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전세자금대출은 신규계약이거나 재계약할때나 가능하지 이미 계약한 상태에서 사는 중간에는 전세자금대출이 안될텐데요? 계약서가 첨부되어야 해서, 이걸 사용하려면 집주인과 상의해서 지금 재계약을 하는 형태로 계약서 작성을 해야 할 겁니다.
2. 보통 연봉의 50~60% 정도 직장인신용대출의 한계이니, 2013년 소득관련 자료(거래할 은행 문의) 및 관련서류 가지고 은행 가시면 신용대출 한도와 이율 심사해서 알려줄 겁니다.
3. 보험이나 연금 납입하는 거 있으면, 그쪽에서도 기존 납입된 대금 담보로 담보대출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대출이 아니니 2번과 상충되지 않습니다.
1,2,3 세가지다 이률 10% 미만입니다.
아마, 이 세가지 외에는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일단 대출은 받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받지 않는것이 좋지만.. 꼭 받아야 한다면.. 이라는 전제하에.. 몇가지 알려드립니다.
8천만원의 용도가 전세집을 구하기 위함이라면.. 전세자금 대출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억짜리 집이라면 80%인 8천만원까지 전세자금 대출 가능합니다. 국민주택기금에서 지원하는 대출제도를 활용하시면
3% 정도의 이율로 대출가능합니다. 조건은 집주인의 서면 동의와 전화 통화로 허락이 되어야 합니다.
두번째로 신용대출로는.. 질문자님이 연봉이 2500 이라면.. 원천징수 영수증금액이 얼마인가요?
실수령액 말고 세금 포함한 금액을 여쭤보는 겁니다. 원천징수금액이 3000 이라고 가정했을때.. 여기서도
채무가 완전 0원으로 가정했을대.. 신용등급이 5등급 이하로 가정했을때...
1금융 국내 은행에서는 100% 까지 안나오고.. 80% 정도 까지 나옵니다.
즉 국민은행,신한은행 같은곳에서는 신용대출로 2000 이상 안나오실꺼에요.
외국계 1금융으로 가시면 연봉의 2배까지 잡아줍니다. SX제X은행 이나 씨X은행 같은곳에 방문해보시면 되는데..
1금융도 3군데 이상 가셔서 신용조회 하시믄 등급떨어집니다. 두군데만 가서 비교하시고.. 나머지는 가조회로 가셔야 합니다.
이율 잘 따져보시고.. 상환방법도 잘 따져보시고.. 대출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이율이 10% 이상으로 넘어가믄.. 정말 어렵습니다..
글에 보면.. 12월에 대출받고 1월말에 상환한다고 적혀있는데.. 2달의 텀을 본인 능력으로메꾸셔서.. 대출안받고
일처리 되시기 바랍니다.
전세자금 대출은 집주인이 허락하면 가능하구요 집주인이 허락하지 않으면 대출을 받지 못합니다.
필요한서류는 각은행에 문의 해보세요
요즘은 각보험회사에서도 대출가능해서 3.3%이하도 받을수있으니 인터넷이나 지인분들 알아보시고 심사숙고 하시길 바랄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