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직활강에서 겁먹기말고 조금만 참으면...
저도 초보지만 친구가르쳐줄때 손가락 쭉뻗어서 갈방향으로 손 이동시키면서 시선이랑 몸이랑 같이 움직이라고.....
그래서 친구는 초급에서 s 자 마스터했습니다.
초보시절 누구나 겪는 현상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힐엣지로 진행하는 것이 토엣지로 진행하는 것보다 훨씬 쉽고 익숙합니다.
힐엣지에서 토엣지로 턴(엣지 체인지)을 해도 토엣지가 불안정하여 데크가 아래로아래로 미끌어져내립니다.
반면 토엣지에서 힐엣지 전환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턴 이후에도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게됩니다.
먼저 토사이드 슬리핑, 토사이드 펜쥴럼 연습을 많이 하셔서 토엣지 감각을 키우세요. 시선은 멀리보시고...
BBP자세, 시선, 속도감, 사활강 도중 업다운/점프 등등의 연습을 많이 하시는게 좋습니다.
사활강/낙엽 진행 중에 턴을 시도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고 잘못된 연습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턴(데크의 회전/엣지체인지)이 익숙해진 이후부터 하시길 권장합니다.
힐>토 를 예로 들면
레귤러 기준으로 데크의 노즈가 시계방향(오른쪽)으로 돌아야하는데
이렇게 하려면 전경으로 앞발에 힘이 들어가야 합니다. 그리고, 몸의 회전으로 데크를 돌리게 됩니다.
그런데 사활강을 하면 데크는 왼쪽으로 가려는 힘이 있어서 노즈를 시계방향(오른쪽)으로 회전시키기가 더 어렵습니다.
그래서, 턴을 못하거나 노즈의 회전이 아닌 테일의 회전으로 턴을 하게 됩니다....길게 이야기했지만 뒷발차기 입니다.
비기너턴의 연습방법은 보딩강좌 -> 라이딩 박정환님 동영상 기준으로
힐사이드슬리핑(정지상태) -> 토턴 -> 토사이드슬리핑(정지상태) -> 힐턴 -> 힐사이드슬리핑(정지상태) 반복입니다.
여기에 업다운 추가하면 너비스턴입니다.
주의사항은 시선을 멀리보고 앞팔은 45도 이상 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후경 예방)
결론은 사활강(낙엽)과 비기너턴은 별개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연습의 목적이 다른 면이 있고, 두가지의 연습이 충분이 이루어졌을때
사활강+비기너턴(너비스턴)을 연결해서 S자를 그리시면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