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아직 초보인 보더입니다. 혼자서 영상보면서 렌탈보드로 연습한지 2-3년됬고 이번에 데크 맞춰서 제대로 해보려고요.

 

보드는 일단 라이딩 용으로 샀습니다. 그치만 기본적인 트릭이나 하프파이프 같은것도 배우고 싶어요!

 

그런데 글을 보다보면 흑백논리처럼 트릭과 라이딩을 구분지으시는 분들이 계시던데..

 

초보라 뭐가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데크 캠버의차이? 또는 부츠의 차이? 말고는..

 

제가 아는한에서만 이야기 해보면

(틀렸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딱딱한 데크와 부츠로는 라이딩에 안정성이 있고 하프파이프도 딱딱한게 좋다?

라이딩용으로 트릭을 하려면 황소같은 우람우람한 다리를 가지고 있어야한다

 

2. 말랑한 데크와 부츠로는 움직임이 자유롭고 보드를 휘기가 좋아서 트릭에 좋다?

 

라고 알고있습니다. 그러면 키커나 지빙은 뭐가유리한가요???

 

돈의 문제, 성향의 문제를 떠나서 트릭과 라이딩을 구분 지을 수 있는 요소가 데크나 부츠의 경도 외에 뭐가 있는지, 배우는데 있어서 그것이 그렇게 큰 차이를 만드는지가 궁금합니다.

 

장거리 선수는 장거리위주의 운동, 단거리 선수는 단거리 위주의 운동을 하는 것처럼 트릭과 라이딩(이젠 이렇게 구분을 지어야하는지도 잘 확신이 안서네요)도 무언가 하나를 중점적으로 파야하는 건가요 ?

 

예전에도 혹시 이런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면.. 못찾은 저를 용서해주세요 ㅠㅠ 좀있다 겨빨파가서 또물어볼거임!! 좀따봐여 여러분^^

엮인글 :

별똥왕자

2014.10.17 13:19:49
*.62.190.68

딱히 트릭이랑 라이딩이랑 구분 짓는 다기 보다는 트릭을 하려면 라이딩의 기초가 돼있어야 겠죠? 파이프 그트 지빙 결국은 라이딩이 받쳐줘야 된다고 생각해요ㅎ

NSW보딩

2014.10.17 13:30:10
*.114.22.81

감사합니다! 그러면 사실 더 궁금한게.. 라이딩은 고급카빙까지만 배우면 더 할게 없는건가요? 그 이후부턴 이제 나머지 기술들을 배우면되나요? 외국영상을 보면 (아직 많이못봤지만) 라이딩에 미쳐있는 사람들이 많고 장비들도 라이딩용이 더 고급이던데 그렇게 고급으로 무언가 더 배우는게 있는건지.. 아니면 턴 자체에 좀더 고급스러움을 점점 가미해가는게 라이딩 실력의 최종목표인건가요? 글에 좀 두서가 업네요

별똥왕자

2014.10.17 13:46:30
*.62.190.68

배움에 끝이 어디 있겠습니까? 상급 라이딩 마스터 하고 트릭 해야된다는 법도 없고 단지 개인의 취향 이지요 단지 걸음도 못뗀 아기가 뛸수없듯이 라이딩의 기초만 된다면 라이딩이든 트릭이든 하고싶으신거 하시면될 듯 하네요~ 보드의 최고 목표는 재밌게 즐기는거라고 생각해요

NSW보딩

2014.10.17 14:38:13
*.114.22.81

네 기초부터 잘 다져놓고.. 위로 올라가볼게요 조언 감사합니다^^

백만송이장미

2014.10.17 14:04:46
*.148.112.182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쪽이 유리해지면 다른 한 쪽에서 불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데크의 길이(, 유효엣지 길이)

플렉스

사이드컷반경

캠버

스탠스(폭, 셋백, 바인딩각도, 바인딩 플렉스, 바인딩의 힐토방향 위치, 하이백(높이, 포워드린, 로테이션), 부츠 플렉스)

데크폭(, 노즈폭과 테일폭 차이)

엣지의 베이스각과 사이드각

베이스

등에 따라서 유불리가 결정됩니다.


불리한 쪽을 그나마 덜 불리하게 하려면 유리한 쪽에서 그만큼 포기해야 하는 거지요.


페이키(테일쪽 라이딩)를 덜 불리하게 하려면 노즈쪽 라이딩을 그만큼 포기해야 하고

역엣지를 줄이려면 그만큼 그립력을 포기해야 하고

슬라이딩이나 스핀을 추구하려면 그만큼 카빙을 포기해야 하고


1. 라이딩용이라 함은 페이키를 어느 정도 포기하고 노즈 방향 라이딩에 주력하며, 카빙에 유리한 데크를 말합니다.

셋백과 바인딩 각도, 테일폭보다 넓은 노즈폭, 노즈쪽에서 더 큰 반경을 갖는 복합사이드컷반경 등이 페이키에 불리하고

토션이 작아서, 길이가 길어서 카빙에 유리한 반면에 슬라이딩이나 스핀, 회전에 불리하고

엣지의 베이스각이 작아서, 정캠이어서 그립력이 큰 반면에 역엣지에 취약하고

데크를 휘기가 힘들어서 역시 그립력은 크지만 알리나 널리 계열에 불리하고

신터드 베이스는 왁싱하면 활주성은 높지만 지빙에서 베이스 손상에 취약하고, ...


2. 소프트한 데크는 잘 비틀어집니다. 슬라이딩이나 스핀을 만들기가 용이합니다.

데크가 잘 휘어서 작은 하중에서의 알리나 널리 계열에 유리합니다.

대개 초급자용 또는 올라운드용이라서 역엣지의 위험을 줄이고자 엣지의 베이스각이 클 것입니다.

소프트한 바인딩, 소프트한 부츠는 라이더의 자세나 동작이 데크에 전달됨에 있어서 즉각적이지 않고 어느 정도 둔감하게 전달됩니다. 엣지각을 바로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발목과 무릎의 활용도가 높아집니다. 랜딩 미스를 허용하는 범위가 넓고 ...


키커는 트릭이나 지빙용 보다는 라운드해드 라이딩용이, 라이딩용보다는 파이프용이 유리할 거 같습니다.

지빙은 너무 말랑하지 않는, 플렉스 중간 정도에, 익스트루디드 베이스에, 엣지의 베이스각이 조금 커야 유리할 거 같습니다.

NSW보딩

2014.10.17 14:47:40
*.114.22.81

와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잘 모르는 용어는 열심히 네이버랑 찾아봐서 어느정도 이해했습니다. 하나만 더 여쭤봐도될까요 ? 지금 중고데크로 구매해놓은게 디렉셔널에 매우 하드한 데크인데, 위치를 노즈쪽을 더짧게 바인딩을 잡아서 트윈처럼 양쪽으로 타게 조정해놓았습니다. 혹시 이렇게 타도 스위치 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까요 ?

백만송이장미

2014.10.17 15:05:02
*.148.112.182

디렉셔널에 매우 하드한 데크들 중에도

노즈폭과 테일폭이 같고, 트윈플렉스에, 트윈(또는 단일)사이드컷반경을 갖는 데크들이 많습니다.

인서트홀만 테일쪽으로 밀어놓은 거지요.

이런 데크들을 트윈셋팅하면 매우 하드한 트윈데크가 되는 거지요.


디렉셔널에 매우 하드한 데크 중에는

(노즈쪽) 라이딩에 치중하느라고

테일폭보다 노즈폭이 큰 데크들도 있고

노즈쪽과 테일쪽에서 반경이 다른 복합사이드컷반경을 갖는 데크들도 힜고, 아울러서 복합플렉를 갖는 데크들도 있습니다.

이런 데크들은 트윈으로 셋팅하더라도, 노즈쪽 라이딩보다 페이키라이딩에서 살짝 불리하겠지요.

문제가 되는 게 아니라 어색하고 불리한 정도랄까요.

NSW보딩

2014.10.17 15:15:52
*.114.22.81

아 그렇군요.. 어차피 스위치도 연습해야하고 하니 그정도는 감안해야겠네요. 정말감사합니다 ㅋㅋ 오늘 겨빨파 때 혹시 오신다면 제가 술한잔이라도 .. 드릴게요 ㅋㅋ

보드가머에요

2014.10.17 14:15:05
*.35.182.19

토끼를 배우기는 힘이 들것이로 보입니다.......우선 귀가 길어야 하고....완전채식의 식단으로 드시되 절대 수분을 섭취해서는 아니됩니다.........더군다나 라이딩하는 토끼와 트릭하는 토끼를 본적이 없기 때문에........

.............아...저 심심한가봐요...ㅈㅅㅈㅅ....

19)성인영상

2014.10.17 14:16:53
*.85.116.23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빵터졌어요 ㅋㅋㅋㅋ

NSW보딩

2014.10.17 14:36:23
*.114.22.81

으아아아악 ㅋㅋㅋㅋㅋㅋ 빵터졌네요 저도 모르게 그만 .. 수정하고싶지만 다른분들의 웃음을 위해 놔두겠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01030431438

2014.10.17 17:54:25
*.33.186.49

두마리를 잡다 다 놓칠바엔
한마리라도 확실히 잡아두고
나머지 한마리를 잡으러 다니시는게....
비유가 좀 이상한가요? ㅎㅎㅎ

2rd_sTA

2014.10.17 23:16:50
*.121.135.41

좋은비유인데요 ? ㅋㅋㅋㅋ

주우니

2014.10.20 09:54:45
*.140.160.253

장비는 거들뿐.....


노력 하심 안되는건 읍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6057
104748 거의 입문인데 데크 추천부탁드려요 [4] 쭈앗 2014-10-17 809
104747 이번 시즌 처음으로 휘팍 시즌권자가 되었습니다. [4] 불타는알리 2014-10-17 790
104746 IX-3 고글문의 [3] 앗싸솔로보딩 2014-10-17 1037
104745 라이딩 보더에게 로시날 vs 살로몬 오피셜 어느것이 좋을까요? [27] 승봉이1 2014-10-17 2162
104744 보드 조합좀요..도와주세요 [4] 나인드라이브 2014-10-17 951
104743 보드가격 문의 file [1] 보더초봉 2014-10-17 1333
104742 오가사까 FC 데크 바인딩 나사문의 드립니다 [8] 박상진_968855 2014-10-17 2722
104741 부자티님 ~~~~~ [8] 나이스서퍼 2014-10-17 825
104740 캐피타 DOA 정말 좋은가요? [14] Houser-J 2014-10-17 1765
104739 무주 라커 질문이요!! [2] DDiBung 2014-10-17 726
104738 고글 직구 문의요~ [3] 베이라스 2014-10-17 1038
104737 말랑말랑한 고글?추천부탁드려요.. [8] 복부자 2014-10-17 683
104736 보호대질문잉 [1] 포뇨 2014-10-17 923
» 트릭과 라이딩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배우는건 불가능한건가요? [14] NSW보딩 2014-10-17 1119
104734 킥 뛰시는분들중 상체보호대 착용하시는 비율 높나요? [8] 질문킹답변... 2014-10-17 1132
104733 데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4] vioet 2014-10-17 724
104732 바인딩과 부츠 조합때문에 고민입니다.. [4] 타블로_906298 2014-10-17 725
104731 이 쓸데없는 뽐뿌를 어찌하나요(수정) [8] YP아범 2014-10-17 873
104730 이보드 어떤보드인가요? [9] 박형진안성 2014-10-17 1459
104729 드래곤 고글 신상.. file [11] 베이라스 2014-10-17 2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