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크밸리가 초급만 열어서 중간이후부터 평지라네요 OTL
보드 대충배워서 턴을 하긴하는데 업다운 ,이쁜자세 이런건 모르는데요~
평지에서 연습하는 방법있나요?
작년에 점프 연습하라는 글을 본것같기도하고~~~
보드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턴 하기 힘들 정도로 경사가 없는 구간이라면.. 직활강.
넘어지거나 보드가 멈춰버리면.. 스케이팅 & 힐/토드레그.
드레그가 익숙해지면.. 드레그 없이 로테이션과 엣징으로 회전하고 멈추기.
드레그
: 스케이팅 후 테일쪽 발을 보드에 절반만 걸치고서, 뒷꿈치 또는 앞꿈치로 설면을 눌러서 긁어주면
보드가 살짝 회전하면서 멈추게 되는데
설면을 누를 때 테일쪽 발이 달아나지 않도록, 발을 바인딩 옆에 바짝 붙여서 바인딩을 지지대로 삼으며
보드의 회전을 돕고 역엣지에 걸리지 않도록, 로테이션과 엣징, 기울기도 더해 줍니다.
발을 옮기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서, 발을 옮기는 동안에 균형이 흐트러질 수 있다면
반만 걸치고서 미리 준비를 하는 편이 낫겠지요.
대신에, 테일쪽 발은 이미 데크의 중앙이 아닌 토나 힐사이드쪽을 밟고 있으므로
체중이 실리는 만큼 한 쪽 엣지를 누르게 되어서
드레그를 시작하지 않았는데도 보드를 회전시키려 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테일쪽 발에는 거의 체중이 실리지 않도록 해야 하겠지만
한편으로는 테일쪽 발이 누르고 있는 엣지가, 보드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보트의 키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직활강을 할 때, 테일쪽 발이 데크의 중앙을 누르는지, 아니면 한 쪽 엣지를 누르는지의 스타일에 따라서 달라지겠지요.
직활강 할 때 테일쪽 발이 데크의 중앙을 누르는 스타일이라면
드레그 준비 시에 테일쪽 발에는 체중을 거의 싣지 않는 편이 낫겠고
직활강 할 때 테일쪽 발로 한 쪽 엣지를 누르는 스타일이라면
드레그 준비 시에도 역시 테일쪽 발에도 체중을 약간 실어서 보트에서의 키 역할을 맡기는 편이 낫겠지요.
알리치는거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