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에 입문한지 얼마되지 않은 초짜로서

감히 누구나 칼럼에 글을 올리기가 무서워서 ㅋ (작은글자 하나하나에 상처 입어효 흑 -_ㅠ)

이렇게 글을 남겨 봅니다.ㅎ

칼럼란 보니까 상체로테이션이나, 중심을 두는 발을 두는 것,

혹은 어깨를 열거나 닫는 것에 대해서는 공감하시는 것도 많고

이야기도 많이 나온것 같습니다.

하긴 저 처음 탔을 때.. 아마 00 시즌이겠지요 ㅠ_ㅠ

그때는 알파인 자세처럼 타는게 제일 잘 타는 것인줄 알았고

02년 트릭으로 접어들 때에는 설질이 어떻든 간에 어깨를 닫고 타야 하는 것 인줄 알았습니다.

아이스 반 위에서도 그 자세를 유지하려  삼단분리 + 앞으로 자빠링 후 목 꺽임 현상( 보통 새우꺽기라고 하죠...) + 양쪽발목을 다 삐어서 생전 첨으로 스노우 모빌 뒤에 실려가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느끼고 제가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조건- 덕 스탠스( 18, -9), 트윈팁 보드 (97-98년식 산타크루즈 h-153), 키 176에 몸무게 70kg

보통 라이딩 속도 ;( 남보다 느리지 않을 정도)

작년에 실험한 결과입니다 ㄲㄲㄲ

턴을 길게 할 시에는 큰 상관 없습니다.

게다가 보드가 낡을 대로 낡아서 물렁물렁하니 -_-; 토론의 가지조차 없을지도 모릅니당-_ㅠ.


10m 라이딩 시

발목을 사용하지 않고 숏턴을 시도한 경우 - 12회

발목을 사용하며 숏턴을 사용한 경우 - 18회 (*그러나 마지막에 중심이 무너지면서 넘어졌어염 꺄_)


50m 라이딩 시 -

발목을 사용하며 숏턴을 시도한 경우가 날이 바닥에 더 박히면서 더 스릴 있었으나..

안정성은 확보되지 못했습니다.




네.

이럴줄 알았습니다.

열심히 써놓고 결론이 뭔지 저도 모르겠습니다.
흠.

네.

발목을 사용하되 안전보딩 합시다. 재밌습니다. -ㅁ-

아 허무해. ㅠ


아! 토론방이니 ;

라이딩시 발목사용의 경험이나 발목사용의 유의점에 대해 이야기 해보아요 ^ ^

*(어설픈 마무리 ㅠ)
엮인글 :

shrimp-mania

2006.11.30 09:48:21
*.249.70.11

안 그래도 보딩시 가장 무리가 가는 곳이 발목인데, 발목을 사용한다라-

유리발목 됩니다 그러다간- 제일 많이 다치는 곳이 발목인데, 실컷 사용하다가 바보되면 누구탓도 못하죠-

왜 보드부츠가 딱딱하고, 발목부위를 집중적으로 보호하는지 한번쯤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숏턴은 실험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턴이 많이 된다고 해서 좋은 것도 아니고, 적게 된다고 해서 나쁜것도 아닙니다-

보드는 소모성 운동입니다- 타면 탈수록 관절부위에 무리가 가기 마련입니다-

최대한 어느 한 부위를 집중적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몸 전체를 유연있게 사용해야 합니다-

뒷발차기를 하지마라는 것도 다 이유가가 있습니다- 올바르지 못한점도 있지만,

뒷발치기 실컷하다 보면 집에가서 뒷다리 저려서 제대로 움직이기도 힘듭니다-

가장 예민한 발목부분의 사용이라- 절대 말리고 싶군요-

보더33

2006.11.30 11:17:14
*.80.106.190

발목은 사용하는게 아닌데..

갱스터

2006.11.30 11:55:34
*.250.89.219

라이딩할때 발목을 사용하는게 아니구요 무릎을 사용해야합니다.
잘못하면 발목 나가요.

알파인부츠가 왜 스키부츠 처럼 하드하게 나왔을까요?!
알파인부츠를 생각해보세요.

..

2006.11.30 12:08:50
*.149.96.143

04-05 시즌 대박 역엣지로 발목인대가 손상되었지요..

절뚝거리며 숙소로 돌아가 술만 먹었지요..사흘쯤 술에 절어있으니 좀 나아진듯 싶기도 하고..

그상태로 슬슬 관광보딩으로 시즌 마무리까지..


05-06시즌.. 두번째 출격에서 역엣지.. 발목통증..

전년도보단 양호한듯 싶기도 했지만.. 병원을 함 가봤지요..

인대부분파열이라나... 그런게 어딧냐고 따졌더니.. 한번 손상된 인대는 완치가 안된다나 머래나..


깁스를 권하더라구요... 안한다고 박박우기고.. 침맞으러 다녔지요.. 또 그상태로 시즌 끈날때까지 관광...




지금도 발목꺾이는 각도가 틀립니다... 걱정이에요...이번시즌 잘 보내야 하는데..


저도 라이딩시 발목을 많이 썼습니다만.. 좋지 않아요..

그리고 한번 다치면 다 나을때까진 무조건적인 휴식(예를들면 깁스)이 필요합니다..



지금와선 후회되요... 라이딩할때 딴건 걱정안되는데 발목 또 다칠까봐......

그러다보니 위축되서 재밋는 보딩도 안되고.... 자꾸 흥이 떨어지고.....



스텝

2006.11.30 12:49:25
*.255.106.246

카빙시에 발목의 사용이 존재한다는 내용을 어디서 본거같은데 ,,,

발목사용의 또다른 리플을 기다려봅니다 저는 발목을 쓰기도 합니다

론리보더 ~ ♪

2006.11.30 14:37:08
*.127.218.162

발가락(발목)을 전혀 안 쓰진 않죠
다만 발목으로 억지로 턴을 하지 말라는 것 일뿐~~

Kick

2006.11.30 18:58:51
*.27.105.145

글쎄요 생각해 본적 없는뎅... 트릭할땐 간혹?

[블랙쏜]

2006.12.01 05:02:29
*.111.15.22

발목을 쓴다기보다 하중이 발목에 모아지는게 느껴진다가 맞을 것 같군요.

붕붕보더

2006.12.01 08:35:48
*.91.138.120

하드한 부츠 신으면 발목 쓰고 싶어도 못쓰죠.....
또한 발목 다칠일 절대 없습니다...
저같은경우 가끔 소프트부츠가 생각날때가 있습니다..
발목을 쓰면 좀더 숏턴이 잘될거 같더군요....

shrimp-mania

2006.12.01 10:40:32
*.249.70.11

유리발은 가볍고 소프트한 부츠 못씁니다-

하드한게 그래서 좋은 이유도 있습니다-

cdmass

2006.12.01 14:00:38
*.191.4.130

발목관절도 같이 사용하는거 맞거덩여~

날아라가스~!!

2006.12.02 13:57:47
*.78.73.74

아무리 생각해도 안쓴다기 보다는 이용이 되어진다고 봅니다. 아무리 하드한 부츠를 신는다고 하여도 피부처럼 완전밀착이 되지 않는 이상에야, 약간씩의 유격이 잇다고 봅니다. 그 유격등이 완전히 몸에 익을 경우에 확실한 라이딩이 된다고 생각하는데요...아무리 생각해도 발목을 쓴다는 표현보다는 발목도 그에 상응하는 부분이 라이딩에 잇다고 봅니다.

쌍팔

2006.12.03 12:06:41
*.86.151.170

지빙 하시는 분들은 소프트한게 좋을 듯 하구요~ 라이딩이나 키커, 하프 위주로 타시는 분들은 하드한게 좋을 듯 하네요. 저는 부츠 사이즈를 260신다가 250까지 줄였습니다. 소위 말하는 발목이 씹혓다는 경험을 하니까 여유있는 부츠를 못 쓰겠더라구요. 특히 키커에서 랜딩 잘못해서 토사이드 랜딩 했을 때 발목에서의 충격을 받고 나서 250으로 부츠 바꿔버렸습니다.

Dr.늘보

2006.12.07 12:52:43
*.244.178.2

발목이 사용되야 아이스반이나 단단한 눈에서 월활한 라이딩이 가능해집니다..
비시즌 동안에 발목 주변의 근이나 인대를 발달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스키는 무릎쪽이, 보드는 발목 부분에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Edge_man

2006.12.13 13:57:24
*.80.44.170

발목을 완전 다사용하는건 아니구여 발목이랑 무릅 다사용하져 별것도안닌거 가지고들 싸우시네

**션**

2006.12.17 20:43:02
*.12.175.211

Edge_man님// 여기는 토론방입니다. 저는 아무리 봐도 토론을 하는것으로 보이는데요. 어쩨서 싸우는 것으로 인식하시는지요??

action

2006.12.17 22:04:58
*.54.160.96

글을 읽다보니 궁금한것이 있어 질문합니다.... 다운할때(토우턴) 발목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무릎을 굽힐수가 있나요???

보헤

2006.12.24 17:59:31
*.125.220.66

발바닥을 사용하세요 ㅋㅋ
우스갯소리 같지만 포스가 발바닥으로 집중됩니다.
중심을 끌어내리고 힘의 중심점 즉 힘의 방향 전환의 도구를 밑으로 밑으로 이게 관점입니다.
그래도 발목은좀 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771
» 라이딩시 발목의 유연성? [18] 에르윅무운 2006-11-30 70 3574
496 헝그리보더의 유료화 [13] 살인낙엽 2006-11-29 60 4309
495 리프트 탈때 바인딩은 채워야? [25] ╋..╋ (펭귄?) 2006-11-29 50 4129
494 현재의 리프트 가격이 적정가격인가? [11] Rogy 2006-11-28 63 3207
493 보드장의 행사나 각종 이벤트 유치시 시즌권자의 배려.. [9] 이지시비 2006-11-26 67 2373
492 [re] 대명 야간을 이용할 시즌권자가 아닌 입장에서라면....? [5] DeadHippiE 2006-11-28 54 2162
491 강원랜드 스키&보드관련해서 고견을 얻고자 합니다. [17] 레몬레일 2006-11-25 57 3425
490 현재 오픈중인 각 보드장의 전광판에.. [14] 헝글박코치 2006-11-23 69 3246
489 데크...과연 2cm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23] 리에™ 2006-11-23 37 5166
488 장터문제요... [7] 오렌지 2006-11-18 46 2251
487 시샵은 이런건지... [18] 서현 2006-11-15 45 2994
486 용평 헝그리 알바의 하루. [15] 용평헝그리알바 2006-11-13 51 5364
485 중고장터 페널티... [11] 저는김영구... 2006-11-13 60 2865
484 헝그리에도 폰사진 올리기 기능있으면 어떨까하네요. [7] 휴먼fly 2006-11-13 59 1987
483 장애인들의 스키장 사용에 관한 이야기. [15] 유리유리 2006-11-06 57 3400
482 스키/보드 슬로프 분리 문제 [16] 권왕 2006-11-06 62 3552
481 다들 나름대로 보드에 대한 추억은 무엇일까요~?? [16] ⓚⓐⓩⓤ 2006-11-04 53 2184
480 헝그리보더와 돈 [18] 커누들 2006-11-03 53 5206
479 센터링 셋팅, 이런방법은 어떨까요. [8] 데크뽀개기 2006-11-02 41 3081
478 장비와 패션 문답일색인 헝글보더 이대로 좋은가~~? [14] volcomsnow 2006-11-02 63 2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