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rk5를 기준
1)처음 360은 누워서 스핀이 들어가고(방바닥에 누워서 한바퀴 구르느것이라 생각하시면돼요)
=>방법 : 레귤러 프론트 기준에 말씀드리면 데크가 립에서 빠져나간후 팝과 동시에 오른쪽어깨를 앞 위 방향, 왼쪽어깨를 뒤 아래 방향으로 감아주면 돼요 (이때 코어 회전이 잘 먹게 양발을 가슴으로 강하게 당겨주면 좋아요)
2)나머지 180은 일반 스핀으로 돌아가야겠죠?
==>방법 : 일단 머리가누워서 돌아가고(360) 있겠죠? 이후 나머지 180 동안 머리(목,어깨)를 세워주면서 시선 고정 처리(랜딩할 곳을 응시) 해주면 돼요. 이걸 말로 쓰려니 어렵네요.
우선 미들 이상 킥에서 540 여유있게 잡으시면 콕도 크게 어렵지 않은데 어설프게 작은킥이나 둔턱에서 540하시면 저어어얼대 시도하지마세요. 그러다 인생 끝난 사람 봤어요.
참고로 로데오든 콕이든 모두 사이드플립 백플립을 마스터하면 참 수월해요.
결론 : 로데오=>플립이 들어간다.
콕=>일단 스핀을 90도로 꺽어서 스핀을 먹인다.(중력과 수직으로 스핀)
맆을 떠나면 허공에서는 추가적인 회전력은 만들 수가 없습니다.
회전력은 맆을 떠나기 전에 만들어야 합니다.
이미 만들어진 회전력을 가지고 허공에서는 더 빠른 회전 또는 더 느린 회전을 만들 수는 있습니다.
회전축에 가깝게 수축시키면 더 빠른 회전이 만들어지고
회전축에서 멀어지도록 팽창시키면 더 느린 회전이 만들어집니다.
수평방향 회전에서는 라이더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보드에 수직인 직선이 회전축이 되는데
양 팔을 차려자세로 붙이거나 가슴에 팔짱을 끼면 더 빠른 회전이 만들어지고
양 팔을 벌리면 더 느린 회전이 만들어집니다.
수직방향 회전에서는 배꼽 정도 또는 배꼽 전방에 회전축이 만들어지는데
몸을 최대한 웅크리면 더 빠른 회전이 만들어지고
최대한 팽창시키면(만세 자세) 더 느린 회전이 만들어집니다.
백플립에 180 이라면
힐턴으로 진입하면서 백덤블링을 하면 백플립에 F/S180 이 되고
토턴으로 진입하면서 백덤블링을 하면 백플립에 B/S180 이 되겠네요.
맆을 벗어날 때 키커의 경사에 따라서 어느 정도 전경을 주어야
노즈 먼저 착지하지 않고 베이스 전체로 착지하게 되겠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