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보딩하세요^^

일단 저의 신체싸이즈는 키 179   몸무게 95(8키로 뺐다가 최근에 3키로가 더불었네요)
쉽게 조금 덩치가 있습니다
나이는 대략 30중후반...
(나이를 적는 이유는 키커나 하프는 힘들꺼라는 이유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테크
00-01 발란스 161
00-01 포럼 제레미존스 157.5
03-04 M3 디스코드 152

주로 시즌초반엔 157 로 시작을 해서 시즌중까지는 161 데크로 감아주는 연습만(카빙)을 합니다

트릭연습은 전혀 안하다가 간단한 트릭 (페이키 와 간단한 트릭정도) 용으로
152 보드를 최근에 타기 시작했습니다

저 혼자만의 생각으로는 "152 길이면 나에게 짧으니깐 라이딩은 거의 힘들꺼야" "보딩 자세가 금방 흩어질꺼야"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라이딩시 저의 생각과는 틀리게 의외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161 데크의 경우에는 턴 몇번만 하면 슬로프 밑까지 도착을 했고 속도가 너무 빨라서
제어하기가 사실 힘들었습니다

152 데크는 2~3번 턴이면 끝나는 슬로프를 10번 이상의 짧은 턴으로 라이딩이 되었습니다
더욱이 예전 데크로는 잘 모르던 자세의 부족한 부분도 알게되었구요

짧은 데크로 사용을 하면 라이딩시 자꾸 슬라이스가 생겨서 턴에 이쁘게 나오지 않을까 생각을
했었지만 의외로 이쁜 라인을 그리며 라이딩을 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저의 몸무게와 키에는 158 정도가 제일 알맞다고 했었고
몸무게가 더 늘었기 때문에 161 로 열심히 라이딩을 했었는데
현재 152 의 길이의 데크로도 원하는 만큼의 라이딩이 가능하더군요

그럼 도대체 나에게 맞는 데크의 길이는 어떤게 맞는걸까요... ?
그리고 저를 기준으로 일반인들의 경우 키가 170~180의 경우 155~160 의 데크를 권유하던
저의 판단이 틀린걸까요 더욱더 짧은 길이의 데크를 권장했어야 했을까요 ?

갑자기 또 한가지의 의문이 드는게 일반적으로 보통키의 남자는 155...  
경력이 조금 쌓이면 157~8
라이딩을 위주로 하게 되면 160 이상
과연 그 기준이 자기 실력때문이 아닌 과시때문이지 않을까요

제가 152의 데크로 속도가 많이 붙으면 떨릴것이라 생각을 했었으나
다운프레스를 확실히 주면 보드가 떨리지 않더군요 (경사면이 급한곳... 보드장에서 상급자라는 코스...)


회전반경이 데크의 길이와 싸이드컷에 상관이 있지
무조건 데크의 길이 때문이다라는 생각은 아니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 묻고 답하기 란에 올렸으나 답변이 없어서 토론방으로 다시 이동해 보았습니다 ^^
엮인글 :

血花香

2007.01.25 11:17:55
*.83.42.13

회전반경이 데크의 길이와 싸이드컷에 상관이 있지
무조건 데크의 길이 때문이다라는 생각은 아니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 에 동감하며....

외국은 어떤지 알수 없지만 약간 우리나라 보더들이 데크를 길게타는 경향이 있다에 한표던집니다.
한 3~4년전보다는 좀 짧게 타기는 하지만
키 172~175에 몸무게 65~70키로정도가 대강의 남자보더들의 표준이라면 (제맘대로 표준)
152~154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여기에는 개개인의 보드실력과 허벅지와 복근의 두께 등등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면피용 발언)

데크가 길수록 라이딩이 안정적이 된다는 말은 기본적으로 동감하지만
그 길수록은 자신이 컨트롤할수 있는 길이를 말하는거겟죠.

또한 회사에서 밝히는 몸무게 얼마에서 얼마는 데크 길이 어느정도는 외국인의 체형에 비례한 근육량에 맞춰져 있다고 생각하기에
동양인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붕붕보더

2007.01.25 11:39:48
*.24.121.231

지난시즌 158타다 이번시즌 162 타는데요...
데크길이와 엣지 먹는거는 상관 있는듯 합니다... 같은 여건에서 158과 162의 슬립의 정도가 틀리니...
그러나 턴 반경은 주는 프레스에 따라서도 변하니 일반적인 라이딩에서는 짧은거 타다 긴거 타도 별로
관계없는듯...(물론 허리가 잘록한 걸로 하던 숏턴을 똑같이하기는 힘들지만요)

보헤

2007.01.25 12:38:17
*.125.220.67

제생각은 길이가 무조건 몸무게와 키와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봅니다.
제조시의 길이에 비례하는 플렉스와 그에따른 강도에 비중을 더 두어야 한다고 봅니다.
강하게 프레스 할수 있는 기술이 있다면 그만큼 강도가 높고 길이를 길게 만들어 차이를 둔 데크도 문안하게
사용할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사실 사이드컷과 길이 등은 사실상 숏턴과의 관계는 오히려 적다고 봅니다.
롱턴에 비중이 많이 차지 하는 느낌입니다.
아무리 길고 사이드컷이 깊지 않다 하여도 적당한 플렉스라는 조건하에 기술과 적정 프레스로
숏턴은 얼마든지 구사할수 있다고 봅니다.
오히려 롱턴에서의 정확한 어쩌면 미세한 컨트롤이 사이드컷과 연관이 깊다고 생각하네요
다시 말해 사이드컷이 깊은 제품으로의 롱턴의 한계가 있다 이렇게 감히 말해도 되지 않나 싶은데요?
그리고 몸무게가 적다고 해도 비정상적이거나 남자 여자 또는 연령에 따른 적은 일반적이지 않은
상태의 몸무게가 아닌 다음에는 사실상 길이가 긴(플렉스 강도가 비례한) 제품도 사용이 가능하나
지구력과 근력이 상당히 필요하고 에너지 소모가 상당히 필요로 한다 라는 견해 입니다.
그리고 트릭에 있어서의 길고 짧음은 역시 길이만으로는 긴 제품은 거추장 스럽다
그리고 플렉스가 적은 또는 말랑한 제품으로서의 이점은 충분히 있지만 사실상 그다지 의미가 없는것이
눈을 쓸정도의 낮은 또는 문지르듯하는 기술에서의 차이일뿐이란 견해구요
우선 규모가 커진 트릭기술 구사에 있어서는 오히려 플렉스가 높은 제품이 우월하게 효과적일수 있다는
말이죠 사실이구요
랜딩및 기타 안정감에 있어서의 플렉스의 강도가 높음으로서의 이점은 굉장하죠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
단지 역에지의 두려움을 피하려 하기 위함이 강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입니다.
말랑한걸 써서 짧은걸 써서 거추장스러운 부분을 없애자 그리고 역에지에서 탈출하자
머 이런 의중이 있는건 아닐까요?

정말 딱딱한 플렉스가 강한 제품이 아니고서야 숏턴의 크기나 숏턴의 구사는 사실상 큰 차이 없다고봅니다.

보헤

2007.01.25 12:44:32
*.125.220.67

제 견해에서의 요점은
길고 짧음이 아니고 플렉스의 강도가 자신이 소화할수 있는 범위에 있나 하는겁니다.
트릭구사에 있어서는 상당히 개인적인 요소가 있기에 일단 제외하고 말이죠
라이딩에 있어서의 ...
길이만 긴게 아니다 라는거죠 길면 길어질수록 그만큼의 강도를 높인다
물론 제조사에 확인해본것도 아니지만 말이죠...

최고보더

2007.01.25 15:52:57
*.74.215.252

과연상급에서 짧은 데크로 안정감이 있을까여.....저는 에라 158 탑니다만 먼저번 막데크는 소프트에

어째 에라보다 무거운 넘이었습니다.길이는 156...비교 불가지만....(본인 178-65)

본다면 숏스키와 좀 긴스키라고 하나여?? 이런 차이가있지 않을까여??

에라도 (제나름?)고속으로 들어가면 떨긴 합니다. 그러나 그상태에서도 카빙이 들어갑니다.

떨림속에서 들어가는 카빙이 뭐랄까.......몸을 눕히면서 발로차는 순간 타~악 ! 먹는다????

참 표현하기 힘드네여....저같은 경우 에라 152를 타봐야겠군여.....

예상해보자면 리바운딩시 웬지 180 이 되어버릴것 같습니다.......

지금도 리바운딩을 간신히 잡는지라....

올만

2007.01.25 17:31:57
*.49.195.213

전 역엣지 다름으로 무서운게 컨트롤 못하는 리바운딩 입니다

제가 아직은 길이152 데크로는 충분히 라이딩을 못한 관계로 리바운딩이 어떤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좀더 많이 타 봐야겠죠....^^

물론 같은 모델의 길이가 다른 데크로 비교를 해야만 나름대로 정확한 말씀을 드릴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에 정확한 답변은 아니지만 ...

만약에 ... 정말 만약에 입니다 ... (지극히 저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ERA 158로 리바운딩을 잡았다라고 한다면
혹 155 나 152로는 좀 더 쥡게 리바운딩을 잡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당연히 짧은 데크로 라인이 정확히 안 그려질줄 알았는데...
생각보다는 잘 그려졌다
(point "생각보다는" 입니다 ... 긴 데크 보다는 정확한 라인이 나왔다가 아니라
형편없이 슬라이딩이 생기고 할것이라고 예상을 했었는데.... "생각보다는 괜찮았다" 입니다)

그렇다면 꼭 길게 좋은게 아니지 않을까라는 겁니다
(예전부터 전 몸무게가 많이 나가니 당연히 긴 보드를 타야만 해... 라고 생각이 지배적이었습니다
당연히 긴 데크만 찾아 다녔고요)

그럼 저의 기준점(나는 157 이상이 되는 데크를 사용해야만 한다) 이 무너져버려서
너무 혼란스럽네요 ㅜ.ㅜ

보헤

2007.01.25 20:30:02
*.233.249.100

테스트 드라이버를 생각해보시면 좋을거 같네요
동종기종으로 동일한 조건으로 주행 테스트를 했을경우 최소의 오차를 보일수 있는 드라이버만이
테스트 드라이버가 될자격이 있습니다.
구체적은 수치는 말하지 않아도 일반인이 봤을때는 똑같다고 볼수 있는거죠

역시 비교할경우 동종 모델에서 사이즈만 줄어든 경우가 아니라면 거론은 사실상 의미 없겠지요
또 동일한 조건으로 사용할수 주행할수 있는 조건과 환경 말이죠
제가 보기엔 그런걸 간과한 상태에서 사뭇 주관적인 내용이라는 생각이드는군요
물론 느낌이라는건 무시 못하는거죠

올만

2007.01.25 22:16:49
*.49.195.213

네 맞습니다 ....
원래 이 주제 자체가 주관적일수 밖에 없죠
보헤님의 말씀대로 동일한 조건에서의 데크의 길이로 테스트 결과치를 말씀드린게 아니니깐요 ^^

원래 이글을 여기 "토론방"이 아닌 "묻고 답하기"란에 올렸었죠
그런데 답변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여기 "토론방"에 올린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궁금한 점은
1. 이 주관적인 느낌을 저만 느낀것인가 ?
2. 일반적으로 이야기 하는 알맞는 데크의 길이가 실제로 긴것이 아닌가 ?
3. 짧은 데크를 타게 되면 어떤 부분이 문제점이 생길까 ?
입니다

보헤

2007.01.26 07:22:49
*.125.220.66

주관적인 느낌만으로는
저의경우에는 긴데크에서 얻는 이득이 많은편이었습니다.
원래 긴데크를 많이 사용했었고 딱딱한 데크를 선호합니다.
그러다보니 대부분의모델이 무게도 상당했구요
흔히 말하는 라이딩에 강한 데크들 위주였구요
그런 관점에서 특성이 상당히 비슷했다고 보구요
그런면에서 볼때 오차가 크지않다는 가정하에서 이야기 해봅니다.
158,159 정도의 데크 안정감이 크다, 무리한 또는 과격한 컨트롤에도 우직하게 받아준다.
152,155,154 순간 컨트럴에 이점이 있다, 반면 컨트럴이 섬세해진다 과격한 컨트롤에 슬립이나
오버 스티어가 생긴다

정도 였습니다.
강도가 강한(플렉스가 강하다??) 데크에서의 상대적 길이가 긴제품에서의 리바운딩 사용이 유리
탄성을 끌어 내기가 쉽다.
- 얘기인 즉 어차피 작은사이즈도 저한테는 긴사이즈의 데크였구 그보다 더 긴데크를 사용했을때 오히려 길쭉한 앞뒤의 길이에 플렉스를 이끌어 내기가 쉬웠다 정도네요
쉽게 얘기 하면 숏스키하고 길쭉한 스키나 카빙 스키의 상대적 강도가 실제 부분적인 강도는 같다 하여도
길이가 길어짐으로서 지렛대원리처럼 부드럽게 컨트럴이 가능했다 머 그정도입니다.

하지만 결국은 길이가 짧아 진다 해도 금방 몸이 적응을 해서 컨트럴은 용이 해지더군요
거꾸로 생각해도 마찬가지일까요?

마지막 결론은 오히려 긴데크가 다루기 쉬웠습니다. 다리는 좀 아픈든 힘이좀 더드는듯하지만
프레스를 확 주어도 무난히 받아들였지만
짧은 데크에서는 다리에 쥐가날정도로 절제된 프레스가 필요로 하더군요
심한 스티어링과 프레스에서 오는 오버스티어 참 재미 없습니다.
좀 짜증 나기도 하구요 ㅡㅡ

희노애락

2007.01.26 09:33:38
*.94.176.96

제 기준으로 신체 스팩이 키178 몸 94 나이 37이구요.
전 프라이어 177 탑니다...

Forecast ERA

2007.01.26 09:50:43
*.77.65.152

희노애락님? 177이면 알파인GS 겠죠? 설마 Freestyle? 켁!!

Sub™

2007.01.26 13:35:18
*.108.71.238

올만님하고 비슷한 경험을 저도 요즘 하고 있습니다.
165에 65정도 나가는 체격을 가지고 있고 초보 당시부터 153짜릴 타던 내력이 있어서 저번 시즌까지 153(다니엘 사파)를 타다가 트윈팁을 타보고 싶어 150짜리 옵션 미러를 중고를 구했죠.

라이딩 별로겠지 생각했습니다만... 웬걸요~ 오히려 턴이 더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되더군요.
물론 심리적인 안정감은 153짜리가 더 있습니다만 제대로 된 자세만 잡히면 슬립도 없고...
한마디로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정말 여러가지 길이의 데크를 타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인이 이번에 151짜리 앤디 핀치를 개시하는데 한번 타볼 요량입니다.
기존에 타던 것 보다 짧은 디렉셔널 데크는 어떨지...

DJK

2007.01.29 04:13:12
*.99.84.29

일단 저도 데크 길이와는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위에서 161짜리 데크로 턴연습만 하신다고....
저는 데크를 진공 사무라이 152 / 152custom X/ 157 지안시멘 (스펙 : 175 / 78)을 쓰고있습니다.
데크 마다 특성은 확실히 차이는 있습니다.길고 짧은 역시 있겠지요
위의 분들과 중복되는 말이지만. 데크가 길다고해서 라이딩이 잘된다 짧다고해서 불안하다 라는 말은 전혀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 위의 상급자 슬로프를 예로 드셨지만 상급자 슬로프에서는 어쩔수 없이 고속의 라이딩이 됩니다.(팬듈럼으로 내려오면 천천히 내려올수 있습니다 ㅡ,.ㅡ) 그때 짧은데크는 떨림이 많고 긴 데크는 그 특성상 떨림이 덜할지도 모릅니다하지만 반대로 짧은 데크는 그만큼 컨트롤 하기자 편하겠지요.
요약을 하자면 보더의 능력이 중요하지 데크 길이는 그닥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고속에서 오는 진동을 무릎과 하체 힘으로 컨트롤이 된다면 길고 짧은의 문제는 전혀 없다고 봅니다. 물론 약간의 차이는있겠죠. 오히려 완경사같은경우 짧은데크가 오히려 더 타기 편한것 같습니다. 그와 같은맥락으로 초보분들에게는 짧은 데크를 추천해드리고요.
요약 : 윗분이 토론 내용을 올리실때 길고 짧음만을 추가 하셧는데. 스노우보드 셋팅시 영향을 많이 줍니다. 물론 길이도 한 영향을 하겠지만 보드의 폭도 많은 영향을 줍니다. 같은싸이즈라도 폭이 넓은게 더 안전성이 있다는군요. 그리고 스텐스 길이 (다리사이 거리)역시 타는데 영향을 주겠지요. 단지 길이만으로 생각하신다면(같은모델도 길이마다 스펙이 다 틀립니다.... ) 짧고 긴게 상관이 없습니다.

올만

2007.01.29 15:03:34
*.49.195.213

^^ 일단 Sub님도 저와 같은 느낌이 있었다니 ...
저만 이상한 느낌(데크가 짧으면 불안할줄 알았는데 아니었다)이 아닌가? 라는 부분도 있었거든요

주말엔 세종류의 데크를 가지고 연습을 했었지만 ... 아직도 잘 모르겠네요
(좀 더 많은 시간을 두고 느낌을 정리해야 할것 같습니다)

그래도 한가지 ... 짧은 데크로 라이딩시 짧은 턴은 더 편했지만 ....
긴 턴을 하려고 할때 힘 조절 능력이 많이 요구 되더군요 (같은 자세의 같은 프레스를 꾸준히 주는게 생각보다는 힘들더군요... -용어들이 생각이 안나네요 ㅜ.ㅜ 보헤님의 말씀처럼) 이 부분에 전 오히려 연습할 부분이 늘었네요 ^^ 항상 업이 짧다라고 느꼈었는데 ... 이부분을 많이 신경을 쓰며 탔었습니다^^

암튼 연습할 꺼리가 너무 많아져서 고민이 많아져서 행복하네요 ^^

항상 행복하세요

Jp/J StuDio

2007.02.01 14:16:08
*.177.18.139

유효 엣지가 짧아지면...당연히...턴에 불리하겠죠...

161과 144를 동일 시즌에 사용해 봤습니다...

161...암생각없이 되는 카빙...
144...는 집중해야 슬립이 안나고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33
535 J턴의 위험성에 대한 헝글님들의 의견은? [27] ★검은혜성★ 2007-01-27 57 5420
534 바인딩 각도에 관해서,,, [8] 동현이닷 2007-01-27 65 6787
533 각자 자기에 만즌 반딩 각도에 대하여 토론의 시간을 가져봤으면 합니다. [9] 달팽 2007-01-26 48 3345
532 헝글구매 공동구매 운영방법제안.~ [2] 달팽 2007-01-26 58 2213
531 자세에 대한 고찰 [10] 은퉈보더 2007-01-26 63 3296
» 나에게 맞는 데크의 길이는 ?? [15] 올만 2007-01-25 42 5317
529 스키/보드용품 ㄷ나와같은 검색싸이트만들면 어떨까 [4] 2007-01-24 59 2172
528 레이싱팀의 만행(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9] 막시무스 2007-01-24 58 4627
527 [re] 레이싱팀의 만행 [7] 막시무스 2007-01-26 54 2568
526 낚시성, 사기성 샾 이벤트를 남발하는 샾들에 대한 사용제한~~ [13] 달팽 2007-01-19 61 2596
525 32 부츠는 열성형을 하지 않으면 그 성능의 50% 이상을 까먹는다 [9] 도라에몽 2007-01-19 58 3972
524 여자분과 사고가 나면 무조건 남자 책임인가? [37] Pride_oF 2007-01-17 56 4280
523 바인딩 내구성의 기준에 대한 보더분들의 의견 [14] 날나라 2007-01-13 67 2787
522 파이프에서 POP 과 관련하여.... [18] 빅베어보더 2007-01-12 81 2935
521 시즌권 검사할때 마스크,고글 벗으라면 벗어야 되나? [44] 날라~ 2007-01-08 63 6897
520 보드장 매너에 대하여서 의견을 나누고 싶습니다. [19] 밝게 살장!! 2007-01-03 72 3090
519 렌탈#에대하여... [10] 허허실실 2007-01-01 51 3641
518 박순백 컬럼에 "스노우보더 분들께 부탁드립니다^^"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33] 최강쌀집총각 2006-12-30 44 4892
517 베어스 리프트 추락 사고이후 [24] 21세기선비 2006-12-27 62 5996
516 지산 시즌권 재발급 비용에 대해 [14] 차모스 2006-12-27 59 3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