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국 라파엘입니다.

아래 글은 제가 예전에 스노우 에티켓 운동이 박순백 칼럼에서 벌어졌을때 보드편을 적은 것입니다.
칼럼에 보면 있긴 한데 하도 오래된 글이라.. ^^

논란 거리는 많네요. 그런데 보드를 들고 타야 하는가? 착용하고 타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저는 물론 리쉬코드까지 착용하고 타라고 권합니다. ^^

아래 사진을 보시면 좀 이해 하실듯 싶습니다.
그리고, 아래 수칙들에 대해서 토론하시거나 의견 첨부하시는 것도 환영합니다.

그럼 .
-----------------------------

1)라이딩 시 헬멧이나 비니(털모자)를 꼭 착용하고 탄다. (보호대(손목,엉덩이,무릎 등)의 착용을 적극 권장한다.)
- 스노보드는 몸의 앞뒤로 넘어지기 때문에 넘어질 때 머리를 다칠 가능성이 매우 크다.


2) 자신의 실력에 맞는 슬로프에서 라이딩한다.


3)그날 라이딩 전에 바인딩을 점검한다.



4) 리프트를 탈 때에는 항상 한쪽 발을 고정시키고 탄다.
  그리고, 고정시킨 발은 리쉬(바인딩과 부츠를 묶는 끈)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시키지 않는 쪽의 바인딩은 접고 탄다. - 내리다가 넘어졌을때 부상을 방지하기 위함.)


- 리프트를 탈 때 보드를 들고 타다가 잘못해서 놓치기라도 하면 슬로프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서는 리쉬를 의무조항으로 두기까지 한다.



5) 보드는 나의 재산이다.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늘 주의를 기울인다.


6) 리프트와 슬로프에서 질서를 지킨다.

- 리프트 대기줄에서 새치기를 하지 않는다.
- 바인딩 하는 사람의 바로 앞에 앉아서 바인딩을 하지 않는다. 바인딩 하는 사람의 앞에 앉아서 바인딩을 해야할 경우, 빠져나갈 수 있는 충분한 여유를 두어야 한다.
- 파이프나 램프(점프대)에서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고 신호를 보낸 사람이 있을때는 먼저 내려가지 않는다.


7) 슬로프에서 넘어졌을때는 가능한 빨리 일어나고 휴식은 슬로프 가장자리에서 취한다.

- 슬로프는 자동차가 다니는 고속도로와 같다. 슬로프 한가운데 정지해 있으면 뒤의 라이더나 스키어와 충돌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8) 라이딩시 불가피한 상황을 제외하고 급정거를 하지 않는다.

  
9) 남들에게 혐오감을 주거나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


10) 리프트 탑승 시 흡연을 하고 싶을 때는 동승자에게 동의를 구하며, 재를 털거나 담배를 버릴 때는 화재를 주의하여 지정된 장소에 버린다.



11) 바인딩을 할 때는 다른 스키어나 라이더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슬로프 가장자리에서 한다.

엮인글 :

약장수

2009.12.09 14:19:07
*.121.128.91

10. 리프트 탑승시 흡연을 하고싶을땐.....
리프트 타서 담배 펴도 되나요?? 저도 담배를 피우지만 리프트에서 담배는것은 안되는 것으로 알고있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었나요???
헐~ 어제도 리프트에서 대학교 단체강습 온 분들에게 '담배는 내려서 피시죠~' 라고 했었는데... 헉~~~

푸른산호초

2009.12.09 15:29:00
*.247.145.6

10 바뀌어야 할듯 하네요.

담배는 뒷 리프트까지 영향을 주니까요.

1번 역시 헷멧을 기본으로.. 어차피 나중에 선택은 알아서 하는 것이겠지만 기본은 헬멧 착용이라고 해야하지 싶습니다.

오군

2009.12.09 15:35:09
*.95.134.101

1번이나 10번은 예전 글이라 그런것같네요..

요즘은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이 180도 바뀌었고

헬맷에대한 필요성도 다들 느끼고있으니말이죠.

요즘 보더들은 다들 알아서 하시는듯~

이종국

2009.12.09 16:21:57
*.254.190.23

1. 헬멧문제는 다들 알아서 하는 분위기?? 는 아닌듯 싶습니다. 그곳을 따르면, 헬멧이 필요 없어지고 부상도 안당한다는 OOO라는 곳도 있잖습니까.. ^^ (부상자들은 고수및 누굴 가르치는 사람도 될수 없다는데요.뭘..^^)

10.흡연 문제... 이 항목을 없애도 그런 사람들이 나오고, 있어도 그냥 피는 몰상식한 사람들은 있습니다. 최소한의 예의를 지켜달라는 것이지요. ^^

닥터드렁큰

2009.12.09 16:45:23
*.93.1.147

11번도 좀 해줬으면 하는 생각;; 정상에서 내려가려는데 전부다 가로로 앉아서 반딩채우고 있으면 정말

속터집니다;;

푸른산호초

2009.12.09 16:50:37
*.247.145.6

이종국 //

1번 문제에 있어서 기본으로 하고 나중에 선택은 알아서 한다는 의미는 아무리 헬멧의 중요성을 강조 하고 필요성을 강조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안하는 사람들이 더 많으니 적은 글입니다.

전 꼭 착용을 하지만 안 하는 사람들 쫓아 다니면서 헬멧 하고 타세요 라고 말하기도 힘든 일이니까요.

참으로 신기한 건 이종국님이 언급하신 헬멧이 필요없어지고 부상도 안 당하고 어쩌고 하는건 단지 그들만은 아닌거 같습니다.

뻔히 헬멧의 중요성을 강조 하지만 그래도 안하겠다는 사람 많더군요.

파크나 키커에도 헬멧 안하는 분들 많구요. 헝굴 사진첩만 봐도 무수히 보이죠. 헬멧 안하고 키커뛰거나 하시는 분들.

기본이라고 강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뭐라고 하기 힘든 그런 분위기??

전 비시즌에는 자전거를 살살 탑니다만 자전거동회 같은 경우는 헬멧 안 쓰면 아예 끼워주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보드는 왜 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ㅁ-훈봉-ㅁ

2009.12.10 22:22:44
*.77.71.172

사실 <보드를 들고 타야 하는가? >가 아니라 <왜 리조트 측에서 들고 타는것을 가만 놔두는가??> 이렇게 되야 할 것 같아요...

제가 처음 보드를 탈때(스키만 올라갈 수 있고 보드가 들어가지 못하는 슬로프도 있었던 때)는 무조건 착용을 하라고 했던 기억인데요..

"고객님 보드를 착용해주세요~~~" 언젠가부터 보드를 타는 인원이 많아지고 이에따라 스키장이 상대적으로 좁아져 버린게 아닌가 싶습니다.

리프트 줄이 좀 길어지더라도 리조트 측에서 보드를 바인딩에 묶어야 할 것 같은데요...

예를 들어 티켓 검사하고 리프트 들어가기 전에 일종의 zone을 만들어서 티켓검사할때까지는 서로 데크에 상처가고 예민하신 분들도 있으니까 들고가고...

리프트 탑승시에는 바인딩에 묶고 타는 것이지요...


아.. 보드 첨 탈때는 리프트에 묶고 타는 것이 무서워서 중급이상 슬로프에는 올라가지도 못했엇네요....

근데 요샌 어딜가나 일단 들고 올라가서 강습 하시는 분들도 많아서....ㅠㅠ

평생초보보더

2009.12.11 19:06:01
*.238.162.42

구피라서 보드끼리 부딧치더군요. 저는 그래서 그냥 들고탑니다. 다수를 위해서...

블랙켓

2009.12.12 16:25:03
*.50.153.130

훈봉님 <왜 리조트 측에서 들고 타는것을 가만 놔두는가??>-- 스키장에서 강제할 사항은 아니져
단지 권장 사항일듯 싶네요...이용수칙과 안내문구 만들어 붙이면 어느정도
노력은 했다고 보이져....
대신 보드 추락 사고라도 나면 본인이 독박 쓰는거져...
대명에서도 수년전에 시행할려다 보더들의 항의 때문에 접었다고 들었네여...

ㅁ-훈봉-ㅁ

2009.12.12 20:23:35
*.77.71.172

강제 사항과 권장 사항으로 나누면 뭐;;;;;;;;;;;;;;;할 말이 없습니다.;;;ㅠㅠ

근데 이용수칙 혹은 규칙(뭐가 맞는지 모르겠네요;;;)상 들고 타는게 안된다면 안되는거 아닐까요??ㅡㅡa 저도 가끔 들고타긴 하지만요...ㅠ

리프트에서 담배피는 분들이 줄어드는 것처럼 점점 바뀌어지길 바랄뿐이네요^^ㅋ

인식부족이겠죠 뭐~~

배고픈보더

2009.12.14 00:41:46
*.240.211.91

하이원에 가보니 무료로 헬멧을 대여해 주던데...

리조트쪽에서 안전을 고려한 좋은 예라고 보여집니다.

질주NF

2009.12.15 17:12:51
*.94.41.89

올바른 바인딩 귀여워~ㅋ

미스터.부

2010.01.10 21:35:09
*.143.130.153

저기;;...담배는 일단 리프트타면서도 금지걸랑요..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33
695 성우리조트 의 사설강습 단속 [31] kkambo 2010-01-06   6774
694 급사(중상급, 상급)에서의 숏턴시 턴의 방법??? [12] ZEROF 2010-01-05   7605
693 보더의 스케이팅에 대해 [22] C 2010-01-05   4634
692 라이딩의 턴. [24] 위화 2010-01-01   6806
691 스탠스 조절과 트릭과의 관계~ [10] 쵸빠른넘 2009-12-23   6779
690 접이식 데크는 가능 할까요? 불가능 할까요? [19] 최악마 2009-12-21   5546
689 헬멧 걸쳐 쓰기.. 과연 안전한가? [18] 푸른산호초 2009-12-18 3 6371
688 스노우보드 동호회 이대로 좋은가...? [20] 춥다문닫아라 2009-12-18 5 8716
687 스키장 새치기는 100% 용납 안하시나요?? [31] 붕붕이 2009-12-17 1 5523
686 설질에 대해서... [29] youngpc 2009-12-15 2 4549
685 오크 심야시간대 변경에 관해서 [2] Meca 2009-12-15 2 2327
684 스키샵에서 리프트권 취소에대한 여러분의견 ?18이라고 욕하는 "마운틴"스키샵사장 [22] 도주공 2009-12-14 22 5208
683 한국 보드장 현실에서 스케이팅이 진정 꼭 필요한건지 의문스러워요......... [20] 동풍낙엽 2009-12-13 4 4962
682 라이딩 스킬의 목표는 카빙턴? [28] [쿠마] 2009-12-10 6 7030
681 사고시 안전장비 미착용으로 인한 부상에 따른 보상.. [5] 푸른산호초 2009-12-09 1 2896
» 스노보드의 수칙들(예절 및 안전 수칙-보드를 들고타야 하는가? 등에 대한 ..) [13] 이종국 2009-12-09 8 3386
679 손목보호대를 착용하는게 안전한가, 착용하지 않는게 안전한가? [21] 닥터드렁큰 2009-12-09 7 8368
678 일본쪽 라이딩과 카시의 라이딩 스타일의 차이점과 한국 슬롭에선 어느것이 더 적합할지에 관해 말해봤으면 합니다^^; [7] 약장수 2009-12-09 5 5000
677 보드를 왜 들고 타는 건가여??? [47] 블랙켓 2009-12-05 7 7776
676 리프트권을 반사용하고 타인에게 양도하는 헝그리정신에 대해 논하고 싶습니다. [12] 품절남보더 2009-12-05 7 4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