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자게에 글을 썼읍니다.

내용인즉
직장인 휴가 이틀내서 보딩하는데 지 몸못가누는 초보가 챔피온 올라와서
개념없이 쏘다 뒤에서 저를 들이받아 2시간 보딩하고 나머지는 시즌방에서
티비보고 있었고 황금같은 평일보딩을 날렸단 내용과 함께
초보들(아마도 지는 잘탄다고 생각할겁니다)은 상급에 올라오지 말란 내용입니다.
그 중 UN이란 분이 리플을 다셨는데 그 내용인즉


(2005-11-23 12:39:12)61.77.122.177  

저도 지난시즌에 그런 초보한테 대퇴부 가격 당해 1주일 침 맞으러 다녔습니다. 그래도 그친구 예의는 있더군요. 같이 내려가서 커피 한잔 마셨죠. 생각해보면 저도 그런시절이 있었구요. 님도 그런시절 있었습니다. 지금은 아프시더라도 이해하세요. 한국의 보드현실을 먼저 인식하셔야죠.  

이런내용이었습니다.

정말 어의가 없더라구요.
못타는 사람이 상급슬롭와서 엄한 사람 들이받아도 이해해야 한단건가요?
사람이 좋으면 들이받혀도 커피한잔 하며 털어버려야 하는건가요.
개념없는 초보가 상급 올라와서 쏘아대며 속도 컨트롤못해 사람들이받는게
한국의 보드현실인가요?
적어도 그런 마인드를 갖는 사람은 UN님을 포함한 극소수일꺼라 생각되는데.
물론 저도 그런시절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 그런시절에 상급 안올라갔습니다.
적어도 제 취지는 머 상주를 하건 아님 황금같은 시간 내서 보드장 찾은 사람들에게
자신의무개념으로 인해 피해를 주지 말라는  내용이었습니다.
(물론 그당시 짜증이 이빠이 나서 '지뢀'이란 표현은 죄송하고 제 잘못입니다.)
혹시 저를 박고 간 사람이 UN님이 아닐까 의심되는군요.


다른 분들은 어케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아래는 원문내용입니다-



제발제발 부탁드립니다.

지 몸도 제대로 못가누면서 제발 상급자 코스에 올라오지 마세요.



짜증 이빠이 납니다.



회사 2일 휴가내서 월요일 화요일 휘팍에 있었습니다.



아실거에요. 직장인들은 평일 2일이 얼마나 황금같은 시간인지.



월요일 점심 조금 지나서 챔피언 상단에 디지와 갈라지는 부분의 비교적 경사가 급한데내려오는데 지



속도를 못이기고 뒤에서 날라서 저의 허벅지 옆부분을 날라서 무릎으로 찍더이다.



한 5분을 꼼짝못하고 있다가 괜찮냐고 물어보는데 부러진건 아니라 그냥 내려가라고 했더니



열라 뒷발차기하면서 내려가더군요.



뒷발차기를 머라 함이 아닙니다.



크게 턴하면서 뒷발차기 하면 머라합니까?



혹 숏턴뒷발차기라고 아시는지?



어째든 덕분에 2일 휴가중 월요일 오전만 타고 화요일까지 시즌방에서 누워있었습니다.



지금도 욱신거리네요.



본야스키한테 로우킥 맞아 쩔뚝거리는 최홍만이 이해가 가네요.



지 몸도 못가누면서 상급자 올라오는 개념밥말아먹은 인간들은 제발 자중하세요.



실력키운담에 오셔도 늦지않습니다.



정 올라오고 싶으면 낙엽으로 내려가세요.



올라와서 지뢀하다 엄한 사람 처박지마시고 . 진짜 짜증납니다.



(2005-11-23 12:39:12)61.77.122.177  


저도 지난시즌에 그런 초보한테 대퇴부 가격 당해 1주일 침 맞으러 다녔습니다. 그래도 그친구 예의는 있더군요. 같이 내려가서 커피 한잔 마셨죠. 생각해보면 저도 그런시절이 있었구요. 님도 그런시절 있었습니다. 지금은 아프시더라도 이해하세요. 한국의 보드현실을 먼저 인식하셔야죠.  


* 정덕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5-11-25 17:26)
엮인글 :

Navi

2005.11.25 13:47:09
*.145.175.110

초보자가 상급자 코스에 와서 탄다고 해서 머라고 할 수 있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단, 최홍만님 말씀대로 낙엽으로 내려가던가 해야지 남에게 피해를 주면 안되겠죠.
UN님 말씀 중 한국보드의 현실은 무엇을 말씀하시는건지 모르겠네요. 오히려 잘못된거죠. 초보자를 가르쳐 준답시고 상급코스에 끌어다 놓고 "내려가" 하는건... ㅎㅎ
근디... 칼럼 맞나요? -.-a

환타_

2005.11.25 13:59:06
*.232.50.150

1. 이 글이 누구나칼럼에 와야 할 문제는 아니죠? 기문답 아니면 토론방이 좋을 듯 합니다.

2. 실력에 걸맞는 슬롭 사용은 더이상 왈가왈부할 문제는 아니죠. 당연히 지켜져야 할 원칙입니다.
그런데, UN님의 말씀은 허용하자...라는 말씀은 아니라고 보여지는데요.
그냥, 우리나라 보드장 상황이 외국에 비해 많이 열악하니까, 원칙은 그렇지만(실력에 맞는 슬롭이용)
그렇다고, 멋모르고 온 초보들을 너무 몰아부치지 말고, 조금은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이해해보자...정도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솔직히...어지간한 보드장 초보슬롭 대기줄 보면 막막하죠.
거기서 타라면 진짜 미칠겁니다.

같은 상황이라도 말을 조금 달리 해줄 수있을테니까요.
중상급자슬롭 와서 벌벌 낙엽으로 눈쓸고 가면..
옆에서 욕설 섞어가며 개망신 줄수도 있지만, 좋은 말로 초급으로 가시라고 할 수도 있죠.

좋게 좋게...원칙은 지키되, 웃으면서...
일단...다치신 부위는 쾌유하시길 빌겠습니다.^^

스치는

2005.11.25 14:24:35
*.244.123.14

초보는 초보 슬로프에서 타고 고수는 초보슬로프에 와서는 초보처럼 타시길 옆에서 바람소리 내려가면
무섭3

.

2005.11.25 14:26:18
*.178.179.92

어의(X) 어이(ㅇ)

양치기

2005.11.25 14:34:08
*.196.198.40

쩝.. 자신도 위험하고 자칫하면 남들에게도 피해가니 초보로 가세요.. 라고 해야 맞지 않아요?
겁없는 당신때문에 내가 손해다. 그러니 오지마라 개념없다..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만약 님께서..다른 고수분과 충돌하셨다면 이런글 쓰셨겠습니까? 사고는 어디서나 날수 있는겁니다.

노바

2005.11.25 14:34:54
*.186.89.141

초보와 고수의 기준이 뭔가요? 갑자기 궁금하네~ -_ -;;

론리보더 ~ ♪

2005.11.25 14:38:40
*.127.218.162

우선 칼럼은 아니네요 차라리 토론방으로 ^^

그리고 못 탄다고 오지마라 이건 아니죠
누구나 자신의 레벨보다 조금 높은 레벨에 도전하는 단계는 거쳐야합니다.
그 초보분이 얼마나 초보인지는 저도 모르고 UN님도 모르는 상황이고
물론 글 쓰신 최홍만님도 그 초보분의 진짜 실력을 다 아시는 건 아니죠
중급에서 좀 탄다는 분도 상급가면 겁먹고 완전 초보처럼 낙엽으로 끝까지 밀고내려가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깐요.


파삥수

2005.11.25 14:50:29
*.253.24.93

저역시 초보시절이 있었고 또 저역시 처음 탈때도 데굴데굴 굴러내려오면서 상급자를 올라가봤었고요... 정말 몰라서..그냥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꺼라는 생각을 못해서(가르쳐주는 사람이 없었으므로..) 올라갔던 거였습니다.
초급에서 상급에 대한 경험은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되고요 도움이 될 꺼라고는 생각 하지만요....
제어를 하지 못할 속도를 내며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준다면 정말로 자제해야 할꺼라고 생각하네요
요즘은 가르쳐 주는 사람이 많으니까... 아시는 분께서 잘 가르쳐 주신다면 이런 일은 없겟죠

솔직히 초급 분들이 그런 생각을 하고 갔겟습니까... 그런 분들을 뭐라 하기 이전에 아는 사람들이
먼저 나서서 알려주는 캠페인을 해야하지 않을까요?
칼럼이라기 보단 캠페인 글..로 보입니다... 제목도 캠페인 이고요..
단지 아쉬운건 내용을 비판적인 내용보다는 발전적인 캠페인으로 바꿔주시면 좋은 글일듯 합니다 ^^

도곡동 턱수염

2005.11.25 15:07:29
*.188.73.7

우리나라 스키장을 보면 초보자용 슬로프가 특히 열악하다고 생각됩니다만..
언제나 사람이 북적거리고 게다가 상급 중급에서 내려오는 사람들까지 합쳐지면 그 환경은 마음편히 배울만한 것이 못되죠..
초보자들에게 필요한 건 무엇보다 넓은 장소와 유사시에 도와줄 수 있는 친구나 강사 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다보니 보다 한적한 중급, 상급 슬로프로 올라가는것인것 같습니다..사실 열에 아홉은 이렇게 배웠다고 생각됩니다..
설문조사는 안해봤지만..;;
누가 잘했다 못했다 이렇게 서로 싸울것이 아니라 왜 이렇게 되었고 어떻게 하면 보다 좋은 쪽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솔라리스

2005.11.25 16:13:38
*.33.22.239

dasfasd <--- 님 초딩이요?
자기의 의견에 안맞는 글이 있으면 정당한 반박을 할것이지 로그오프로 욕하면 스스로 안챙피 하나?
그렇게 무개념적으로 살지 맙시다.

파삥수

2005.11.25 16:25:51
*.253.24.93

dasfasd 님께서는 초등학교도 안가보셧나보네요
말 참 이쁘게 하십니다. 개념적으로도 참 잘 잡히신듯..
그냥 저냥 이말듣고 또 한마디 하겟죠? ㅋㅋ

빈티탈출=헝그리?

2005.11.25 17:24:34
*.79.8.106

읔.. 초보 고수.. 기준이라.. ㅋ 사람이 도전하고싶은 욕구가 강해서 오지마라고 그래도
가는게 사람인데요 ^^; 뭐 고속도로에서 80키로이상 달리지 말라는 표지판 있는데
차가없으면 80키로 이상 속도 더 내나요? 아니면 자신은 정직하게 살아서 80키로로 딱 맞춰서 가나요
ㅎ 다들 사정이 있어서 규정을 어기는거죠..물론 자신이 상급자에가서 다칠꺼같으면 안올라가죠
하지만 안다칠꺼같다고 생각해서 올라가서 조심히 탄거인데 구지 욕할필요가.. ㅋ

이영석

2005.11.25 17:45:22
*.84.139.242

내가 어디서 어떻게 타든 중요한거는 아니라 봅니다...
다른 것과 비교하긴 머 하지만 초보가 고속도로 못올릴 이유는 없는거지요... 제한속도만 지켜지면 문제없지 않습니까? 고속도로에 초보잇다고 잘못된것은 아니라 여겨집니다. 베터랑이 초보를 조심해서 피해가야할듯.,.,,
연륜이 쌓여갈수록 더욱 조심 해야하지 않을까요?
혹여 초보잘못으로 사고가 낫다고 해서 초보자는 초보자 코스만 타라느니 등등~~~~
그건 객관적 입장에서 이해안갑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승부욕이 강하면 강할수록 더 짜릿한 체험을 해보고픈 것이 사람인것을~~ 초보라고 그런 심정 없겠습니까?
초보보더나 스키어들이 낙엽이나 에이자 배우다 그것이 터득이 되면 난코스를 접해보고픈것이거늘~~~

salem

2005.11.25 18:08:03
*.238.83.179

자기가 돈내고탄다는데 어디서 타던 상관은 없죠

하지만 남에게 피해주지않느 센스는 있어야죠..

윤짱

2005.11.25 18:30:08
*.127.52.212

자신에게 맞는 슬로프 이용은 본인과 타인의 안 전 위한 길이니 좀더 신중히 생각해서 타는게 좋죠

모처럼 휴가내서 평일 황제보딩 즐기려는 맘 이해하지만 글이 좀 까칠해 보입니다 ..ㅎ

해서 un님의 딴지가...

un님도 최홍만님이 열받아서 쓴글 되받을때 좀더 신중했음 아무일 아녔을겁니다 ..ㅎ

올시즌 큰 사고 없이 즐거운 보드장 되었으면 합니다.

27K

2005.11.25 18:31:03
*.119.30.85

고속도로 4차로 이상 최저 50km/h의 제한속도가 있지말입니다.
그 이하로 달려서 "경찰에게 잡히면" 딱지떼지 말입니다.
물론 소통 원활할때 경찰의 판단 하에 적용되지 말입니다.
근데 도로의 사정을 그대로 슬로프라는 특수한 상황에 가져가는것 역시 무리가 있지말입니다.
적어도 도로만큼 사망사고 발생율이 높지는 않지 말입니다.

상급슬로프 역시 초보들에게 오픈되어야 하지 말입니다.
단지 "책임"을 확실히 물어야 하지 말입니다.
지금처럼 설렁설렁 커피한잔으로 때우다가는 개념탑재가 안되지 말입니다.

매년 한두번씩 발생하는 슬로프 절벽 추락사는 실력 안되는 개인의 잘못이지 말입니다.
솔직히 초보가 상급올라와서 구르던지 말던지 안전그물 밖으로 튕겨나가던지 별 상관 없지 말입니다.
문제는 안전그물 밖으로 튕겨나갈 위력으로 다른사람에게 그대로 돌진해서 사고 일으키니 문제가 되지 말입니다.
아무리 고수라도 뒤에는 눈이 안달렸지 말입니다.

배상을 확실히 물어야 스스로 마인드를 갖고 자제하지 말입니다.
잘타는 사람들 솔직히 사람 다치는 것도 그렇지만 한두번씩 당해보고 "돈 물어주기 싫어서"안전보딩 하지 말입니다.
사실 에티켓, 안전, 뭐 이런것보다 경제적 이해가 가장 우선이지 말입니다.

헝글 고수분들께 호소하지 말입니다.
슬로프에서 초보분들과 사고시 확실히 책임을 묻지 말입니다.
그래서 초보분들께 "개념탑재"좀 시켜주지 말입니다.
그래서 언론에서도 그런 스키장 사고시 배상문제 때리고 그러면서 대중적으로 인식 확대되다보면 도로예절처럼 자리 잡히겠지 말입니다.

단지 "에티켓"으로 운운하기에는 스노보딩이란게 존내 위험한 스포츠지 말입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초보들 최상급에서 타던 절벽에서 타던 상관없지 말입니다.
글쓰신분도 "초보들 상급올라오지 마라"라 라고 양심에 호소하여 말씀하시기보다 초보들 상대로 확실히 책임을 물어서 배상을 받아내는게 좋다고 보지 말입니다.

냉정함 따지기보다 안전이 존내 우선이지 말입니다.

데이토나

2005.11.25 18:58:24
*.183.104.165

글쓴사람 말하는 ㅅ사가지 무지 없네... 그초보라고 하는사람이 자기자신은 초보가 아닌줄알고 어떤곳인가 싶어서 올라가봣을수도있지.. 개념밥말아먹었다고? 당신말하는버르장머리가 더 개념밥말아 쳐먹었구만...

리프트에서 떨어진 놈

2005.11.25 19:30:30
*.144.184.92

상급 실력인 보더가...(본문이 휘팍이니..) 챔피언에서 주욱 내려와서..
드뎌 펭귄 입성...어랏...사람없네 함 뛸까나? 하면서 점프해서...
앞에있던 초보자를 받았다면... <---- 왜 상급자가 초급자에 와?

이런 상황인가요? 반대로 생각해 보시고...여유를 가지세요...^^;;

사악돌이

2005.11.25 20:54:42
*.171.132.223

처음 타는 사람 억지로 중급 끌고가서 몸으로 가르치면 된다고
우기는.... 후경에, 엉덩이 빠진 자세를 갖고있는 자칭 상급자~!!!!
조낸 위험한 사람 입니다.

그리고 남의 귀한 장비 꼴아박아놓고
사람 괜찮다고 대충 사과하고 도망가듯 가는 인간들....
비싼 장비 가장자리라도 깨지면...중고로 팔아도 몇만원이 깨지는데......
확실히 배상 받자~~!!! 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올해부터는)

경이니

2005.11.25 21:12:42
*.179.159.93

보드장에 가면 꼭 듣는 소리가 있습니다.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에서 즐기라는 것이지요.
물론 연습을 위해서 올라가고 싶은건 이해합니다. 그런데 어느정도 실력이 갖추어졌을 때 입니다.
따라서 만약 초급자가 상급자 코스에 올라온다면 최대한 자신을 제어해서 남에게 피해를 주면 안되겠죠?
연습하러 온거지 상급자 코스를 즐기러 온것도, 즐길 실력도 안되기 때문입니다.
초보분들... 연습과 즐기는 것은 엄연히 차이가 있습니다.
연습만 하십시오!!! 즐기는 건 열심히 연습해서 실력이 되면 그 때 맘껏 즐기십시오.

어토렌셜레인

2005.11.25 23:26:46
*.238.217.18

최홍만님 심정이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많이 화가나셔서 글도 약간은 까칠하게 적으셨는데 그정도는 심정상 이해되구요...UN님 댓글은 제가보기에 다 괜찮아 보이는데 끝부분 "한국의 보드현실을 먼저 인식하셔야죠"...이 얘긴 글쓴분을 좀 나무라는듯한 글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그런건지 최홍만님은 안그래도 감정이 격한상태에 더 기분이 상하신것처럼 보이는데요...

두분다 마음을 가라 앉히시고(UN님도 이글 보시면 별로 기분이 안좋겠죠) 기분푸시게 되길 바라겠습니다.

그리고...이유야 어찌됐든...공공장소에서 다른사람에게 피해를 주는행위는 초급자,상급자를 떠나 지양해야 되겠습니다.
본의 아니게 실수로 피해를 주는경우도 있을텐데 피해를 입은 상대는 그걸 본의아닌 실수로 못 받아들일 때도있고...(이게 아닌데...또 얘기가 샌다;; 줄이겠슴다~^^;)

Lunatrix

2005.11.25 23:53:42
*.252.69.84

아줌마는 차끌고 나오지 말고 집에서 밥이나 해라랑 일맥상통한거 같네요.
프로랑 사고 나셨으면 어땠을지 궁금합니다.

悅心라이더

2005.11.26 00:25:22
*.54.32.134

아줌마 비교는...아니라고봐요...ㅡㅡ;;;

스키장 기본이용수칙에 있죠...실력에 맞는 슬로프...
운전 기본수칙에 실력에 맞는 도로이용은 없어요...ㅡㅡ;;;

권도령

2005.11.26 00:41:40
*.239.93.102

아~~~ 오늘 고수님이랑 한번 정면 충돌했습니다... 보드깨지고 지금 목도 욱씬 거립니다... 제가 초보라서 사고가 난거라 생각이 들진 않습니다... 그분이 자신의 실력을 과시한 활강이 문제라 봅니다... 왜 개구리 올챙이 생각 못하시는지??? 함 보시죠??? 대기석에 차분하게 보드들고 기다리는 초보들 앞으로 신나게 눈빨날리며 무섭게 스톱하시는 보더들... 그게 고수분의 전부는 아니라 보지만... 초보들 나무라기 이전에 고수분들의 자세도 문제라 봅니다... 이유없이 넌 초보니까 너거자리로 가라는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불특정 다수를 논하기 이전에 고수다운 여유를 좀 보여주시면 어떠할런지요??? 속도는 누구나 즐기고 싶어합니다... 다만 자제할뿐이죠...ㅋㅋㅋ

Mr.ltd

2005.11.26 00:45:45
*.90.24.188

지나가다 한마디만 올립니다. 누가 옳고 누가 잘못했다는 아니구요.

진지하게 생각한번해보자해서 올립니다.
지금 상황은 초급자가 상급슬로프에서 실력좀 되는 분을 들이받은거 같은데요 그래서 초급자가 상급올라와서
피해주면 안되는거니까 올라오지마라....혹은 올라오는 것은 안막되 초보처럼 다녀라...등등 같습니다.

물론 중상급자 마음 백번이해하고도 남습니다.

그러나 중상급자분들에게 묻습니다. 님들은 초보분들에게 전혀 피해를 안주고있는지 혹은 과거에라도
초보자에게 피해를 준 사실이 없는지요?

국내 슬로프나 외국슬로프나 하단부쪽은 초급위주고 상단부 쪽은 상급위주입니다. 이말은 결국
상급자슬로프와 초급자 슬로프가 만나는 어쩔수없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데 중상급자들은
리프트나 곤돌라를 타기위해 아래쪽까지 내려와야됩니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초보분들 타시는데 바로 옆으로 쒜~~~엑 혹은 가~~가각~~ 소리내면서 지나가신적은
없으신가요?

실력이 되는 사람들에게는 모르지만 초보분들에게는 상당히 위협적인 요소가 옆으로 바짝 붙어서 지나가는
사람들입니다. 일단 몸도 위축되고 정신적으로 위축되면서 보딩을 매우 힘들게 만들지요.

중상급자 분들 중에서 초급슬로프와 만나게되는 슬로프를 사용시에 초급자 분들의 실력과 안전을
보전해주기 위해서 속도 줄이고 되도록이면 멀리멀리 돌아서 다니시는 분들 있으십니까? 자신이 정해노은
라인도 포기하면서 초급분들 배려해주고자 사이드 슬리핑으로 내려오시는 분들 있으신가요?

상당수의 중상급자분들이 초급자를 기문으로 생각하고 라이딩하는 경향이 많은듯 보이고
절대로 자기자신의 속도는 줄이지 않고 어떻게하면 속도 안줄이고 초보분들 사이를 빠져나갈까만
생각하시지는 않는지요?

본인들은 실력이 있기 때문에 문제 안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초보분들에게는 위협이 될수도 있습니다.

초보분들에게 상급올라오지마~~라고 한다면
초보분들이 이렇게 말할껍니다.
중상급자들 초급슬로프에서 사이드 슬리핑으로만 내려가~~~

관점에 따라서 너무나도 상반된 결과가 발생하지 않나요?

저의 결론은 ~~~ 이러한 문제는 답이 없다쪽입니다.

그러니까 서로 핏대 세우며 싸워봤자 헛수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스노드라곤

2005.11.26 03:34:20
*.222.22.196

초보때 상급자 안가본 사람있으면 손들어보삼~ 저는 갔었어여..ㅡ,.ㅡ;;
지금은 상급을 더 안가게 되더군여..

지후ⓔ

2005.11.26 04:46:21
*.193.2.28

좀 이상하네요.. 이런걸로 토론을 해야 하나요?
"올라와서 지뢀하다 엄한 사람 처박지마시고 . 진짜 짜증납니다." 말이 참 이상하네요.
참 이해안가네요..저만 그런가요?

일방

2005.11.26 05:50:49
*.250.2.45

저도 외국 나갔다가 외국아줌마를 한번 들이받았는데요 경험담을 말씀해 드리겠습니다.
물론 그분이 화를 내시더군요. 그런데 뭐라고 하냐면은 왜 뒤에서 위험하다고 소리를 치지 않았냐,
왜 주의를 주지 않았냐고 화를 내더군요. 물론 그 짧은 시간에 피하거나 할수는 없을것같지만
왠지 느끼는 것이 있더군요. 그 아주머니는 제가 그분을 박았다는 사실에 화가 난것이 아니라,,,
그 짧은 상황에서도 제가 할수있는 "최소한의 노력"조차 하지 않은것에 화나 났던 것 입니다.

이글이 지금 토론의 해답이 될수는 없지만 왠지 선진국사람들과 무늬만 선진국인 우리나라사람들의
차이를 보여주는것같아 아쉽습니다. 최홍만님은 그당시에는 그사람을 그냥 내려보내 주어놓구
아무런 해결책도 안되는 여기 게시판에 욕까지 해대며 화풀이를 하고있습니다. 차라리 그 상황에서
그사람을 불러세워놓고 따끔하게 한마디 해주는게 맞는거 아닐까요? 정말 그사람이 상급슬로프에서
탈정도 수준이 안되는 사람이라면요.

지금 최홍만님 글을 보면 "은연중"에 그사람이 힘들긴해도 상급슬로프에서 탈만하다 라고
스스로 인정하신것 같은데요? 아니면 아주 조금이라도 최홍만님께 잘못이 있던가요. 예를들면
잘 안보이는 곳에 있었다던가 최홍만님이 급작스럽게 턴을 해서 동기를 만들었다던가.(전 거기
슬로프 어떻게 생겼는지 몰라서^^;) 그 것도 아니라면 최홍만님이 초면인 사람에겐
말을 잘 못하는 낯가림이 심한 사람이라던가요. 이 3가지가 아니라면 그사람을 불러세워 일침
을 가하는게 정상같은데,,, 직장인이라면 나이도 조금 있으실텐데 아직 감정컨트롤이
부족하신거 아닙니까? 다른사람한테 들이받혀서 화내는건 이해하지만 이렇게 게시판에
올리는건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Frappuccino

2005.11.26 13:31:31
*.38.9.225

저어 근데........ 이 글과 상관없이 그냥 답글들을 보다가.....
초보가 상급슬로프에서 타면 안된다는 것은 모든 스키장 규칙입니다.......-_-; 원칙적으로도 맞고요.

원래 초보가 상급 슬로프에서 타는 거 적발시 몇번의 경고 후에 리프트권을 압수당하게 되어 있습니다.... 제대로 안 지켜지는 것 뿐이지요...

배고파잉~!

2005.11.26 22:12:25
*.150.47.87

혹시 저를 박고 간 사람이 UN님이 아닐까 의심되는군요 --=> 요런 인신공격성 발언은 마이너스
어의-->어이, 이건 뭐 1년도 전부터 헝글에서 늘상하던소리라 마이너스

이해는 됩니다만 진정하시고 다시 자신의 글을 돌아보십쇼.

HUGO!

2005.11.27 05:53:44
*.239.22.120

글쓰신 취지와 내용은 잘알겠고 어느정도 동감은 하지만

글의 어투와 단어 선택이 상당히 잘못되있습니다

그리하여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글을 읽다보면

저도 모르는 반감이 생깁니다 글과 말은 달라서 글쓰실때는

감정을 억제하시고 쓰셔야죠,,,^^

참고로 실력에 맞는 슬로프 선택은 당연지사지만

나름대로 고수가 초보슬롭에 와서 뻐기다 초보들 덮치는거

또는 트릭 연습인지 자랑인지 하다가 엣지로 날리는거 간혹 봅니다

그또한 자제 해야 하지 않을까요? ^^

~~~~~~~~~~~~하고픈말은,,,실력에 맞는 슬로프를 이용하자,,,였습니다~~~~~~~~~~~~~~~~

ⓚⓐⓩⓤ

2005.11.27 10:05:19
*.117.168.231

다치셔서 흥분하신건 알겠지만..

글쓰신분도 다른고수의 입장에서 보면 상급에 올라올지 말아야할 초보가 될수 있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보더가 챔피언에서 쏘는 상급스키어에게는 상급에 오지말아야할 초보보더로 보일겁니다.

으깽호박

2005.11.27 12:27:43
*.117.93.109

'책임 질 줄 아는 의식' 위에 어떤 분이 쓰신 말이 눈에 들어오네요.. 우리나라 너무 인정에 그냥 좋게 좋게. 넘어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분명.. 자신의 실력에 맞지 않는 코스에 올라와서.. 자신의 보드를 조정하지 못해서 뒤에서 다른 사람에게 들이대는 것은 잘못된 겁니다.

개인이 좋아서 올라왔지만 남에게 피해를 주면 안되죠..

신강혈성

2005.11.27 14:07:32
*.16.138.254

고수나 초보다 알아서 조심들 해서 타야 됩니다. 나두 라이딩 하다가 앞에서 갑자기 넘어지는 ( 내가 보기엔 전혀 이유도 없이 졸지에.. -.-;; ) 초보 피할려다가 점프해서 날아간 적 있습니다. 아주 대박였죠...
앞의 보더가 초보라서 넘어진걸 탓하기 전에... 내가 천천히 라이딩을 했으면, 그렇게 붙어서 가지 않았으면 .. 몸을 날리면서 피할 정도로 급박하진 않았겠죠.... 아마 그때 그 보더 박았으면... 병원에 오래도록 입원했을 겁니다. ( -.-;; ) 초보에 대한 무시도, 자신에 대한 과신도 금물 입니다. 특히나 자기의 실력...
생각보다 별로 믿을게 못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팔짜

2005.11.27 14:32:51
*.109.174.199

사실 휘팍에서 중급까지 어느정도 턴 된다고 생각하고...상급을 가긴 가야겠는데...
휘팍 상급 챔피언 처음 부분... 거기서 턴이 쉽사리 되지는 않더군요... 발이 안떨어지고... 시야도 좁아지고
그렇다고 낙엽으로...?? 챔피언에서는 차라리 낙엽이 더 위험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모두들 뒤에서 오시는 분들은 앞사람 이나 옆사람 턴 궤적을 생각하면서 갈텐데요...
막말로 그분도 실력 업글 해야되지 않겠습니까... ㅡ,.ㅡ 뭐 그분이 무작정 잘했다는 말은 아닙니다...
중급이라고 불리는 파노라마 호크 그리고 상단 맨왼쪽부분 타구 갈정도 딱 실력에서...
챔피온 가면 사실 앞이 깜깜하던데요... 경험자 입장에서 보면요... 에혀~~ 리조트가 슬롭이 좀 많고 컸으면 좋겠네요 ㅡㅜ
그리고 말씀이 좀 까칠하긴 하시네요... 머 걍 다 대놓고 개념탑재 어쩌구 인간이 어쩌구~~ ^^;;;

One_Ball_Jay

2005.11.27 23:46:40
*.77.50.184

그냥 좋게좋게 넘어가자는 뜻이겠죠;;

rider BEAT

2005.11.28 10:08:49
*.111.159.10

초보가 상급자 올라갈 때는 보통 강습받거나 실력있는 동행자가 있을때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초보라고 중상급 안가보면 실력 늘기가 힘들죠.
죽을 고생해서 한번 내려오면 자신감이 좀더 생기는건 사실입니다.
저도 개념없이 올라갔다가 굴러내려온 적도 있구요.
하.지.만! 슬롭 중간에서 캠핑하거나 나 굴러가유 하고 달리지는 맙시다.
보드는 특성상 정지거리가 많이 길쟎아요. 빠른 반응도 어렵고.

Frappuccino

2005.11.28 17:12:20
*.38.9.225

BEAT님 그런건 사람 없는 평일이나 가능합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하면 안됩니다.

스콜피온

2005.11.28 21:52:59
*.117.89.169

위에 어떤님이 말하셨듯이 서로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고 결론이 없다고 보네요...
저도 그리 상급자는 아니지만 보드를 좀 타기는 했는데 상급에서 날러다니시는 분들을보면 ㅡ.ㅡ
딱히 어디로가라고 선을 그은것도 아니고 그렇다고해서 단속법규가 있은것도 아니고
서로 알어서 타면좋으련만 그게 다들안되시는거 같어요...
하지만 처음부터 고수는 아니셨을거 같네요...
운전도 고수는 하수를 보살피고 피해다니시죠(개중에 인격이 안된사람들 제외) 보드도 마찬가지 같어요....
먼저 보드의 선구자길을 걸으셨으면 후자에 길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고 넓은 아량으로 보살펴주세요...
그럼 마음도 그리 조급하지 않으실거같네요....

써니거나

2005.11.30 11:06:26
*.110.231.121

어디서 어떻게 누구나 날 수 있는 사고를 개념이 없다고 말씀하시는 건 좀 그렇네요..
뒷발차기도 보드기술 중 하나입니다.... 사고가 났다고 해서 상대편이 뒷발차기나 하는
초보다 라고 하셔서 '개념없다' 라고 하는 건 자기 자신은 보딩의 '고수다' 라는
발상에서부터 시작된 것 같은데요..... 챔푠 슬롭에서 자유자재로 돌발상황을 피해갈 수
있는 진정한 고수는 과연 얼마나 될까요!

팬텀

2005.12.01 03:22:03
*.207.34.18

좀더 상대편을 배려해주시면 안될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5
322 보드&스키 귀족 스포츠이다? [62] 은땡투카 2005-11-27 43 4689
321 헝글의 힘?????????????? [11] 레몬오백개 2005-11-27 51 2187
320 설문 조사 같은 게시판을 하나 신설하면 어떨까요? [6] 라이딩만 2005-11-27 44 1846
» 개념없는 초보가 상급슬로프??? 멀 이해해야 하는가? UN님 보시길. [41] 최홍만 2005-11-25 36 4916
318 노블 270과 360? 450out과 540? [14] One_Ball_Jay 2005-11-25 50 2068
317 보드장에서의 위험한 포인트에 대해서.. [27] hustler 2005-11-23 37 2826
316 헝글에서 진행하는 이벤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4] 론리보더 ~ ♪ 2005-11-22 46 1964
315 상급장비라고 무조건 성능이 월등한것인가! [33] 세계정복 2005-11-20 32 3769
314 사진첩,자료실을 세분화 하는건 어떨까요? [5] 굶고타자 2005-11-15 46 1756
313 보드장에서의 흡연... 어케 생각하십니까? [43] 바다올빼미 2005-11-15 29 2756
312 중독자와 매니아의 차이 [18] 커누들 2005-11-15 42 2744
311 막데크가 뭔가요? [22] 우리성우 2005-11-14 47 3620
310 리플 과연 본문에 관한 리플인가? 리플에 대한 리플인가? [6] 2005-11-12 45 1748
309 용평 유저와 휘팍 유저의 차이? [15] 화랑담배 2005-11-10 43 4560
308 묻고 답하기 게시판 기능 개선에 대해 [15] Big∧┣ㄹ┃=3=3=3 2005-11-08 51 1747
307 실력에도 맞지않는 비싼 장비들...에 대한 저의 생각... [42] 레이619 2005-11-08 59 3666
306 보딩장 패션!~!~! 시즌초에 예쁘게 입는것에 대한 토론~ [16] 권순석 2005-11-07 29 3741
305 헝글후드티에 대한 고찰... [30] 와니~♡ 2005-11-03 44 3534
304 카빙은 언제 어떤 슬로프에서 해야할까요? [17] 둥둥둥 2005-11-01 38 4206
303 보드장(스키장)의 매너정립. [18] 굶고타자 2005-10-31 24 2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