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모를 부상에 대비한.. 제가 생각하는 그러나 누구나 알고 있는^^;
몇가지 Tip 몇가지 공유하고자 글씁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첫째, 준비운동..

매일 타는 사람이건 일년에 한 두번 보드 타는 사람이건...
보드를 타기 전에는 약간의 열 또는 땀이 날 정도의 준비운동을
5~10분정도 해 주어야 합니다.
밥만 먹고 운동만 하는 전문 프로 운동선수들(야구,농구,축구....)들도
메인 경기 이전엔 준비 운동 합니다..
하물며 저희같은 아마추어 초보들은 꼭 운동을 해 주어야 하겠습니다.

둘째, 안전 장비 착용

누구나 다 알면서도 가끔 타시는 분들은
일년에 몇번이나 온다고 보호장비를?? 비싸잖아?? 하시면서
보호 장비를 착용하지 않으시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주위에 같이 타는 사람들 중에 안전 장비 없으신 분들이 계시면
(특히 헬멧...) 꼭 대여를 하는 한이 있더라도 장비를 착용하고 보딩하도록 해주세요


셋째, 이왕이면 혼자서 타지 말자..

사고라는 것은 한 순간에 옵니다. 만약에 다쳤을 때 주위 분들이 도와주겠습니다만..
전혀 모르는 사람보다는 같이 타던 사람이 옆에 있다는 것이
심적으로나 여러모로 도움이 됩니다.

넷째, 자신이 있는 스키장의 긴급 SOS 전화 번호를 꼭 자신의 핸드폰에 저장하자.

넓은 스키장에서 사고가 났을 때 어찌해야 할 지를 모를 때가 많습니다.
마침 패트롤에 옆에 바로 있으면 다행이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지난 가던 분들에게 패트롤 불러달라고 요청하거나..
같이 있던 일행 중 한 명이 패트롤 부르러 가는 게 다입니다.
일행이 딸랑 한 명이면 그분이 패트롤 부르러 간 사이에
혼자 슬로프에 남게 되는데 부상자 혼자 슬로프에 있는 것은 좋은 것이 아닙니다.
구조대에게 연락해서 구조대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째, 전화번호 외에 자신의 슬로프 위치를 정확히 구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아무리 패트롤에게 연락을 한다고 해도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하이원 스키장에 가봤는데 슬로프 가장자리에 x-x 식으로 슬로프 위치를 알려주는 표지판(?)이 있던데
상주자가 아닌 이상  원정가는 사람들에겐 슬로프 이름이 아무래도 낯설텐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됩니다.
슬로프 맵을 가지고 다니면서 자신이 내려 가는 슬로프 이름이 뭔지 알면서 타는 것도 좋겠죠..


끝으로...
저는 보드가 자동차 운전과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동차를 잘 활용하면 정말 편한 도구이지만.
자칫 한 순간의 실수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보드도 무한히 즐거운 운동이지만,
자칫 흥에 빠져 안전을 무시한 보딩을 한다면 위험합니다.

면허가 있다고 해서 운전 다 잘하는건 아닙니다.
차선 바꿀 때 시그널(일명 깜빡이) 켜고 들어오는 것이 운전자간의 예의고 의무이듯이
보드도 남 피해 주면서 타는게 잘 타는게 아닙니다.

보드장안에서의 예의와 룰을 숙지하고 지키면서 타야 합니다.
주위에 일정 범위 안에 사람이 없을 때 트릭도 할 수 있는거고 점프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방어 운전을 잘하는 것이 운전을 잘 하는 것이듯..
방어 라이딩을 할 줄 알면서 보딩하는 것이 잘 타는 것입니다.

스키장에서 자칫 겉멋에 빠져 보딩 하지 말고..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남에게 피해 주지 않으면서 보드를 타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두서없이 글을 썼는데..
올 시즌 안전 보딩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엮인글 :

2008.09.28 16:55:28
*.151.204.61

잘봤습니다.
안전이 최고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부상 보고서 공지 사항 - [43] 관리자 2011-10-31 43886
2011 보딩후 발등 부분이요. file [7] 아톰2000 2008-12-03 1468
2010 허벅지 사타구니 안쪽 아랫부분이 땡겨여ㅠ [6] 니가시러질때 2008-12-02 2819
2009 08년3월초 추돌사고 후 보첨사(손해사정) 추정손해액 산정입니다. file [5] 세실1234 2008-12-02 3119
2008 아 보드를 타야하나 말아야 하나... [5] 푸우사마 2008-12-02 1931
2007 아나... 오늘 강촌에서 타다가... [7] 미사리한량 2008-12-01 1989
2006 다쳤는데 배째라네여....ㅡ_ㅡ;; [53] 순수비 2008-11-29 4602
2005 스키장 사고시 보험처리 및 간단한 상식 [3] Wish 2008-11-28 4798
2004 엉딩이 랜딩~ [9] 뇽이 2008-11-28 1950
2003 슬로프 중간에서 서있을때 받혔어요 [24] 미호 2008-11-27 3864
2002 갈비뼈 금갔음...ㅠ.,ㅠ [13] 똘끼 2008-11-24 3555
2001 시즌 첫날 어깨랜딩 시즌접다,,,,,ㅜㅜ [40] 김용한 2008-11-21 5877
2000 발톱이 나갔어요... [6] 에궁~ 2008-11-21 2451
1999 어깨 핀 박는 수술... [13] ROXY 2008-11-20 4282
1998 유령데크로 인한 왼쪽 엄지손가락 탈구 사고 후기 [2] 빠꾸샤 2008-11-19 4546
1997 2007년 2월 10일 하이원에서 사고 났는데 그날 사진 있는분들 도... [4] 스킨쿨바 2008-11-18 2342
1996 어깨부상 [9] 권선미 2008-10-10 2478
1995 반월상 연골판 수술 완료(관절경) [4] 겐세이짱 2008-10-03 3332
1994 스키장 사고 사례와 예방, 응급처치 방법 file [11] 보드소년필 2008-09-29 6929
1993 보드장 부상 방지법 file [11] 겐세이짱 2008-09-29 3180
» 부상과 관련하여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Tip 몇가지 [1] 보더SSONG 2008-09-28 1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