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랜만에 헝그리보더 들어와서 강습영상 다시보는데
영상만으로는 비기너카빙, 인터카빙, 인터슬라이딩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ㅁ-;;
예전에 알기로는... 슬라이딩턴은 상체-하체 순로테이션을통한 엣지 체인징을 해서
턴을하는 모양이 초승달처럼 생기고... 카빙은 무릎을통해 하니까 자국이 거의 없거나 날카로운것만 생기는데..
이부분말고도 차이점이 있나요?
턴을 방향전환 - 진행 - 방향전환 - 진행... 처럼 두부분으로로 분리해보자면
제가 알고있었던 지식으로는 턴이 진행되는 동안은 모두 날이 서있는채로 진행하는걸로 알았는데(바닥에도 날카로운 자국이 생기고)
다시보다보니 슬라이딩턴은 아닌것 같기도 하고... 박정원님 동영상은 슬라이딩턴도 날 확실히 서있는걸로 보이는데 말이죠 -ㅁ-;;
타다보면 똑같이 날이 서있어도 원심력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고 아닌경우가 있는데,
카빙은 원심력을 느낄만큼 제대로 날이 서있는 상태를 의미하는건지... @_@
사실 구분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냐만은...그냥 궁금해져서 여쭤봅니다!
그렇다는건 프레셔의 정도나 각도의 정도로 슬립을 조절하는것에 따라 슬라이딩/카빙이 구분된다는거죠?
엣지 체인징이 차이나는건 당연한거고....
J턴도 많이 연습하고 초보자수준의 카빙은 되긴하는데, 고경사를 가면 턴이 다 터지면서 슬립이 엄청 생기는정도의 실력입니다.
근데 의도적으로 어깨로테이션부터 슬라이딩을 탈때도 방향전환(엣지체인지) 후 진행하는동안은 카빙할때와 차이가 없이 하고있어서 항상 궁금했어요...
어떨땐 슬라이딩인데도 속도조절이 잘 안되서 자세도 무너지고... 슬립을 더 주던지 해서 속도조절을 좀 더 하는게 맞는가보네요..
타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방식이 다른건 당연한거고, 카빙이라는 단어 자체가 스키에서 나온것이니만큼 스키딩과 카빙의 차이점이 슬라이딩턴과 카빙의 차이점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스키는 스키딩보다 카빙이 훨씬 고급기술이고, 고속에서는 무조건적으로 카빙을 배워야 하는데, 보드는 그 장비의 특성상 슬라이딩턴이 라이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된다고 볼 수 있어서 상급자가 되더라도 그 중요성이 카빙에 비해 그다지 떨어지지 않게 되죠.
요는 활강을 턴이라는 방식으로 제어하는데 있어, 슬라이딩(슬립)으로 턴을 그리느냐, 프레스를 통하여 하느냐인데, 이걸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것이 베이스(를 포함한 바닥면)로 타느냐? 엣지로 타느냐? 이런 구분법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엣징은 하므로 날은 서있되 의도적인 엣지의 슬립, 즉 슬라이딩이 있는지, 엣지로만 진행하는지의 차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