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 파이프 월턴만 하려 합니다.
소프트한 역캠의 유불리는 어떨까요.?
파이프 경험이 원런 뿐이라서 못 미더우시겠지만 ...
파이프에서의 월턴도 슬로프에서의 턴과 흡사한 점이 많습니다.
노즈방향의 진행보다 사이드방향으로 많이 미끄러지면서 벽에 진입하여 턴을 하려하면 미끄러져버리기 십상입니다.
슬리핑이 적은 상태로 벽에 진입할수록 턴이 수월해집니다.
월턴은 정점에서 보드의 회전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엣지를 많이 세운 상태에서는 보드를 회전시키기가 어렵습니다.
회전이 이루어지는 벽에 진입하면서부터 엣지각이 작아져야 합니다.
엣지각이 작아지면 당연히 기울기도 세워져야 하지요.
기울기가 세워진다는 의미는 설면에 직각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수직벽까지 올라가서 턴이 이루어진다면 라이더는 수직벽에 직각인, 즉 수평에 가까운 자세가 되어야하는 것입니다.
비기너턴에서 테일쪽 무릎을 구부려서 중력방향으로 서 있으려 하듯이
파이프에서도 중력방향으로 서 있으려고 하면 벽을 올라가면서 엣지각이 점점 커져서 보드의 회전을 만들어낼 수가 없게됩니다.
그리고, 보드의 회전은 로테이션 등을 통한 토션으로 노즈쪽 엣지각이 더 작아짐으로써 이루어지게 됩니다.
로테이션을 작게, 천천히 하면 회전은 천천히 일어나서 반경이 큰 곡선을 그리게되고 속도는 빨라집니다.
그래서, 벽의 정점에 가까워졌을 때 빠르고 큰 로테이션으로 빠른 회전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속을 억제하기가 유리합니다.
특히 힐엣지로 벽에 진입할 때는
월턴 후 벽을 내려올 때는 토엣지로 내려온다는 기분으로 로테이션 시에 노즈쪽 엣지를 확실하게 눌러(체중을 실어)줍니다.
비기너턴을 비롯한 슬라이딩턴에서 토턴 들어갈 때 노즈쪽 토엣지를 확실하게 눌러주어야(체중을 실어주어야) 하듯이.
요약)
사이드방향으로는 덜 미끄러지면서, 다시 말해서 카빙에 가깝게 벽에 진입한다.
벽에 진입하면서는 엣지각이 작아지도록 설면에, 벽에 점점 직각에 가까워지도록 기울기를 세운다.
정점에 가까워지면 빠르고 큰 로테이션으로 빠른 회전을 만든다.
버텀이 아닌 파이프 아랫쪽으로 내려가면 빠르게 가속되므로 되도록이면 다음 벽에 직각에 가깝게 진입한다.
너무 직각에 가까우면 정점에서 더 많은 각도의 회전을 만들어야 하므로 직각과 대각선 사이에서 적당히 ...
파이프에는 딱 한 번 들어가 보았지만......
파이프 월은 아이스라고 봐야하잖아요..
엣지그립력이 최우선 아닐까요?
소프트한 역캠은 최악일 거 같은데요.
소프트해서 그립력이 달리고
역캠이어서 그립력이 달리고
역캠은 더군다나 엣지의 베이스각도도 클 거구요..
장점은.. 없을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