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뻑~ 3년차, 시즌권으론 2년차인 직딩 주말보더입니다.

오늘 좋은 구경?을 해서 문뜩 글올려 봅니다... 월차 사용후 용평에 갔다가 국~가~대~표~를 봤습니다...ㅡㅡ;

국가대표인지는 확실히 모르겠으나... 퍼런 옷을 단체로 맞춰입고 항상 봤던 카시~!!동영상과 똑~~~같~~~~이~~~ 연습들을 하시더군요.. 자세도 완전 똑같더라는...신기...
옷 등짝에 대문짝만하게 K O R E A 라고 써있더군요... 강사님도 같은옷이고... 암튼 오늘 눈이 완전 호강했습니다^^;

암튼 그분들을 보고 문뜩 전에 독학보더스에 질문 했었던 기억이나 토론방에 글 올려 봅니다^^;


동영상의 보다보면(라이딩) 일본쪽 비됴( av아님 ㅡㅡ;)와 카시의 비됴가 많이 올라오더군요...
하지만 초보인 제가 봐도 다운타이밍이나, 앵귤레이션, 인클리네이션, 로테이션타이밍등~!! 이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카시의 경우 마지막까지 보드를 자신의 컨트롤 안에 놓려는 경향?이 일본보다 심하다... 따라서 더욱 공격적인라딩이라 생각하시는 분도 계신것 같고...
제 생각엔 프레싱타이밍이나, 앵귤레이션을 보면 일본이 더욱 공격적인 것도 같고,.... 특히 카빙시에 일본쪽이 앵귤레이션 및 업다운이 강하므로(개구리같다는 느낌^^;)
카시와 같이 구지 스티어링을 강조할 이유가 없어 좀더 공격적으로 보이는 것도 같고...
어느 고수님의 의견으론 상체파와 하체파다~!! 라는 의견도 있고...

암튼 결론은 다른긴 좀 다른것 같은데... 당췌 잘 알질 못하겠어서 고수님들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와 같은 슬롭사정엔 어떤 라이딩스타일이 더욱 적합할지에 관해서도 궁금합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떻신지...
엮인글 :

겐세이짱

2009.12.09 10:32:41
*.247.145.9

CASI 쪽 동영상을 보면 Cross Through 에 가깝고
일본쪽 동영상을 보면 Cross Under 에 가깝게 보이네요.
요즘 근래에 찾아본 영상들이 다 그렇더군요.

덧. 제 갠적인 생각입니다.

겐세이짱

2009.12.09 10:33:29
*.247.145.9

아. 우리나라 슬롭엔 슬로스 상태에 따라 바뀝니다. 저두 그렇게 타구 있구요. ㅎㅎ

Chance

2009.12.11 11:44:14
*.146.32.4

개인적 생각으로는,,,,

재미는 JSBA 스타일이 더 있는 거 같습니다. 안정성은 CASI가 더 있고요.

정설 잘된 넓은 슬롭에선 JSBA 스타일로 쏘고 범프 생긴 부정지 사면에선 슬롭을 제압하며 탈 수 있어 CASI가 더 나은거 같고요. 특히 슬라이딩턴 잼나요. ㅎㅎ

(가정은 비슷한 실력일때요. 물론 JSBA 스타일 초고수도 당연 잘 제압 할 수 있겠지요. )

pray for snow

2009.12.18 16:48:54
*.145.106.170

한국은 일본처럼 눈이 소프트하고 정설된 구간이 많지가 않고, 강설에 슬롭에 사람이 많아서 알파인 자세와 비슷한 일본자세는 한국 슬롭을 다 타기엔 한계가 있어보입니다.
물론 상급자에선 숏턴을 쳐야...안전상에 이유로

토실이

2010.01.03 07:59:26
*.50.153.130

국가대표 스노보드 데몬스트레이터를 만나셨군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강사들이죠

요엘

2012.02.16 23:10:59
*.234.216.95

일본식 라이딩은 어깨를 열고 타는 것이 아니라...
토턴으로 넘어 갈 시 카운터를 날리기 위한 시늉으로 어깨가 열리는 것처럼 보인다라는 것이였습니다.
어깨를 열고 타는 게 아니라
어깨를 열고 타는 것 처럼 보인다는 것이였음...

요엘

2012.02.16 23:11:09
*.234.216.95

일본식 라이딩은 어깨를 열고 타는 것이 아니라...
토턴으로 넘어 갈 시 카운터를 날리기 위한 시늉으로 어깨가 열리는 것처럼 보인다라는 것이였습니다.
어깨를 열고 타는 게 아니라
어깨를 열고 타는 것 처럼 보인다는 것이였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33
695 성우리조트 의 사설강습 단속 [31] kkambo 2010-01-06   6774
694 급사(중상급, 상급)에서의 숏턴시 턴의 방법??? [12] ZEROF 2010-01-05   7605
693 보더의 스케이팅에 대해 [22] C 2010-01-05   4634
692 라이딩의 턴. [24] 위화 2010-01-01   6806
691 스탠스 조절과 트릭과의 관계~ [10] 쵸빠른넘 2009-12-23   6779
690 접이식 데크는 가능 할까요? 불가능 할까요? [19] 최악마 2009-12-21   5546
689 헬멧 걸쳐 쓰기.. 과연 안전한가? [18] 푸른산호초 2009-12-18 3 6371
688 스노우보드 동호회 이대로 좋은가...? [20] 춥다문닫아라 2009-12-18 5 8716
687 스키장 새치기는 100% 용납 안하시나요?? [31] 붕붕이 2009-12-17 1 5523
686 설질에 대해서... [29] youngpc 2009-12-15 2 4549
685 오크 심야시간대 변경에 관해서 [2] Meca 2009-12-15 2 2327
684 스키샵에서 리프트권 취소에대한 여러분의견 ?18이라고 욕하는 "마운틴"스키샵사장 [22] 도주공 2009-12-14 22 5208
683 한국 보드장 현실에서 스케이팅이 진정 꼭 필요한건지 의문스러워요......... [20] 동풍낙엽 2009-12-13 4 4962
682 라이딩 스킬의 목표는 카빙턴? [28] [쿠마] 2009-12-10 6 7030
681 사고시 안전장비 미착용으로 인한 부상에 따른 보상.. [5] 푸른산호초 2009-12-09 1 2896
680 스노보드의 수칙들(예절 및 안전 수칙-보드를 들고타야 하는가? 등에 대한 ..) [13] 이종국 2009-12-09 8 3386
679 손목보호대를 착용하는게 안전한가, 착용하지 않는게 안전한가? [21] 닥터드렁큰 2009-12-09 7 8368
» 일본쪽 라이딩과 카시의 라이딩 스타일의 차이점과 한국 슬롭에선 어느것이 더 적합할지에 관해 말해봤으면 합니다^^; [7] 약장수 2009-12-09 5 5000
677 보드를 왜 들고 타는 건가여??? [47] 블랙켓 2009-12-05 7 7776
676 리프트권을 반사용하고 타인에게 양도하는 헝그리정신에 대해 논하고 싶습니다. [12] 품절남보더 2009-12-05 7 4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