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즌부터 보드에 입문하여 카빙턴을 배우고자 하는 1인입니다..
저는 카빙턴을 할 때에 힐엣지로 할 때는 굉장히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돌아가는데 반해
토엣지로 할 떄는 슬립이 나고 슬로프에 엣지자국조차 잘 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인데요..
원래 보통은 토엣지가 더 쉽고, 힐엣지가 더 어려운것 아닌가요..ㅠㅠ
비기너 카빙턴에서 토엣지 잘 박는법좀 알려주세요..ㅠㅠ
제 나름대로는 힐엣지와 비슷한 구간에서 엣지체인지 한다는 느낌으로 앞꿈치 꾹 누르면서 몸도 기울이고 타는데
허벅지 힘이 약한건지... 그냥 슬로프 하단방면으로 쭉 미끄러지면서 슬라이딩 턴이 되어버리네요..
그리고 하나 더 여쭤볼게.... 보딩을 하다보면 직활강을 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잖아요.... (경사면에서 빠르게 내려오는것 말구요..)
그런 부분에서 그냥 힘을 빼고 보드에 몸을 맡기고 ㅡ자로 가다 보면... 항상 테일쪽에 엣지가 갑자기 좌측이나 우측으로 박히면서 넘어지곤 하는데요...
테일쪽 엣지가 갑자기 땅에 박히는 이유도 궁금하고.. 어떻게 하면 안박히고 잘 갈 수 있는지도 궁급합니다!!
힐-토 밸런스가 안맞는 경우의 많은 부분이 상체로테이션과 연관이 되어있는데, 힐에서 하는 정도의 로테이션을 똑같이 토에서도 하려는게 아닌가 생각해보세요. 로테의션의 종류도 다르고 정도도 달라야 하니까용~
비슷한 질문의 답변을 이번시즌에 많이 달아드린 듯 합니다.
라이딩 입문하면서 많이들 겪는 문제입니다.
사이드슬리핑과 낙엽을 힐엣지 위주로 하다보면
힐턴은 자연스레 되는데 토턴은 엣지체인지 이후에 엣지가 불안정해서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갑니다.
불안감에 시선은 자꾸 아래로 떨어져서 악순환은 반복됩니다.
사이드슬리핑, 낙엽, J턴을 토엣지 위주로 연습하시면 됩니다.
토엣지가 안정적으로 되면 토엣지 다운이 힐엣지 보다 훨씬 수월해집니다.
그러면 이제 힐턴에서의 슬립, 시선, 엣지체인지 타이밍, 다운(엣지각) 등이 고민거리가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뒷어깨를 노즈방향이랑 일치하게 맞추면 안넘어지던데 대명에서 타시나요 ㅋㅋㅋ
대명이 그 클래식에서 째즈로 내려오는 데가 좀 평지라서 중간에 넘어지거나하면 진짜 개 빡침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