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지카빙과 급사카빙 시에 어떤 요소의 차이가 있을까요?
평지와 급사에서 직활강 진행하다가,
동일한 초기속도에서 한쪽에 프레스를 주고 이때 턴이 말리면서 카빙턴이 되었을때를 가정해봅시다
이상한게 평지에서는 토턴시 부츠코 / 힐턴시 바인딩 힐컵이 닿을때까지 엣지각을 세우는게 가능하고....(궤적이 한줄로 가다 두줄이 됨)
엣지가 파놓은 궤적도 매우 얇게 나오고 회전반경이 작게 턴이 이루어집니다만.......
급사에서는 똑같이 다운을 준다고 주는데....평지만큼 다운이 안되고
엣지각도 잘 안서는거 같고 궤적이 두껍거나 턴이 터집니다...원호도 길게 늘어지고요...
동일하게 프레스를 줄려고 하는데도 어떤 요소의 차이로 이런 결과가 발생하는걸까요?
요즘 제가 고민하는 부분인데...
요는 슬로프 경사로 인한 폴라인 방향의 가속도가 급사에서는 크기 때문에
턴 초반부(엣지전환시)에 엣징을 줄 때
평지에서는 속도만 있다면 충분한 원심력으로 엣징이 가능하지만
급사에서는 보다 높은 스케일이 있어야만 같은 기울기의 엣징(초반부만)이 가능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동시에 턴 후반부에는 폴라인 방향의 가속도(중력)가 더 강하기에
보다 강한 다리근력, 균형감, 속도에 따른 보다 빠른 엣지 체인지가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고요.
이론만을 본다면 이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