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이 좀 이상하긴 하네요ㅋㅋ
비싼데크가 일반적으로 좋으니까 비싸겠죠..
(비싼게 좋은건 아닙니다 이런답글말고 그냥 일반적으로요..)
주변지인에게 왜 비싼게 좋은데크냐고 물어보면 딱히 대답을 못하더라구요.
그래서 헝글에 물어보는거구요..
왜 좋은데크는 좋은걸까요???
(좋은데크는 어떤점이 좋은걸까요?? 랑 같은 질문)
자전거로 치자면 비싼게 가볍고 튼튼하고 같은힘으로 페달링을해도 훨씬 잘나간다 뭐 이런식의 간단한..
컴퓨터로 치자면 비싸면 더 부팅도 빠르고 게임도 잘돌아가고 화면도크고 어쩌고저쩌고.. 이런식으로요..
초보자도 알기쉽게 쉬운 설명으로 알고싶네요.
근데 안정감이나 진동같은게 데크가 라이딩용이냐 트릭용이냐 이런 차이에따라서도 바뀌지 않나요?
고가의 트릭용데크로 고속카빙을하면 떨리지만, 중저가의 라이딩데크로 고속카빙을하면 덜떨린다 뭐 이런식으로요..
위에 글처럼 댓글을 쓰다가 추가댓글 쓰신거보고 어느정도 감이 오네요. 밸런싱이란 단어때문에요ㅋㅋ
정성스런 댓글 감사합니다~ 잘 알고가요!
그렇죠.. 아무래도 캠버의 형상이나, 셋백의 유무등등도 지장이 있지요.
하지만 상급 트릭용 데크일수록 라이딩뎈에 가까울정도로 단단하고 탄력 쩝니다
그리고 라이딩에 좋다는 데크일수록 싸지 않습니다 결코 ㄷㄷㄷ;;;
사용하는 성향에 좋은지 안좋은지를 가려야죠 ^^
저는 데크의 밸런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타보기전에는 뭐라 확정된 평을 하지 않아요~
막상 타보면 생각했던거랑은 다른부분이 많거든요...^^
샵에서는 좋다고만 홍보를 하지, 결코 구린부분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습니다
실력이 좋으면 그런 밸런싱들 다 잡아낼수 있지 않느냐 말할수도 있겠지만
어느누가 같은 가격에 데크 두장이 있는데 타기편하고 안정감있는거랑 퉁퉁 튀기만하고 불안한거랑 뭘 선택할까요?
그러한 사실은 누가 알려주지 않습니다 타보기전엔 몰라유~
그래서 저는 장비사용기에 가급적 제가 써본거중에서 좋은것들 위주로 사용기 써봅니다 ㅎㅎ
정보는 공유되어야 하니까유~~ 그래야 중복투자를 막아요 ㅠ_ㅠ
안좋은것들은................................
그냥 조용히 반납하고 사용기따윈 안드로메다로 ㅋㅋㅋㅋ
앞으로 장비업글할때 엑스레이님 장비후기들 꼭 참고해볼게요~
감사합니다ㅋㅋ
브랜드때문에 가격이 뻥튀기돼서 비싸다 라고 생각이 되긴 하는데..
전문 스노우보드 브랜드중에서만 비교를 했을때 왜 비싼게 좋고 저렴한게 덜좋고가 궁금했거든요ㅋㅋ
답변 감사합니다~
아... 같은 스노우보드 브랜드라고 하더라도 정말 잘만들고 제값대로 비싸게 받는곳이 있고,
그럴싸하게 겉포장만 해놓고 비싸게 받는곳도 있고... 이런 차이도 있는거군요.
혹시 세일폭 크게하는걸 상술로했다는 그 브랜드가 어딘지 궁금하네요. 되도록 구입은 피하려구요;;
이니셜정도라든지요..ㅋㅋ
대부분 비싼아이들이
더 잘나가고 탄성도 좋습니다.
초보자이지만 다른분들이 알기쉽게 써주셔서 무슨뜻인지 알겠네요.
데크가격이 비싸지는 이유를 몇가지 적어드리죠.
1. 베이스소재 - 신터드와 익스티드로 나뉘고 비쌀수록 빠릅니다.(신터드가 비쌉니다.)
2. 코어소재 - 비쌀수록 가볍고 탄성이 좋습니다.(나무 재질이 다릅니다.)
3. 데크구조 - 비쌀수록 첨단기술이 집약되어 있고, 카본이나 유리섬유등 구조가 더 복잡합니다.
4. 엣지 - 비쌀수록 첨단기술이 적용됩니다. 마그네틱 물결 엣지라던가 말이죠...
5. 그래픽 - 비쌀수록 구려집니다....(이상하죠?)
뭐 이런저런 이유에서입니다. 비싸다고 다 좋은건 아니지만, 만들기 힘든건 비싼게 사실입죠.
비쌀수록 좀더 빠르고 가볍고 탄성이 좋고 최신기술이 들어가있으며 위에 엑스레이님 말씀대로
이런것들의 조합이 라이딩이나 트릭용에맞게 적정하게 이뤄졌을때 고가의 데크가되고 좋은데크가 되는거군요..
그래픽은 비쌀수록 구려진다는건.... 생각해보니 진짜 맞는거같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카본은 뭐 어디 들어가던간에 비싸게 만드는군요.ㅋㅋ
활강시에 안정감이 비교적 뛰어나고, 진동에 대한 상쇄력도 좋으며
엣지 자체의 그립감과 데크의 무게, 탄성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베이스의 재질에 의한 속도감도 월등히 좋구요
뭐 그렇네유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