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 하이원에서 야간스키를 타던 중입니다.
초보 제우스3 코스였구요...
신랑은 슬로프 가장자리에 넘어졌다가 일어나려는 순간이었고, 저는 좀더 아래쪽에서 토엣지를 연습하기 위해 정상을 향해 있던 중이었습니다.

왼팔을 짚고 일어서려는 남편을 스키어가 뒤에서 활강해 부딪치고 앞으로 나가떨어졌습니다.. 올라가보니 남편의 왼쪽 겨드랑이에 스키 플레이트가 끼인 상태였습니다.

패트롤을 불러 의무실로 가서 간단히 진술을 했는데, 상대방 경위서는 경황이 없어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상대 스키어는 여자분으로 이때가 처음 슬로프에 올라온 것이었으며, 동생에게 배우며 내려오던 중이었습니다.
이 여자분이 부딪히기 직전에도 소리로 경고하지 않았고, 엣지도 걸지 않은 상태라 전혀 소리가 없어 무방비 상태였습니다.
저희는 의무실에서 팔을 고정해 준 상태로 바로 서울로 올라왔고, 가해자분은 일요일까지 스키를 타다 일요일에 서울로 올라왔다합니다.

오늘 오전에 남편이 병원을 갔다 왔는데, 팔꿈치 인대가 파열된 듯 하고, 보드복 바지도 찢겨있었습니다. ( 왼팔을 구부려 일어나는 자세였으니, 왼쪽 허벅지 위쪽이 찢겼더군요..)
사고 당시에 가해자의 동생은 계속 미안하다 말하며 우리를 안심시켰는데, 오늘 전화해 보니, 이 가해자분이 사시 준비생에게 알아봤다며, 자신도 고글을 잃어버렸고, 자신도 아픈데다가 남편이 정지상태였으니 쌍방과실이라 합니다. 쌍방이고 자신도 아프다고.. 저희쪽도 잘못이 있다는 식으로.... 옷에대한 배상도 왜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식으로요.....
(고글잃어버렸다는 건 좀 이해가 안되는게.. 제가 주변에 잃어버린거 없나 챙겼거든요.. 게다가.. 그분 털모자를 머리에 쓰고 계신 상태였는데.. 고글이 날아갈 정도면 모자도 같이 날아가지 않나요?제 짧은 경험상 그렇던데...)

우선.. 이런 경우에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는데.. 저희 쪽에서 어떤 대응을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분은 슬로프에 정지했으니 잘못있다고 하는데.. 가장자리쪽 슬로프 위치를 표시한 펜스 앞쪽이었거든요...

사실.. 어떻게보면 운이 나빴다 생각하고 넘어갈 수도 있으련만... 주말 내내 팔을 못쓰고, 병원에서도 계속 다니라고 하는데다, 새로 산 보드복 바지도 찢긴 상태인데(망설이다 큰맘먹고 좋은거 사줬거든요...--) 가해자가 이런식으로 나오니 기분이 안좋네요..
저희도 과실이 있다면 어느 정도일지.. 어떻게 처릴 해야 할 지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엮인글 :

2007.03.12 14:37:36
*.5.93.44

가장자리 정도면...꽤 조심해서 피해있었던 건데...정지상태를 받고는 정말 너무하는군요...참 이상한 사람들 많군요.
보험은 드셨나요?
병원 제대로 치료해서 치료비 부담시키셔야할 듯.
사람이 돈 몇푼에 그런식으로 행동하다니...에그..

제대로 해결되시길 빕니다.

2007.03.12 14:49:15
*.9.147.115

사시고 개시고 간에 공부는 이런데 쓰라고 하는게 아니죠...조작미숙에 안전거리 미확보..
님 말씀대로 뒤에서 박았으면 가해자입니다..기본적인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포기하는 인간들이네요..

2007.03.12 16:16:33
*.101.227.87

정신차리게 해주세요~

2007.03.12 16:36:23
*.124.158.1

버릇 좀 고쳐주세요..
아고

2007.03.12 17:21:26
*.228.171.110

사시 '준비생'에게 물어봐서 뭘 어쩔려고 그러는건지;;

2007.03.12 22:47:14
*.211.229.23

고시생이면 공부나 하시지 고시생이 법을 만드나요 아예 스키,보드에 대한 법을 만들라고 하세요 진짜 짬뽕나네요...
juno

2007.03.13 01:20:56
*.255.83.187

개념이고 도덕이고 아무것도 모르는 쑤래기같은 뇬!!!

2007.03.13 03:16:30
*.218.236.200

사고자리 피하고 나면 변하는게 사람이죠.

2007.03.13 09:47:30
*.155.196.228

김준범 스노보드 연구소에서 퍼온글입니다.(부상/사고/사건 게시판 의 싸이져 님의 글입니다.)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

이곳 부상/사고/사건 게시판을 통하여 저 역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잘못 알고 계시는 내용이 있어 혹시라도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저의 경우를 말씀 드립니다.

먼저 사고에 대하여 간단히 말씀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제가 xx보드장에서 거의 하단부까지 내려오다가 뒤에서 스키어가 달려들어 충돌 사고를 당했습니다.
결과 손이 부러졌고 허리와 목의 인대에 심각한 손상이 왔죠.

CT찍고 치료하고 손과 목에 깁스하고 6주 진단에 3개월 이상 가료해야 하고 5~6개월 후에 다시 목과 허리에 대한 CT 촬영 후 디스크에 대한 소견이 나올 것 같다고 진단서를 받았습니다.

제가 사고를 당한 위치가 중요했던 것 같습니다.
슬로프 를 6등분 하여 순서로 2등분 쯤 되는 위치에서 속도를 줄이며 사이드로 빠지고 있었고 뒤에서 들이 받았죠.

생각해 보십시오 저는 병원 치료비 보다 당시 부러져서 덜렁거리는 손을 잡고 의무실로 실려가고 허리와 목이 뻣뻣히 굳어서 어쩔 줄 모르고 있는 상황에서 저를 들이 받은 사람이 슬로프 사고는 쌍방과실이니 각자 알아서 치료 하자고 하더군요.

그래서 제가 쌍방과실이 꼭 5:5를 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의적으로 사과쯤은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죠.
그랬더니 각자 알아서 치료하자고 계속 말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일단 제가 응급처치를 받고 서울로 후송되어 깁스를 하고 입원을 했죠.

사건은 여기서 시작됩니다. 저는 당일 CT촬영과 입원 7일 에 비하면 껌 값인 50만원을 가해자 측에다 요구 했습니다.
금액이 과했습니까? 교통사고 당해서 6주 진단에 목과 허리가 디스크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서 병원에서도 5~6개월간 계속적인 물리치료를 받아야 한다는데. 50만원이 껌값이 아니겠습니까? 제가 이리저리 계산을 해봤죠. 대략 치료비용이 400~500 정도 나오더군요. 물론 디스크로 진행이 안되었을 경우에..

그런 상황에서도 저는 그냥 깨끗하게 50만원 불렀습니다. 돈이 문제가 아니고 사람이 문제고 사람의 몸이 다쳤는데 마음까지 다치면 안된다는 생각과 제가 돈이 없어 어렵게 사는 그런 형편도 아니고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돈 50만원을 요구 했습니다.
그랬더니 상대방이 너무 과하니 응할 수 없다고 하네요..

그래서 변호사에게 상담을 하고 소송을 준비 했습니다. 소가를 정하더군요. 소가가 얼마가 나온 줄 아십니까? 1천500만원 입니다.
1천500만원... 왠만한 중소기업의 초봉같죠? 큰 돈 입니다.

산정 방법은 제 병원 치료비 총액 + 6주간의 무급휴가에 대하여 실제적 일 수입금 계산 + 위자료

물론 100% 다 주지도 않겠지만 위 금액을 소가로 정하여 소송을 준비중 이며, 이에 응하지 않을 시 상대방은 법원에 공탁을 하던가 아니면 제게 위자료를 전부 지불 해야겠죠?

공탁을 하게되면 법원이 합의금을 산정해 주는데 일단 "치료비100%+"1주당 70만원+과실치상에 대한 벌금"이 정해집니다.
진단서에 1주당 기본이 50만원 이지만 실제 연봉에 대하여 가중치를 주어 평소 돈을 많이 버는 사람에겐 +알파가 되죠.

대략 1천만원 이상 나오겠죠? 그렇습니다. 대락 1천만원 이상 그 사람은 공탁금으로 법원에 저와의 합의금을 준비 하던가 맞소송을 준비 하겠죠.

그러나 그 사람의 진행 방향과 사고위치 목격자 진술 확보 등이 준비된 제게는 5:5나 8:2 같은건 적용되지 않습니다. 10:0이 됩니다. 그게 최근 판결 선례 입니다. 작년과 다르게 금번 시즌 03-04 시즌엔 5:5 판결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두에서 받은게 무조건 잘못하고 있는거죠. 근거자료는 국제스키연맹이 발표한 [피스테의 룰]을 보시면 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뒤에 눈이 안달린 이상 뒤에서 들이 받는걸 어떻게 피하냐는 말 입니다.


제가 처음부터 법으로 대응하려 했던 것은 아닙니다. 다만 그 사람이 제가 입원해 있는 동안에도 제가 먼저 전화를 하지 않는 이상 전화를 먼저 한 적도 없고 찾아온 적도 없고. 사과 한 번 안하고 그냥 각자 처리 하자는 말에 도저히 그냥 넘어가서는 안되겠다 싶었는데 전화로 하는 말이 제게 "장난하냐?" 라고 하더군요. 법대로 하라고 해서 법대로 하는 중 입니다.
변호사도 그러더군요. 자기의 명예와 명성을 위해서라도 질 싸움은 안 한다구요. 특히 2천만원 이하의 소액 재판은 더더욱 지면 안된다고 하더군요 그러면서 저와 같은 경우는 절대적으로 이길 수 밖에 없는 내용이며, 상대 가해자에게 이번 기회에 예절 교육을 시켜주는게 마땅하다고 합니다. 제가 승소 하면 그 사람은 변호사 선임비용 600만원도 그 사람이 지불 하겠죠.

여러분께 위와 같은 내용으로 한 말씀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 내용]
1. 절대 '안전보딩' 하시기 바랍니다.
2. 뒤에서 들이 받으면 무조건 뒤가 잘못 입니다. (뒤에서 내려오는 사람은 안전거리 확보 및 전방 주시에 의무가 있습니다.)
3. 자신의 실수를 인정 하시고 예를 갖춰 사과 하십시오. 그 다음에 돈 얘기가 오가도 늦지 않습니다. (돈이 먼저가 아니죠.)
4. 쌍방과실 또는 5:5를 운운 하는 경우는 양쪽 사이드에서 동시에 옆으로 충돌한 사고 이외에는 적용이 안됩니다.
5. 말 한마디로 천냥을 갚는다 했습니다. 진심으로 사고가 난 상대방의 이상유무를 걱정해 주시고 도의를 다 하십시오.

[서럽지만 냉정한 현실에 대한 내용]
6. 좋은 직장에 월급을 많이 받으십시오. (자신의 실질적 일수입에 대한 산정에 따라 보상금액이 천지차이 입니다.)
7. 사고가 나면 무조건 옆에 있는 사람들 바지를 붙들고 놓지 마시고 목격자 진술을 받아 내십시오.(모르는 사람이더라도)
8. 법적 응징은 최후의 방법 입니다. 좋게 좋게 얘기로 할 만큼 하십시오.
9. 변호사 비용이 대략 5~600만원 이상 소요됩니다. 소송으로 갈 경우 패소하면 위자료 이외의 위 금액또한 지불해야 합니다.
10. 민사 소송으로 승소 하면 바로 형사소송으로 이어집니다. 특히 말 조심 하십시오.(과실치상)
11. 초범이고 과실이 인정되면 중징계는 면하겠지만 최소한 몇 개월간 귀찮을 것 입니다.(물론 벌금도 냅니다.)
12. 왠만하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슬로프에서 타시기 바랍니다. (중상급 슬로프에는 실제 약 10% 미만만이 진짜 중상급자 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 중 사고를 당하고 나서도 상대가 어렵게 나온다면 최대한의 합의를 해보시고 인간 이하의 생각과 행동으로 나온다면 법으로 처리 하십시오. 5:5 얘기는 옛날 얘기 입니다.

naver.com 법률/세무 관련 변호사 상담도 해보시길 권합니다. 판례가 있습니다. (유료서비스)



실제로 이런 시비가 예전엔 있었다고 합니다.

피해자가 사고가난 슬로프에 적절한 실력을 갖추었는가에 대한 논쟁 입니다.
쉽게 말하면 앞에 있던 스키어나 보더가 수준에 안 맞는 슬로프에 있었기 때문에 사고가 났다라는 주장 입니다.
그러나 최근 판례는 만약 아래에 있던 스키어나 보더가 실력에 안 맞는 슬로프에 있었다 하여도 뒤에서 내려오다 부딛힌 가해자 역시 수준에 안 맞는 슬로프를 이용했고, 안전거리 확보와 전방 주시에 대한 의무를 다 하지 않은 것 입니다.

절대적으로 뒤에 있는 스키어나 보더는 안전을 위하여 안전거리를 확보 하시기 바랍니다

2007.03.13 10:53:17
*.113.7.22

빠른 쾌유 빌겠습니다. 좋은 해결이 있기를 바랍니다.
f9

2007.03.13 12:55:00
*.243.249.59

사시 준비생라면 사시 붙고나서 법에 대해서 제대로 된 코멘트 하라고 하시고^^. 마치 의대 준비생이 환자보면 처방내리게 생겼군요 ㄷㄷㄷ...
참 사시준비생들 펌하하려는 의도는 결코 아닙니다. 그냥 섬머슴이 사람 잡는게 무섭습니다.
ㅋㅋ

2007.03.13 13:41:21
*.98.113.53

판사나 변호사 하다못해 법무사도 아니고 사시준비생 ㅋㅋㅋㅋ

루이스

2007.03.13 16:54:10
*.150.81.45

사시.준비생.ㅋㅋㅋㅋㅋ~ 1.2차.과목.통틀어서.보딩중.사건,사고를.적절히.처리할 수 있는.업무능력을.주는.과목은.없습니다~
기껏해야.민법과 민사소송법중.관련내용(불법행위에.의한.손해배상)이.전부이고.
그것도.추상적인.이론만을.다루는건데...이런.실무에.대해....참...나...우습네요...
.
파코님.글보고.제대로.참고하셔서.법대로.한다는게.어떤것인지를.뼈저리게.느끼게.해주십시오~
나한테.걸리믄.오우~~~
-0-

2007.03.13 17:07:05
*.157.1.60

ㅋㅋㅋ 사시준비생?
할말이 없다....그냥 법대로 하자고 하던지...ㅡㅡㅋ

2007.03.13 21:09:24
*.231.183.236

사시생? 아마 눈이 사시일겁니다.
그럼 판사한테 물어봣는데 뒤에서 받은사람 과실이 댑따 크다고 그러더라고 하세요.

2007.03.14 13:22:40
*.44.92.12

나쁜사람이네요~저도 같은경험을당했는데..전 허리를 다쳤었거든여~
그나쁜스키어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는 정말..재수가없어서 무시해버렸습니다...
저 가해자 정말밥맛이네요~

2007.03.14 13:36:57
*.99.243.12

잘 해결 됐으면 좋겠네요.. 남편분이 빨리 쾌유하기를.. 휴~ 요즘엔 참 비인간적인 분들이 많으신듯.

2007.03.14 22:21:49
*.196.241.108

진짜 예의가 없다..사람이 왜그러지? 미안하다고 하면 계속 미안하다고 하면 할말도 없어지는데..너무하네요.말 한마디에 천냥빛갚는데..아 너무해..참 저 피해자가 사시준비생에게물어본거래요..잘 읽어보면~그 사시생도 그래...하긴 게가 가재편이니.ㅋㅋㅋ 세상 너무 정이 없어 지네요.저가틈 그자리서 귀때기 오만대 처 때려뿝니다..쾌유 바라며 좋게 해결 되기 바랍니다..사람을 첬음 책임을 져야지 ..건방져...

2007.03.15 18:08:01
*.204.41.176

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 힘내시구요 쾌차하세요^^

2007.03.16 03:19:54
*.177.151.235

휴 짬뽕 몇그릇일까 그생각이 먼저 나네요
BCS

2007.03.18 17:21:40
*.141.207.194

파코님의 옮겨온글중에 잘못된게있어수정드립니다.
----
변호사 비용이 대략 5~600만원 이상 소요됩니다. 소송으로 갈 경우 패소하면 위자료 이외의 위 금액또한 지불해야 합니다.
----
소액재판시 변호사비용이 천만원이든 이천만원이든 100정도의 소액만 받을수있습니다.
즉500정도의 보통변호사를 선임하신다면 부과세10%해서 총 550드는데 그중에서 100만 받을수있습니다.
재판비용기타등등의 금액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재판시 판사가 결정을 해줍니다.
더구나 항소,상소까지 하게되면 금액은 돈천은 우습게 넘어갑니다
변호사비용까지 다받아내면 누가 싼변호사를쓰겠고 너도나도 사고만 나면 모두 재판하겠죠.
그걸막기위한 우리나라 소액재판법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부상 보고서 공지 사항 - [43] 관리자 2011-10-31 43884
1672 상완신경총 손상.... Gorgeous 2007-03-29 1664
1671 밑에 1716번 글 삭제좀 해주세요 [5] 마음은보더 2007-03-29 1821
1670 [베어스]0607시즌을 접으며 발목관절염이;; [2] 미친놈 2007-03-29 1639
1669 얼굴에 난 상처가 아물질 않는데 보험이 될런지 [2] 센트 2007-03-26 1244
1668 보드충돌사고 상대방 배째라나올때 어떻게 해야되는지 조언좀... [21] ♬껌~짝짝♪ 2007-03-25 3011
1667 막보딩중 무릎다치다 보험관련문의도 있답니다.^^; [7] 드리마셔 2007-03-24 1351
1666 제 후배가 사고가 났습니다.. [24] 상계동 랩퍼 2007-03-23 3056
1665 360돌리다가그만.. 팔뼈가 나갔더군요.. [9] 완소보 2007-03-18 3015
1664 정지보더를 스키어가 뒤에서 받은 사고... 진행중... [8] 띵굴보더 2007-03-18 2660
1663 12월말에 다친건데요,,, [5] 시골소년 2007-03-16 1343
1662 혹시 3월1일 무주리조트 다녀오신분 있으시면 도와주세요..ㅜㅜ [6] 아임숫컷 2007-03-15 2649
1661 3월11일 하이원 사고 [9] 항상좋은날 2007-03-14 4045
1660 정말 조심해서 타세요 부상 우습게 보다 평생 불구될수도... [16] 2007-03-14 3789
1659 보드사고 후 나몰라라 하는 상대방.. [10] 울콩이 2007-03-14 2368
1658 유도수련으로 부상 최소화~ [12] 리양스 2007-03-12 2383
» 정지 보더를 스키어가 뒤에서 받은 사고.. [21] 띵굴보더 2007-03-12 3069
1656 3월9일 휘팍에서 손목관절 골절 ㅠㅠ [6] 학밤바 2007-03-12 2039
1655 장파열..뇌출혈..급해요..답변 부탁드려요 [11] 베르기.. 2007-03-11 3623
1654 무릎 부상시, 의무실 기록이 없을 경우에 보험 처리 [3] For the NV 2007-03-11 1546
1653 무릎을 다쳤는데 보험문의좀요..ㅠ-ㅠ [5] 피치 2007-03-10 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