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단독주택 새로 짓는거 어떤가요?

조회 수 1688 추천 수 0 2015.04.20 16:16:26

지금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요~


아파트를 팔고 땅사서 단독주택을 지으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보통 이럴때는 아무것도 없던 땅을 사서 집을 짓는게 나은가요?


아니면 오래된 주택을 사서 부시고 새로 건축하는게 나을까요? 


리모델링도 많이 하긴하는듯한데요 비용면에서 그게 더 나은것 같기도하구요.


뭐 입지에 따라 다르긴하겠지만..


대전인데요~


땅만 보면 외곽이 많은듯해서~ 너무 외곽은 좀 그렇구해서요~


25년은 주택에 살았구요~ 10년정도 아파트에 살았는데요~ 


주택에 살면 관리할게 많긴하겠죠? 주택에 살땐 거의 부모님이 관리하셔서 별 신경안쓰다보니 잘 모르겠네요~


건축비는 보통 평당 4~500정도 하는것 같은데요~ 


리모델링은 어느정도 되는지요?


두서없이 막 적긴했는데요ㅠ 


주택으로 가고 싶은데~ 어떻게 준비해야할까요?

엮인글 :

Poibos

2015.04.20 17:02:55
*.101.35.176

대전지역...주택 지으실꺼면 평당 300만원 정도 잡으시면 될것 같아요.

좀 고급으로 지으시려면 뭐...플러스 알파 당연 하겠죠?

제가 봤을땐 평당 350만원 정도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집을 활용한다 해도 그렇게 많이 건축비가 차이나지 않아요.(오히려 건축디자인에 방해를 가져올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관리비는 난방형식이 도시가스냐 LPG냐 기름이냐에 따라서 천차만별 차이가 나구요.

당연히 아파트 보다 저의 체험상 10배 정도 들더라구요.(아파트 10만원선 2층주택 100만원선)

하지만 개인차가 크니까...확실하다 라고 이야기 할 순 없겠죠.

일단 사실곳(땅)을 알아보시고 매입을 하시는 작업부터 진행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유블리

2015.04.20 17:16:08
*.140.75.109

저는 잘아는 건 아니지만 아빠가 지금 사는집 처분하시고 곧 질문자님처럼 땅을 사서 집을 따로 지을거라고 하셨는데 그냥 있는 건물 사서 리모델링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새로 짓는게 더좋다고 하시더라구요

낙엽특공대

2015.04.20 18:32:40
*.223.23.208

주택을 개조할때는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신축이 조례에 의해 불가하거나, 토지의 형질에 의해 신축이 불가(절대농지 등)한 경우 기존의 농가주택을 매입후, 개조 또는 증축을 하게됩니다.

그런게 아니라면 신축을 하시는게 맞는거고요, 하나 알아두셔야 할것은 개인주택은 집을 지어서 살다가 팔때 건축에 투자한 비용+대지비용 만큼은 절대로 못받습니다. 왠만한 호재가 없는 이상 땅값밖엔...

삼촌1호

2015.04.20 22:42:20
*.112.47.17

추천
1
비추천
0

집을 지을때 처음부터 공사업체를 찾아다니면 공사비가 평단가 250~500까지 다양하게 나옵니다. 이때 저렴하다든지 말을 잘한다든지 인상이나 말투가 맘에 든다든지 하는 이유로 덜컥 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부실한 업체의 경우에는 해당공사에 공사비를 쓰지 않고, 공사중에 돌려막기를 한다든가 아니면 없어져버리거나 한창 공사중에 공사변경을 이유로 처음에 제시한 금액이상을 요구하는것이 많아 마음고생이 심해지는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법적으로 이러한 기술자(공사자)로 부터 일반인(건축주)를 보호하는 행위가 보통 건축설계자를 통해 인허가권자에게 "착공"등의 행위를 신고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격기준 등을 검토하는등 행정서비스를 해당 구청등에서 하는것인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사실을 잘알지 못합니다.  특히 더욱 좋지 않은 경우는 공사자가 설계,감리자를 선정하게 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제가 제안하는 방법은 우선 근처 설계사무소에 의뢰해서 설계견적을 받은후 설계를 진행합니다. 이후 재료등을 명시한 내역서와 도면을 납품받은후 이를 근거로 시공사를 구하는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처음엔 250~500까지 다양하던 공사비가 350~400 사이에 큰차이 없이 분포되게 됩니다.


즉 같은 문짝이라고 해도 저가 제품을 쓰게 되면 한철쓰고 나면 문이 닫히지 않는등의 하자가 발생하지만 너무 낮은 평당 공사비를 책정해놓으면 어쩔수없이 최저가 제품만 쓰게 되는것이고 건축주는 계약후부터는 시공사의 양심을 바랄수 밖에 없는 안쓰러운 상황이 발생 되게 됩니다.


하지만 제가 제시한 방법을 쓰게 되면 제품명을 명시하였고, 공사중 변경시 동종이상의 제품을 쓰도록 명시하기 때문에 시공사들이 단가를 쉽게 낮출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자체별로 리모델링(15년이상건물) 허가를 신청하는 경우 방법에 따라 그린리모델링 지원(에너지절감에 따른 이자지원) 또는 용적율 완화 등의 혜택이 있는데 해당 인허가 기관 담당과 상담 또는 설계자에 문의해서 방향을 정하는게 좋을것 같네요. ^^

아싸아조쿠나

2015.04.21 04:36:43
*.46.237.150

집만들건 아니지만 좋은 지식얻구 갑니다~

Poibos

2015.04.21 10:01:58
*.101.35.176

정말 알찬 지식입니다.

추천드리고 가요~ ^^b

설 랑

2015.04.21 00:51:55
*.171.93.184

새로 짓는게 더 싼걸로 알고어요.. 요즘 서울 아파트가 너무 비싸서 최근 수도권 인근에 작은 주택단지 들이 신규로 하나둘 생성되고있습니다.

또리장군

2015.04.21 10:58:31
*.220.85.26

건축가능한 대지에 직접 올리는게 더 저렴한걸로알고있네요~

모토맨

2015.04.21 11:29:52
*.61.234.246

일단은 부럽습니다...

 

온갖 쓰레기 섞은 시멘트로 지은 몇십억 짜리 아파트 보다 훨씬 좋을것 같습니다

 

요즘 출장다니다보면 나무로 집짓는 분들 눈에 자주 띄는데요...

 

차를 멈추고 바라보며 꿈을 꿔봅니다...

 

마당도 있고...

 

마당에 잔디깔고, 상추심고, 장독 묻고, 골프망 설치하고, 평상도 만들고...

 

차 있겠다

 

저같으면 아파트 들어갈 돈으로 집을 짓겠습니다..

 

이런 고민을 하실 수 있다는 것이 부럽습니다

Mayonaisse

2015.04.21 11:49:13
*.170.195.124

현직 건축설계노예입니다. 뭐 제가 영업을 하겠다는건 아니고, 쪽지로 대지 위치랑 연락처 남겨주시면 어떤 방법이 가능한지 알려드릴수 있어요.

여유로운삶

2015.04.21 12:45:10
*.128.71.120

알찬 조언들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리오

2015.04.23 23:52:49
*.71.217.102

작년에 집지어서 살고 있습니다. 정말 많은 공부와 부지럼이 있어야 집짓기가 고통이 아니라 행복이 됩니다. 우리 단독주택 단지에 시공사 잘못만나 고생하시는분 실제 있습니다. 대전에도 단독주택 단지 몇군데 있습니다. 헝글 같은 곳은 네이× 문팀장의 브랜드 하우징 쭉보시면 많은 도움 되실게에요~. 참고로 평단가로 얼마 제시하는 곳 대부분 믿지 마세요.

fujiwed

2015.11.17 15:51:07
*.4.149.66

있던 땅을 매입하셔서 지으셔야지.

전기끌어오고 배수관 공사 진입로 공사를 안하죠.

돈아끼는 지름길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7694
33215 스마트폰전화수신 질문입니다 [4] 비행기 2015-04-23 1215
33214 사귀진않는사인데. . 보고싶고사랑해? [21] 쓰니 2015-04-23 3401
33213 예전에 후배한테 고백했다 까인 후기의 후기.. [16] dfd 2015-04-22 1497
33212 5월 3일 파퀴아오 메이웨더 file [24] FC-X 2015-04-22 1413
33211 유명인들이 가서 보는 점집은 확실히 용할까요...? [9] ...? 2015-04-22 1519
33210 롱보드 파트별 구매 관련 문의드립니다. [13] 강정님 2015-04-22 1080
33209 결혼에 대해 심각한 고민중입니다 [29] 곤지암눈안... 2015-04-22 2050
33208 그래픽 디자이너.. [8] Muymuy 2015-04-22 828
33207 레고가 취미(?)이시거나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7] 뗑큐꺼머겐 2015-04-22 2010
33206 남미 지폐 구입방법? [1] 코스타리카 2015-04-22 529
33205 물건 대금 안주고 피해다니는 사람 어떻게?? [11] 불혹보더 2015-04-22 974
33204 인터넷 신청하려는데 현금 많이 주는곳 아시는분 있으세요? [1] fewfwef 2015-04-22 514
33203 소니액션캠 as100vr 중고가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ㅡ? [1] 흑산도갯지렁이 2015-04-22 536
33202 겔럭시 노트2 베터리.. [4] *맹군* 2015-04-22 736
33201 애프터는 몇번 해야죠? [24] 고무신껌[춘천] 2015-04-22 1891
33200 친구관계 상담 좀 할께요. [16] 디제이숀 2015-04-21 1458
33199 요즘 서울에다 집사면 손해일까요? [15] 張君™ 2015-04-21 1537
33198 와콤 신틱 쓰시는분 계시나요..? Gerry 2015-04-21 495
33197 아이폰5유저분들 휴대용충전기 쓰시는분 계신가요? [10] 춘뱅 2015-04-21 981
33196 부모님 명의 차를 제가 팔려면 어떤서류가 필요한가요? [4] 007빵 2015-04-21 2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