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스케이트보드를 먼저 접해 속도 제어는 경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었기에 힐턴의 원형인 사이드슬리핑 이라는 단계는 전혀 거치지 않았다.
속도 제어 관점에서 볼 때 힐턴(발꿈치가 중심)이 토턴 보다 기초 단계이다,
따라서 입문자는 토턴(발가락이 중심)을 더 어렵게 생각하며, 실제로도 어렵다.
토턴은 균형감을 갖추어야 하는데 중심 운동에 재능이 있어야 발전이 빠르다.
힐턴을 잘 하기 위해서는 토턴을 완벽하게 마스터해야 하는데
그 이유를 설명해보자! (토턴에 대한 막힘이 없을 때 비로서 힐턴을 고민한다)
힐턴이란 스노우보더라면 누구에게나 자연스러운 감속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모양이나 자세가 이쁘지 않고, 컨트롤이 안돼 미끄러지는 등 불만일 것이다.
카빙 토턴을 잘한다(다운언웨이티드, 크로스쓰루, 에어투카브 구현)는 전제하에
*다운언웨이티드 : 중립 자세를 잡고 다운한 다음에 턴이 폴라인을 지나면서 데크를 밀어내면서 엣지에 강한 프레스를 실어주는 기술
*크로스쓰루 : 몸을 던지면서 엣지를 전환하는 기술
*에어투카브 : 엣지 전환시 데크를 공중(에어)에 띄어(리바운딩 등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설면과 마찰 없이 회전시키는 기술로 턴을 더 빨리 끊어내고, 공중에서 떨어지는 힘으로 엣지가 설면을 더욱 깊이 파고 들게하게 한다 ^^쿵후허슬에서 여래신장을 떠올려 보길^^
깊은 토턴을 시도하면 강력한 지포스(감는맛)를 느낄 것이고
그런 느낌을 최대한 길게 가져가려는 것은 일반적이지만
이런 유혹을 물리치고 보드가 속도를 잃지 않았을 때... ...
토턴을 끊고 힐턴을 넣어야 한다.
토턴이 끝나지 않은 순간에 데크를 가슴쪽으로 당겨 데크에 가해진 압력을
풀고, 힐턴의 “폴라인 지점”까지 단번에 데크를 밀어 넣어야 한다.
결국 토턴에서 이어진 동작(무브먼트)이 미쳐 중립 상태로 회복되지 않고도
급격하게 힐턴으로 바꾸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상승의 경지에 이르면 당연히 중립 자세를 통과해서 힐턴을 넣고
토턴과 마찬가지로 다리를 펴면서 데크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토턴의 기술들을 어떻게 힐턴에서 구현하느냐의 문제일 것이다!
가슴쪽으로 당긴다는 표현 참 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