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8년차 카빙 질문입니다

조회 수 1491 추천 수 0 2014.10.27 20:53:57
안녕하세요

보드탄지 8년되었고요 카빙은 되는것 같아요

초급 또는 낮은 중급정도에서는 괜찮은데 근데 문제는 상급 또는 최상급에서 고속으로 내려갈때인데요 이럴때 속도 제어가 잘안됩니다 너무 속도가 붙어 무서워서 완전히 선다음에 다시 내려가다 또 너무속도가붙어 서기를 반복하며 내려갑니다 잘하시는분들은 속도 잘 컨트롤하시면서 내려가시는데 도저히 어떻게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여기서 질문인데요 강습한번들으면 돈값할까요? 워낙
비싸 엄두 못내다 3.4년째 이상태라 실력도 안늘고 재미도없어져 안되겠다 싶어서요

그럼 답변부탁드립니다~~ 꾸벅
엮인글 :

트릭이랑싸움♥

2014.10.27 20:57:50
*.146.65.78

중간에 속도가 많이 붙으면 데크로 눈날리기 양옆으로 하는건 어떠세요?

오오미

2014.10.27 21:01:43
*.36.158.180

저도 2년째 이 고민중이에요 ㅠㅜ
제 대신 물어봐주셔서 감사합니다....

8년째낙엽중

2014.10.27 21:03:54
*.126.99.27

크게 돌면서 속도 조절 합니당

부자가될꺼야

2014.10.27 21:04:18
*.214.203.37

데크나 기타 장비가 최상급이나 상급에 적용될만한 고레벨의 장비라고 했을때;;;

 

속도 제어가 안되는 사람들을 보면

 

엣찌체인징이 너무 오래 걸린다....;;;

 

또한

 

(

 )

(

 )

 

요렇게 간다.... 속도 엄청 빨라짐;;;

 

될수 있으면 정확한 반원을 그려야 해요;;;

 

 

서울시민

2014.10.27 21:13:04
*.243.5.20

저는 차라리 강습을 받으시는게 앞으로 훨씬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35년째낙엽

2014.10.27 21:27:31
*.162.77.89

베이스가 어디신지요 서로 봐주기 어떠신지요

Jay_Kay

2014.10.27 21:39:46
*.62.203.114

크게 반원을 그리시 면서 약간 위로 올라가시는 느낌으로 턴을 하시면서 속도를 줄여 보세요... 계속 턴을 이어서 내려 간다는 느낌보다는 턴을 크게 하면서 속도를 줄이고 줄이고 하는 느낌으로요 저도 잘 제어 못하며 그냥 도움이 될까 한자 적어 봅니다 ㅎㅎ

NiKimaru

2014.10.27 22:00:51
*.70.253.205

저도 뭐 알려드리는 실력은 아닙니다만..........

경사가 있는곳은 더 과감하게 상체 로테이션을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더 과감하게 눌러줘야 합니다. 꾸욱~~~~~~어설프게 눌러주면 통통통~~튑니다.

물론 데크의 탄성, 길이, 엣지의그립력 또한 좋아야 하구요 속도에 대한 두려움도 이겨내야 합니다.

저는 속도에대한 두려움을 예로들어 최상급을 경사가 끝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5단계로 나누어서 가장 아래를

1단계~5단계까지 직활강 하는 연습을 했습니다. 주변 항상 살피고 했습니다. 겁이 많아서 ㅡㅜ....그리고 피클있을때

했습니다. 최상급에서는 피클이 있어야 활강하기 쉽잖아요

5,4단계는 아직 못했습니다만 ㅡ,ㅜ 3단계만 되어도 어느정도 속도는 이겨낼수 있을꺼에요~~~그러면

어느정도 속도에 대한 겁은 없어지더라구요~~~윗분들 말씀처럼 턴 반경을 크게 하시고 너무 폴라인쪽으로 엣지를

풀지 말고 해보세요~~~턴하시면서 항상 후경 안되도록 신경쓰시구요~~~강습은 글쎄요? 좀더 과감하게 한번 해보시고 결정하세요^^;;

 

PS : 그리고 베이스가 어디신줄은 모르겠으나 최상급은 용평같은 경우는 레드가 있는데 스키어분들이 워낙 많아

        움푹움푹 파인데가 많아 좀 힘들어요 ㅡㅜ 휘팍은 그나마 덜한거 같더라구요~~~

 

헝파커

2014.10.27 22:47:56
*.231.106.202

휘팍도 정설끝나자마자 타도 패인곳있고 솟은곳있습니다 작년에 죽을뻔했죠....불새마루쪽 특히....

마식령뒷발차기

2014.10.28 00:44:55
*.18.66.47

상급에서 카빙이라는 말이 뭘 말하는건지 정확히 안적어 주셨는데. 보통 사활강으로 타죠.


숏턴과 사활강을 복합적으로 타지 않나요 ?


그냥 카빙으로 쑥~ 내려오면 속도 제어 안됩니다. 턴 한두번으면 상급코스 다 내려옵니다.


매처럼 멀리 보는 시야를 가져야 하죠. 그게 해 보시면 너무빨라 장애물 피할 자신 안생길겁니다.


속도 조절 문제가 아니라 시야확보 문제죠. 속도조절이야 플라이윙이라고 해서 중간중간 쓸어주다가 


j턴한다는게 정석인데, 평일 황제보딩하시는 축복받은 죽돌이 아니시면, 흉내내지 마시고, 살살 타세요.


8년 동안 카빙타시다니 대단하십니다... 카빙은 초보때나 하는거 아닌가요 ?  지빙하세요...

딜러버스트

2014.10.28 05:09:06
*.62.204.78

저두 카빙하다가 안돼서 지빙하다가 역시나 안잘 돼서 걍 활강합니다...ㅜ.ㅠ

카빙

2014.10.28 08:22:07
*.62.163.55

댓글 감사합니다~~ 좀더 생각해보고 결정해야겠네요 ;;;

guycool

2014.10.28 08:35:24
*.72.22.99

급사면에서  카빙하면 다 그렇게 돼죠.  엄청 깊게 걸어서 매턴마다 산위로 올라갔다 내려오는 감으로 하면 속도 조절되나 알파인 보드로 해야할 겁니다.

보통 슬라이딩 턴으로 속도를 깍아면으면서 내려가는 겁니다.

호9

2014.10.28 10:47:57
*.33.186.12

급사에서 카빙되구요. 하시는 분들 있잖습니까^^
제 경험으론 급사카빙이 안되시면 급사에서 그 전단계를 연습하시면 됩니다. 너비스해보고 잘 안되면 비기너 해보고 안되면 갈란데해보고 ^^; 결론은 급사에서 처음부터 다시하시면 됩니다. 전 3시즌정도 걸렸습니다ㅡㅡ; 강습을 받으셔도 너비스턴하실겁니다^^;

수아지

2014.10.28 22:54:14
*.99.58.50

제대로 된 강습을 받으신다면....실력이 더욱더 쑥쑥 업 되실거에요...비싸더라도 제대로 된 분에게 강습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249
105626 1314살로몬 오피셜에 1314스위치백 바인딩 괜찮을까요?? [3] 궁한보더 2014-10-27 1083
105625 데크길이질문입니다. [4] 2014-10-27 714
105624 끈부츠 어떤가요?? [16] 새나라의보더 2014-10-27 1474
105623 키170에 몸무게64 정도입니다..ㅜㅜ 데크 사이즈좀.. [11] 하이원 레옹이 2014-10-27 1649
105622 오피셜과 비슷한 데크... [7] 데크고민.. 2014-10-27 1440
105621 1415 011데크 사이즈 라인업좀 알려주세요~ [2] 단비님 2014-10-27 1246
105620 시즌권 교환권 [5] HOnGG 2014-10-27 1247
105619 하이백 로테이션 제대로 한거 맞나요? file [19] hello072 2014-10-27 1950
105618 보드 처음 탈 때요.. 혼자 좀 타보고 강습 받는게 나을가요, 처음부터 ... [24] 푸힝힝힝 2014-10-27 1233
105617 일본 니세코 스키장이 어느정도인가요?? [13] 9Breaker 2014-10-27 3112
105616 많고 많은 바인딩 셋팅 질문^^ file [23] hello072 2014-10-27 1462
» 8년차 카빙 질문입니다 [15] 카빙 2014-10-27 1491
105614 유니온 바인딩 사이즈.... file [33] 호수의네시 2014-10-27 1445
105613 초보 장비구매 질문드립니다. [3] 베베뮈뇽 2014-10-27 693
105612 led완장 어디 없을까요? [2] 앙팡테리블님 2014-10-27 1322
105611 숏턴을 글로 배우다가...리키님 영상보고 [8] 숏턴이란 2014-10-27 1718
105610 헝글형님들 라이딩 조합 이렇게는어떤가요?... [7] GBGBG 2014-10-27 969
105609 f4.0 외피묶는거 이렇게 약했나요?ㅠ file [21] 까만앙마 2014-10-27 1408
105608 살로몬 헬멧 신상품 어디가면 볼 수 있을까요? [4] 뽀더뽀레 2014-10-27 674
105607 버튼 부츠 내구성 [3] 글쓴이 2014-10-27 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