나라는 가스비보다 전기세가 비싸요

전 식탁에서 샤브샤브먹거나 놀러갈때 쓰려고 휴대용 사두긴했어요~

탁탁탁탁

2014.09.24 10:33:47
*.243.12.23

자자 해상 운송해드립니다

원가 백만원 나오면 이백만원 청구하고

시즌권 사드릴게요...

 

이거 여기서 이러면 안되나??

superMS

2014.09.24 10:48:43
*.1.255.93

지멘스나 틸만, 휘슬러, 롬벨스바흐..등 독일제 전기렌지들은

위에 댓글등에서 말씀하시는 원룸이나 콘도, 시즌방등에 있는 1구~2구짜리 인덕션이랑은 차원이 틀리죠^^;;;;

저 결혼하면서 롬벨스바흐 전기렌지 3구짜리 들여놓았는데 화력정말좋구요~ 어지간한 냄비 다 사용가능해요 뚝배기까지두요

사실 지멘스 사고싶었지만 후덜덜한 가격에 롬벨스바흐로 들여놨는데 이것도 독일에서 알아주는 전기렌지라...완전 만족하며 씁니다..제일좋은점은 생각보다 전기값이 많이안나온다(이건 진짜 실제 써보시면알아요), 가스냄새안난다, 금방 온도가 올라가서 오래끓이지 않아서 좋다, 청소하기 정말 편하다 입니다~~~

 

 

 

뽀더용가리

2014.09.24 10:56:55
*.219.67.57

인덕션이 이제 대세 아닌가요???

 

가스가 몸에 해롭다고 해서 바꿔야 하나 고민중... AS만 되면 좋을거 같아요.. ^^

베리슈

2014.09.24 13:32:29
*.194.196.62

인덕션 좋죠.
전용 조리기구 사용해야되는 것만 빼면
모든 면에선 다 장점이라 생각됩니다.

superMS님이 말씀하신거 이외에도
열전달이 골고루 잘되서 조리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잘되는것도 장점이구요.

인덕션으로 많이 넘어가는 추세인데다가
워낙 저렴한것부터 비싼것까지 가격차이가 워낙 심하다보니...
가격도 3구짜리가 80이면 중간정도금액대 되니 as잘되고 마케팅만 잘하시면 잘되실듯 싶네요.

poorie™♨

2014.09.24 13:34:21
*.255.194.2

인덕션은 있으나,,

대부분은 가스렌지에 하는 불편한 진실 = =;;

 

처음에 몇 번 사용하다가 지금은 대부분 가스렌지를 ... = =;;;

인덕션 위에는 빈 냄비만 있네욤. ㅋㅋㅋㅋ

낙엽헝그리

2014.09.24 16:45:53
*.95.149.227

인덕션이 좋긴 하는데..

우리나라 정서상 빨리빨리가 있어서...

몇번 쓰는데 다들 답답하다며 휴대용 버로를 마니 찾는게 실정이던데요..

그리고 중국산들이 너무 가격이 싸서 시장이 무너지지 않았나 봅니다...

슬로프빚자루

2014.09.24 17:05:26
*.107.229.124

틸만 3구 인덕션 사용중 입니다.

인덕션 하고 하이라이트 하고 착각하고 계신듯 한데요 ...

인덕션은 고주파자기장으로 가열하는방식이고

하이라이트는 콘도 등에서 보이는 상판가열식(빨간 가열판) 이구요

인덕션이 가열은 훨씬 빨라요 단점은 가격&전기세&스틸용기만 사용가능

하이라이트는 상판가열식이라 국물등 넘치면 눌러붙고 잔열기가 떨어진후 세척가능&판판한 용기만 가능 정도?

 

느낌표

2014.09.24 17:31:10
*.86.21.93

저희집은 휘슬러 8년째 쓰는데
이제 가스렌지 못 쓰겠어요....
가스냄새 맡으면 머리아프더라구요 ㅠ

ㅇ.ㅇ

2014.09.25 00:45:25
*.207.122.175

인덕션렌지 사용경험자입니다.


뭐 사용가능 냄비나 용기등이 제한적이라는 분들이 많은데,,


글쎄요..


요즘 나오는 웬만한 스텐제품들은 죄다 지원합니다.


바닥이 430이거나 자석에 붙는다면 사용가능하고요. 법랑도 사용가능합니다. 철제제품도 마찬가지..


뭐 유리냄비일 경우 힘들겠지만..알루미늄냄비나 스텐레스인데 바닥까지 몽땅 304재질이면 역시(예전제품이 그랬었습니다.) 사용이 불가능하죠. 


일단 좋은점이 열효율히 상당히 좋습니다.


인덕션렌지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기때문에 열손실이 없습니다.


냄비를 올려놓으면 저항때문에 냄비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입니다.


라면물 같은거 올려놓으면 순신간에 끓어오릅니다.


끓이는 속도에서는 천하무적이죠.


특히 여름에 진가를 발휘합니다.


냄비자체에서만 열이 나니... 렌즈자체에서 열이 발생해서 끓이는 방식과는 다르죠.


다만 잔열을 이용할 수가 없습니다.


렌즈를 끄면 그것으로 끝이죠.


반면 하이라이트는 렌즈를 끄더라도 잔열이 강해서 좀더 오래 끓일 수있고 보온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죠.


물론 하이라이트도 꽤 빨리 끓긴하지만...


워낙 열발생이 심해서 여름에 덥습니다.


아무래도 가스사용은 매우 위험하죠.


그런 변수를 없애고 싶다면 인덕션렌즈가 좋죠.


아이들 키우는 집이라면 하이라이트나 가스렌지보다는 인덕션렌즈가 좋다고 보고요.


저 같은 경우 최고로 올려도 꺼지는 일은 없었습니다.


최고로 올리면 순신각에 꺼지고..(물론 한계온도가 있긴 합니다.)


시간조절도 가능해서 안전하게 자동으로 꺼지죠.



우리보

2014.09.26 16:16:11
*.233.56.33

저는 가정내 실내환경 관련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가스레인지를 사용하시는 것과 인덕션 사용하는걸 비교하면 가정내 미세먼지, NOx, 유기화합물 등 발생에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레인지 후드를 사용하면 발생량의 약 70%를 제거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마저도 잘 사용하지 않지요...

 

물론 저는 인덕션 + 레인지 후드 항상 사용 을 기준으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무조건 인덕션 쓰셔야지요....우리나라 전기값도 싼데 말이죠....

사주전에

2014.09.30 13:17:51
*.247.149.100

일반 가정에서는 좀 ,,,,무리가 있겠구요,,,,,자취방,,,원룸,,,이런곳은 좋죠,,,,음식 조리해먹을일이 별로 없는 사람들에게는 닥인데

일반 가정에서 처럼 조리음식을 많이 하게 되면 가스비보다 전기비가 더 나오죠

영혼의반역자

2015.01.02 16:55:22
*.107.75.140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레인보우

2015.04.01 21:55:52
*.62.204.32

대리점모집500만
국내첫출시 e-클레식 독일제명품 전기렌지
한달사용전기료1만원
판권+오픈매장자격
전기렌지200만3대지급
제주2박3일왕복권지급
전국영화관1년무료이용카드지급
소개배당금지급
카드결재가능
010-6245-087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68818
30354 페이스북 비밀번호 어떻게 찾나요? [2] 張君™ 2014-09-24 545
30353 한달전기세 다들얼마나나오시나요?? [37] 낙엽녀 2014-09-24 4033
30352 게임 영영 실행 못하게 설정할 수 있나요? [9] 포맷만할줄... 2014-09-24 842
30351 대구에서 용평 [5] 박말순 2014-09-24 820
30350 Log in 유지가 안되네요 [6] 그린데몽 2014-09-24 515
30349 하이원 주변(?) 여관/모텔 얼마나 하나요? [10] ㅇㅅㅇ 2014-09-24 1523
30348 갤럭시S5 vs LG G3 [13] 핸드폰 2014-09-24 889
30347 사장님께 드릴 선물 어떤게 좋을까요? [11] 숑ol 2014-09-24 1080
30346 서울 세계불꽃축제 [9] 적후 2014-09-24 1139
30345 신혼 여행을 스키장으로 갈까 합니다?! [32] 고양이주인님 2014-09-24 1563
» 전기렌지(인덕션) 어떻게 생각하세요? [16] 웅냐웅냐 2014-09-24 6673
30343 계산 문제 하나 도움부탁해요~ [8] ?? 2014-09-24 1441
30342 회사의 비젼 vs 동료 [19] 오오미 2014-09-23 1222
30341 휴대전화 신규로 하고 예전번호 쓰는 방법 없나요? [5] 고무신껌[춘천] 2014-09-23 726
30340 제 수준에 작은 외제차 무리인가요???ㅠㅠ [27] 나도 미쳤어 2014-09-23 2118
30339 친구의 남자친구 생일선물 뭐가 좋을까요.. [16] 보잉kk 2014-09-23 1481
30338 철제 봉 구입할수 있는 곳 아시는분! [5] diy힘드네 2014-09-23 1010
30337 가산디지탈단지에 계시는분들 [25] imemine 2014-09-23 1984
30336 웰팍 시즌권 회원추천 가격 [5] RockQ 2014-09-23 708
30335 차 보험료 얼마 정도 나올까요?? [8] 루카스마쿵 2014-09-23 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