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탑승시
1. 리프트 줄슴
2. 자기 차례가 되면 스케이팅으로 앞으로 나가서 대기
3. 리프트가 오면 자기 앉을 자리를 본 후 재빨리 앉음
4. 안전바를 중간정도 내렸을때 왼발(레귤러기준)을 안전바의 발걸이에 올릴수 있도록 조절
5. 안전바가 다 내려지면 발을 올림
하차시
1. 하차하기 전에 여유있게 발걸이에서 데크를 내려놓음
2. 안전바를 올리고 몸을 전방을 볼수 있도록 약간 엉덩이를 돌림
3. 하차한 후 데크 베이스가 바닥에 제대로 밀착이 될대까지 잠시 기다림
4. 빨리가고 싶으면 리프트를 손으로 밀면서 출발 or 가만히 있으면 알아서 내려감
Tip - 자신과 다른타입(ex본인 레귤러 옆사람 구피)이 옆에 붙어있으면 여러모로 불편하므로 리프트에 자리가 많을 경우 떨어질것을 추천....
내릴 때..
0. 안전바 올릴 때가 가까워오면 발판에서 보드를 내립니다.
1. 안전바가 올라가기 전후에, 테일쪽 손으로 리프트 등받이를 잡습니다.
2. 엉덩이를 살짝 돌려서 보드의 방향을 리프트와 직각으로 맞춥니다.
3. 하차장에서 테일쪽 발을 양 바인딩 사이에서 테일쪽 바인딩 뽀짝 옆에 디디고서 리프트에서 일어나서 대기합니다. 테일쪽 손은 이제 리프트 안장을 잡고서.
4. 출발하고자 하는 타이밍에 테일쪽 손으로 리프트를 밀어냅니다.
5. 노즈쪽 어깨가 열리면 힐사이드쪽으로 보드가 회전하므로 어깨를 살짝 닫는 느낌으로(bbp),
테일쪽 발에 체중이 많이 실리면 보드를 컨트롤할 수가 없으므로 노즈쪽 발에 체중을 더 실어줍니다.
횡방향으로 경사져있으면 경사가 높은 쪽 엣지를 더 밟아줍니다.
6. 경사 방향이 자동으로 멈춰지는 방향이라면, 자동으로 멈춰지면 테일쪽 발을 내립니다.
제동을 해야하는 경사라면, 3.에서 테일쪽 발을 데크의 중앙에 올리지 않고
힐드레그 또는 토드레그를 할 수 있도록 절반만 걸치고 있다가, 멈출 때는 드레그로 멈춥니다.
드레그 대신에 로테이션을 이용해서 방향전환을 해도 됩니다.
리프트에서 내릴때 팁!!!
데크방향은 무조건 전방으로 향하게 한다(무조건 리프트 진행방향)
내릴준비중에 정강이 뒤쪽이 리프트에 눌릴수 있으므로
내리기 직전까진 엉덩이를 반쯤 앞으로 걸친다는 느낌으로 앉아있는다
리프트에서 내릴때 같은 리프트에 어떤형태의 눈을 즐기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한다
스키어는 대부분 정지를 안하고 그냥 타고싶은 슬로프으로 가니 이점을 유의하고
보더들이 대부분이면 리프트틑 하차한후 모양이 대부분 부채꼴로 퍼지니 이를 예상하고 움직인다
리프트를 내릴때 먼저 내릴껀지 나중에 내릴껀지 결정하고 움직인다
리프트를 내릴때 보통 잠시 원풋라이딩인데 이후에 정지할때 토방향으로 설지 힐로 정지할지
주변사람들과 환경을 고려하고 결정한후 내린다
데크방향 전방.... 엉덩이는 리프트에 슬쩍 걸쳐 앉는 자세준비....일어서면 그냥 원풋라이딩자세가 가능하도록 준비
(그냥 일어서는것보다 10센티미터 정도 앞에서 일어설수있어서 리프트 의자에 걸리거나 하는게 없음)
급하게하지말고 하차장에 들어서면 슬쩍 일어나 뒷발을 데크위로 올리고
의자바닥부분을 손으로 버텨주면 그냥 알아서 갑니다
맨 마지막에 그 손을 슬쩍 밀어주며 베이스로 나오시면 됩니다
스케이팅하실때 데크에 스텀패드가 있으면 컨트롤하기가 조금더 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