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올해 헤머덱에 입문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152 살로몬 오피셜 타구 있는데요 버즈런 Trix 모델을 구매해서 헤머덱에 입문해 보려고 하는데 사이즈가 157부터 나오네요
제게 157사면 되는지, 또 R1 하구 R2 모델이 있던데 뭐가 틀린지 까막눈인 저로썬 구분이 안되네요. 차이점 설명좀 부탁 드려요
참고로 제 신장은 173Cm 65kg 입니다.
일반 프리 타다가 넘어가면 완전 새로운 느낌이구 그러진 않겠죠? ( 좀걱정되네요)
감사합니다. 모두 즐거운 14/15 시즌 되세요.
버즈런 trix 데크에 대한 설명은 오해가 있을수 있습니다...trix는 세가지 데크 R1.R2 ,R3 나옵니다(13/14)
위의 달콤캔디님의 설명은 R3 설명입니다. 모든trix 데크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R3는 쉐이프도 헤머헤드가 아닙니다..와이드 프리스타일 데크와 똑같은 쉐입니다.(이걸 왜 만들었는지..)
http://blog.naver.com/tryple1?Redirect=Log&logNo=10177958250
(13/14) R1,R2는 해머헤드이고 풀카본빔 적용했습니다.(14/15 R1,R3)
그리고 허리폭이 157은 249mm / 159는 253mm /161은 254mm 입니다.
햄머데크.
1990년 중후반 유럽에서 보드크로스 시합이 붐을 이루게 되는데, 그당시에 선수들은 프리데크 그리고 알파인 데크로
시합에 출전하곤 했지요, 보드 크로스 시합은 8명이서 출발을 해서, 서로 몸을 부디치면서 활주력 및 킥커를 통한
공중에어 콘트롤까지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프리데크의 장단점과 알파인 데크의 장단점이 존재하였습니다.
그러다가, 2000년 초반에 이 두가지 형태의 데크들의 장점만을 합쳐놓은 햄머헤드 데크가 나오게 된것이죠.
프리데크 보다는 허리폭이 얇지만 알파인 데크보다는 허리폭이 넓고 (160cm 기준 250mm를 절대 안넘습니다.)
사이드 컷이 10미터 혹은 그 이상으로 넓어서 직진성이 좋고, 최상급 레이싱 베이스를 활용하며, 프리데크 보다는
하드하고 알파인 보다는 살짝 소프트 하고, 노우즈 셰이프가 딱딱한 보드크로스 슬로프와 기물에서 스피드 있는
엣지 그립력과 엣지 타이밍의 반응성을 도모하기 위해 알파인 데크와 비슷하게 각이지고 낮게 설계가 되어서
유효엣지의 활용성을 극대화 시켰습니다.
이 햄머헤드 데크는 프리스타일 라이딩의 유사성과 알파인 데크의 엣지그립력과 직진성까지 도모하게 되어,
2-3년 전부터 강설 슬로프 라이딩용 데크로 각광받기 시작하였죠.
다만, 버즈런에서 나온 트릭스 라는 데크는,
노우즈 셰이프는 햄머헤드의 쉐이프와 똑같다고는 하지만,
163센치 기준하여 허리폭이 미칠듯이 넓어서 햄머헤드 기준에서 크게 벗어나며 (허리폭이 275mm 기준)
우드 코어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
햄머헤드의 코어는 일반적인 플렉스가 아주 강하며, 더구나 비틀림 (토셔널) 플렉스도 미친듯이 하드해야 합니다.
둘다 9/10 정도는 되어야 해요. 우드 코어 소재로 아스펜 스트롱 포플러와 너도 밤나무, 혹은 메이플 우드 빔등을
적절히 배열을 하여 사용하고 티타널에 카본빔 까지 만땅 사용해야 겨우 그러한 단단한 플렉스가 나올수가 있죠.
근데, 버즈런 사에서는 토셔널 플렉스의 강화를 목적으로 낭창낭창 하기로 유명한 대나무 코어빔을 4줄정도 삽입을
하였습니다. 버즈런의 엔지니어링 디자이너가 누구인지 심히 궁금하긴 합니다.
트릭스 데크, 쉐이프만 햄머데크이지 그안에 들어간 내장재는 아주 지극히 일반적인 와이드폭 프리스타일 데크의 그것과
흡사할 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