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 다닌지 올해 3년차입니다..
지금까지 모아둔게 2500정도 되네요.
돈 많이 안받는거같은데 연말정산떄 보고 깜짝 놀랬네요 ㅠㅠ
한달에 100정도 모으고 나머진 다 썼는데
저희가 월급이 짝수달 100% 홀수달 200% 이런식으로 나와서 모으기 힘드네요.
매달 60씩 넣고 홀수달엔 따로 100을 더 넣어서 한달에 100씩 들어가게 합니다.
지금 받는도은 세후 160 320 이정도구요.
그럼 월 세후 240정도 번다는건데 그럼 제가 한달에 140을 쓴다는거잖아요 ㅋㅋㅋ
전 그만큼 안쓰는거같은데 ㅠ
차 유지비가 은근히 많이 나가네요. 차는 중고로 샀는데 기름값이 한달에 20+@로 나가니깐..
하여튼 지금 이번에 매달 적금 80 홀수달 140해서 한달에 150씩 할려고 적금 들었더니
월급 들어오자마자 마이너스가 되네요. 이번달은 연말정산 할부금이랑 건보료땜에 그런거긴 하지만..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여친도 없는데..하//
모으는거 부터가 아니고.
현재 수입과..지출에 대한 포트폴리오.?! 계획표 정도가 먼저 만드시 필요가 있습니다.
저도 비슷하게. 홀수달과 짝수달이 달라서. 어려움이 있긴합니다만... 계획만 서있으면..어느정도 구성할수 있습니다.
160 /320 평균 240으로 월간 계획으로 운영될 계획을 짜시면 됩니다.
예로 들어 들이면 월 평균 300수준 이시면
적금 80 펀드30, 연금 30, 변액 30 , 보험 10, 기름값 25 , 생활비 50, 경조사비 10 ,용돈20, 기타 15
뭐 이렇게라도.. 계획이 세우시고. 홀수달 짝수달 안맞고... 위에. 기타 비용이나. 경조사등.. 비 정기적인 금액을
모아 두는 저수지용통장을 운영하시면 좋을듯합니다.
가장 좋은건 재무상담사 한번 만나보시면. 그래도 나으실꺼구요.
혼자서 꾸며 보실려면. 위에처럼. 기본적인 계획을 구성해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저축은 뭐가 좋은지, 펀드는 뭐가 좋은지.. 등.등.. 따져 보시면 좋을듯합니다.
현재의 적금 이율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는데 은행권은 답 안나와요.
그냥 모은다는 개념이지 불리는건 노답이죠.
3년차면 만 2년 몇개월 정도인데 그래도 2500 정도면 잘 모으신 편이에요.
오일비로 달 20+@ 면 절대 많은금액은 아니고 월 140 지출의 내용이 어떤지가 중요하죠.
집세가 안나가는데 총 140 지출이면 수입에 비해 많이 쓰는 편이고 집세가 나간다면 그 비용에 비례해서 보면 되죠.
독거에 집세가 나간다면 식비도 상당하니 차량유지비에 용돈까지 140이면 나갈만큼은 나가는거에요.
투자의 개념이 아닌 순수 저축으로만 하려면 1금융보다는 2금융이 좀 더 나은데
이 경우 절대 이자포함 총 5천 한도에서만 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