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 너비스턴은 진짜 마스터한거 같거든요
상급자 슬로프에서도 업다운 확실히 주면서 안넘어지고 잘내려와요 너비스턴으로
대신 너비스턴할때 슬로프 끝에서 끝까지 타는대 날로만 엣지감각을 느끼면서 가다가
마지막에 다시 턴하고 그런식으로 계속 연습중인대.. 힐사이즈 다운은 거의 스쿼트하는것마냥 앉아서 엣지가 잘살아요
토사이즈 로 진행할때에는 무릎을 구부린다는 느낌을 주는대도 친구가 왜케 다운을 안하냐고 자꾸 머라고하더라고요
그래서 일단 지금 연습방법이.. 너비스턴으로 가는대 슬로프 끝에서 끝으로 갈때 날로만 타서 가고
턴할때는 업해서 너비스턴하고 다시 날로만 가다가 이런 엣지감감연습하다가
J턴해보고 그러다가 나중에 짧게 턴하면 그게 카빙 맞는거죠?
흠.. 너비스를 마스터했다고 말씀하시기에는 좀 이른감이 있지않나 싶네요... ㅋㅋㅋ 사실 가장 기본적인 턴이면서도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턴이기 때문에... 카빙까지 갔다가 결국 벽에 막혀 너비스부터 다시 하는분들도 계시거든요.. 카빙을 하고 싶으신 마음은 알겠지만 조금 급하신거 같네요.. 슬로프 끝에서 끝까지 간다고 하신거 보니까 슬립 없는 트래버스를 연습해 엣지감을 익히시는것 같은데 사실 그건 아주 초급때 얘기고 그것만으로 엣징 감각을 완벽히 느끼는건 불가능합니다. 보드의 특성상 사이드컷을 따라가야 완전히 슬립없는 엣징이 가능한데 트래버스는 일단 직선주행에 가깝기 때문에 그렇구요.. 완벽한 엣징이 된다면 언덕 위로 말려 올라가야겠죠.. 때문에 트래버스를 통한 엣징 감각 느끼는건 턴에서 엣징을 느끼지 못하는분들이 임시방편으로 연습하는 부분입니다. 어떤 슬라이딩턴이라 하더라도 턴의 마지막에는 엣징을 줘야하고 이를 통해 턴의 엣지체인지 타이밍을 빠르게 가져가고 하다보면 저절로 카빙 근처까지 다다르실수 있을겁니다. 사실상 약간 다른 느낌의 턴이기 때문에 속도감이나 균형감, 엣징방식 등의 세세한 부분을 연습할 것이 많긴 하지만 초보적인 카빙자체는 너비스턴만 연습하셔도 가능하단 말씀이죠 ㅎㅎ
보통사람의 범주를 넘어가는 고수분들은 카빙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연습을 하지 않는다는 말은 아님.. 더 높은 경지에 이르기 위해 항상 연습하심) 카빙하다가 날이 안빠져서 사고나는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보드의 성능이나 프리스타일이냐 라이딩이냐에 대한 지향점에 따라 다르지만 사실상 엣징을 많이 주고 보드가 이끄는대로 간다면 카빙이 자연적으로 되는거고 슬라이딩턴을 하기 위해서 오히려 힘을 써야한다는거죠.. 뒷발쪽 엣징을 줄인다던가 노즈쪽으로 무게중심을 많이 준다던가 하는 행위를 통해서 말이죠 이렇다는건 기초에만 충실하면서 엣징 조금만 더 주는 연습만 하면 누구나 카빙이 가능하다는거죠.. 오히려 역동적으로 타려던 많은 노력들이 나중에가서는 기초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너비스를 마스터 하셨다면 이미 초고수...
해도해도 끝나지 않는 너비스 ... ㅜㅜㅜㅜㅜ
J턴 하다가 짧게 한다고 카빙은 아니구요
J턴에 엣지체인징만 하시면 롱카빙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롱카빙 - 엣지체인징 = J턴
J턴 + 엣지체인징 = 롱카빙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