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량은 토스카고
몇년식인지는 기억이 잘안나고
13만정도 탔습니다.
결혼하면서 제 차는 친정에 가져다놓고
제가 요즘 신랑차인 토스카를 타고 다니는데요
시동을 걸고나서나서
꼭 가속패달을 밟은것처럼
소리가 좀 나고
차가 뭔가 과잉충전되서 튀어나갈것만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d에 기아넣고
브레이크에서 발 때는 순간
앞으로 튀어나갑니다. 빵 튀어나갑니다.
신랑말론 아주 가끔 그랬다는데
제가 탄 이후로 자주 그럽니다.
일주일에 한번꼴 정도요
도대체 원인이 뭘까요
소리로 대충 감이오니까
크게 들이박는다거나 그런 사고의 위험은 적은편이나
이렇게 정도가 심하다가
그 급발진이라는 사고가 나는건가 싶기도하고..
점화플러그 바꿀 때 되서
조만간 정비소 가긴 할건데..
이런경험을 하셨거나
이런 원인을 아시는 분 계실런지요
자동차동회활동하며...현직 정비사분들과도 친분이있고 ..간단한정검은 할줄압니다만 ..
일단 여성분이니 좀쉽게 풀어서말씀드려볼게요 .ㅠ
처음시동거실때 가속페달밟는것처럼소리가나신다구요? ..
음 차가 처음에시동을걸면 알피엠이 올라갔다내려오는건 ...차가워진엔진을 뜨겁게 달구기위해서 자동으로 차가반응하여
엑셀을밟은것같은효과를내어 가열을시킵니다 . 이거슨 예열 이라고하는것입니다.
항상 차를운행하시기전에 5시간이상 차를세워두고 다시시동을켜셧을때에는 계기판에 온도 를참고하여
예열 후열을 ,각종 부싱교체및,오일정검 을 제때제때 해주셔야 엔진이 오래되어도 상태가좋습니다
키로수가많다고 안좋은것은 아닙니다 ..제차도 제네시스쿠페인데 14만1천탓습니다 ..허나 엔진상태는 5~6만탄차와 같습니다.
차는 기계기떼문에 관리에따라 틀려집니다 .
말씀대로정리하자면 처음에시동걸고 알피엠 이쭉~ 가속하느것처럼 올라갔다가 다시내려올때까지 기다리세요 ..
그리고 온도계가 정중앙에올때까지는 예열을시켜주세요
ㅈ자동차는 주차&중립모드에선 시속계판 옆 RPM 계기판이있습니다 그것이 800~1000 사이가되야 정상입니다
여기서 800~~1000 은 차종마다 틀릴수도있지만
대부분 국산차들은 RPM눈금이 200~250 으로표시되고있습니다 즉 250으로치면 4칸 200으로치면 5칸이됩니다 ..
시동걸고 부앙~~ 알피엠이올라가있는상태에서 디로바꾸면당연히 튀어나가죠^^
그리고 이렇게 알피엠이올라가있는상태에서 P 에서 D로 바꾸시면 ..
변속기에 충격이가서 ..변속기가 망가질수가있습니다 .. 아마 ..P에서디로바꾸시면 쿵 하면서 바뀌실거같은데 ..
예열,후열 중요합니다 . 제차도시동걸면 부앙~~~~ 알피엠2천500까지 올라갔다가 780~800까지
내려올때까지기다리고2~분정
도더있다가 출발합니다 . 뭇 이글을보고 그건스포츠카니깐 그렇지 라는 생각을갖고계신회원분 계실지도모르나 어떤차든
예열후열 은 자동차관리에 필수이며 어떤차든 고장증세의원인은 다거기서거기죠 ..
제말대로해보시고 ..그래도 이상하다하시면
스로틀바디및흡기센서 ,쪽도 정비소에방문하여정검받아보시길 바랍니다 ㅎㅎ
제 생각에는.. 예열 쪽이랑은 무관 한거 같고요... 예열은 엔진 출력 연비 히터 랑 관련있다고 보면되요. 냉각수게이지 중앙까지 공회전 시키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마시고요. 그냥 주행하면서 웜업 하시면 되요.
정상상태(아이들) 에서 D에 놓고 브레이크 밟았을때 RPM 이 얼마나 되는지 보세요. 거의 1000 이상 넘어가지 않아요...
가속 하지 않았는데 튀어 나간다는건 엔진이나 변속기 문제보다는 브레이크 노후 해서 문제 일수 있습니다.
오래된 차들은 브레이크 페달을 살짝만 떼도 락이 다 풀려 버리는 경우가 잇습니다.
아버지차 좀 된 체어맨인데 브레이크 살짝만 떼도 튀어나감. 초반에 토크 받고 튀어 나가도 가속 안하면 느리게 그속도 유지합니다.
그리고 소리나는건 관리(엔진오일 등) 소홀이나 노후해서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급발진이 원래 그런식으로 되는거같던데요 ;; 예~전일이지만 저희 어머님께서 갤로퍼2 타실땐데 아침에 시동거는데 저는 밖에 서있었는데 rpm이 주~욱 올라가면서 시끄럽더라구요 기아 넣는순간 튀어나가서 전봇대 들이받고 섰어요